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1050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8130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1050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8130의 복본이다.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제목|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이었으며, 금강 연안 쪽에는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부에는 작은 전답과 함께 작은 집 2채가 존재한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739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1050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이었으며, 금강 연안 쪽에는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부에는 작은 전답과 함께 작은 집 2채가 존재한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7397의 복본이다.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제목|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범위와내용|현재 영명중고등학교 부근 유관순 열사 동상이 위치한 곳에는 전통적인 누정과 일제가 건립한 초혼사(招魂祀)가 보인다. 그 중 누정은 조선전기에 공주목사 홍석(洪錫)이 관아 부근에 있던 관정정(觀政亭)을 객사 동쪽으로 이건하며 세운 취원루(聚遠樓)로 추정된다. 누정 뒤로 연미산이 보이며, 우측 상단은 현재 공주시가지 전망대로 지금도 엽서 속 나무가 현존한다.…

등록번호|50001050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범위와내용|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양측으로 작은 게시판 2기가 세워져 있다. 또, 우측으로 망루역할을 위한 높은 사다리도 세워져있다. 아울러 본 자료는…

등록번호|50001050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하나였다. 이곳과 함께 공북루 앞에서 나룻배를 타고 강을 오갔다. 이후 앞서 언급한 금강 목교가 1915년 가설되어 이곳에서의…

등록번호|50001049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하나였다. 이곳과 함께 공북루 앞에서 나룻배를 타고 강을 오갔다. 이후 앞서 언급한 금강 목교가 1915년 가설되어 이곳에서의 도선업은 쇠퇴하지만, 1940년대까지 미곡송출선과 상선 등이 물자를 금강 하구언까지 나르는
1923년 공주면에서 발행한 가옥세 납세고지서와 영수증

제목| 1923년 공주면에서 발행한 가옥세 납세고지서와 영수증

범위와내용|대정 12년(1923년), 공주면에서 발행한 가옥세 납세고지서와 영수증이다. 공주면 본정에 거주하는 이동우(李東宇)씨에게 발행된 문서로, 오늘날 없어진 가옥세는 가옥의 소유자에게 부과하던 지방세로 매년 5월과 11월에 납부하도록 고지서를 발행했다가 1961년 12월, 선세와 함께 재산세에 흡수하여 폐지되었다.

등록번호|500010657

생산일자|1923.04.01

형태|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1930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

제목| 1930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

범위와내용|1930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제3학년 오기영 학생에게 발행한 상장이다. 학생의 품행이 선량하고 학업이 우수하여 상품을 수여하고 이를 표창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613

생산일자|1930.03.25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우성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1933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

제목| 1933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

범위와내용|1933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으로, 6학년 오기영 학생에게 수여하였다. 해당 학년 중 품행이 선량하고 학업이 우수하며, 정근하여 다음과 같이 상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다.

등록번호|500010612

생산일자|1933.03.23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우성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제목|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98

생산일자|1911.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마곡사

  • 일제강점기
1930년 공주군 농회 토지 등기부

제목| 1930년 공주군 농회 토지 등기부

범위와내용|1930년 공주군 농회의 토지등기부 문서이다. 등기문서에는 등기신청 사유와 등기를 발급받고자하는 토지의 위치, 부속서류, 등기세 등이 상세히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79

생산일자|1930.08.3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공공기관

  • 일제강점기
1933년 공주군 농회에 기부한 부동산 증서

제목| 1933년 공주군 농회에 기부한 부동산 증서

범위와내용|1933년 9월 14일 공주군 신상면 유구리 407번지에 거주하는 오지영 씨가 공주군 농회에 부동산을 기부한 것을 증명하는 문서이다. 문서에는 기부자의 성명, 기부하고자 하는 부동산의 위치, 기부목적 및 내용 등이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기부자는 자신이 소유한 부동산을 공주군 농회의 잠견공동판매장 부지로 제공하기 위해 기부하였고, 해당 부지는…

등록번호|500010578

생산일자|1933.09.14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공공기관

  • 일제강점기
1931년 공주군 장기면 주민의 납채서

제목| 1931년 공주군 장기면 주민의 납채서

범위와내용|1931년 공주군 장기면에 거주하는 주민이 작성한 셋째 아들의 납채서이다. 납채서는 남자 집안의 혼주가 여자의 집안으로 혼인을 청하기 위해 보내는 편지로, 사주 단자와 서신이 함께 보관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575

생산일자|1931.12.2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읍면자료>동>월송

  • 일제강점기
1927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6회 졸업기념 단체 사진

제목| 1927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6회 졸업기념 단체 사진

범위와내용|1927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6회 졸업 기념으로 학교 건물 앞에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학생들 대부분은 교모를 쓰고 두루마기를 교복으로 착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 줄 우측에서 다섯번째 인물이 자료기증자의 부친인 진상옥 님이다. 자료 상단에 '계룡공립보통학교 제6회 졸업기념'이라는 문구가 날짜와 함께 기입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55067

생산일자|1927.03.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계룡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1922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1회 졸업기념 단체사진

제목| 1922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1회 졸업기념 단체사진

범위와내용|1922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1회 졸업 기념으로 학교 건물 앞에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학생들 대부분은 교모를 쓰고 두루마기를 교복으로 착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맨 앞줄은 교사진의 모습인데, 좌측에서 세번째 콧수염을 기른 인물이 1대 일본인교장이며, 그 오른쪽이 자료소장자의 6촌 형님인 진상구 님이다.

등록번호|200055066

생산일자|192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계룡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계룡면 지역 유지들의 단체 사진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면 지역 유지들의 단체 사진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에 모인 계룡면 유지들의 모습이다. 유지 대부분 정장을 입고 각반을 차거나 칼을 소지하고 있는 모습이 당시 상황을 알려준다.

등록번호|200055065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계룡

  • 일제강점기 계룡면 지역 유지들의 단체 사진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계룡산에 모인 계룡면 유지들의 모습이다. 유지 대부분 정장을 입고 각반을 차거나 칼을 소지하고 있는 모습이 당시 상황을 알려준다.
1935년 갑사 인근에서 촬영한 사진 2

제목| 1935년 갑사 인근에서 촬영한 사진 2

범위와내용|1935년 계룡면 유평리에 거주하던 진상옥님이 친척분들과 갑사 부근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우측에 있는 인물이 진상옥 님이다. 일제강점기 당시의 옷차림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200055064

생산일자|1935.07.05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계룡

  • 일제강점기
  • 1935년 계룡면 유평리에 거주하던 진상옥님이 친척분들과 갑사 부근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우측에 있는 인물이 진상옥 님이다. 일제강점기 당시의 옷차림을 알 수 있다.
1919년 갑사 인근에서 촬영한 사진 1

제목| 1919년 갑사 인근에서 촬영한 사진 1

범위와내용|1919년 계룡면 유평리에 거주하던 진상옥님과 친우분들의 사진으로, 갑사 진입로를 오르는 길 중간에서 촬영하였다. 좌측에서 두번째 양복을 입은 인물이 진상옥 님이다.

등록번호|200055063

생산일자|1919.10.23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계룡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계룡산 야유회 기념 단체 사진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 야유회 기념 단체 사진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야유회를 떠난 유평리 지역 유지들의 단체 사진이다. 가장 좌측 양복을 입고 지팡이를 짚은 채 앉아 있는 인물이 당시 면서기 였던 진상옥 님이다.

등록번호|20005506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계룡

  • 일제강점기 계룡산 야유회 기념 단체 사진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계룡산 야유회를 떠난 유평리 지역 유지들의 단체 사진이다. 가장 좌측 양복을 입고 지팡이를 짚은 채 앉아 있는 인물이 당시 면서기 였던 진상옥 님이다.
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 및 교사의 벚꽃놀이

제목| 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 및 교사의 벚꽃놀이

범위와내용|공주공립고등여학교 재학생과 교사가 함께 교내 벚꽃이 만개한 장소에서 촬영한 기념사진이다. 공주공립고등여학교는 1928년 4년제 과정으로 설립된 이후 1946년 6년제의 공주공립여자중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51년에 이르러 공주여중과 공주여고로 각각 분리되었다. 사진이 촬영된 정확한 시기를 확정할 수 없으나 가운데 교사의 복장으로 보아 광복이전 일제강점기의…

등록번호|200055039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아울러…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이었으며, 금강 연안 쪽에는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부에는 작은 전답과 함께…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현재 영명중고등학교 부근 유관순 열사 동상이 위치한 곳에는 전통적인 누정과 일제가 건립한 초혼사(招魂祀)가 보인다. 그 중 누정은 조선전기에 공주목사 홍석(洪錫)이 관아 부근에 있던 관정정(觀政亭)을 객사 동쪽으로 이건하며 세운…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1923년 공주면에서 발행한 가옥세 납세고지서와 영수증

1923년 공주면에서 발행한 가옥세 납세고지서와 영수증

대정 12년(1923년), 공주면에서 발행한 가옥세 납세고지서와 영수증이다. 공주면 본정에 거주하는 이동우(李東宇)씨에게 발행된 문서로, 오늘날 없어진 가옥세는 가옥의 소유자에게 부과하던 지방세로 매년 5월과 11월에 납부하도록…
1930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

1930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

1930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제3학년 오기영 학생에게 발행한 상장이다. 학생의 품행이 선량하고 학업이 우수하여 상품을 수여하고 이를 표창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1933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

1933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

1933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으로, 6학년 오기영 학생에게 수여하였다. 해당 학년 중 품행이 선량하고 학업이 우수하며, 정근하여 다음과 같이 상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다.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1930년 공주군 농회 토지 등기부

1930년 공주군 농회 토지 등기부

1930년 공주군 농회의 토지등기부 문서이다. 등기문서에는 등기신청 사유와 등기를 발급받고자하는 토지의 위치, 부속서류, 등기세 등이 상세히 적혀 있다.
1933년 공주군 농회에 기부한 부동산 증서

1933년 공주군 농회에 기부한 부동산 증서

1933년 9월 14일 공주군 신상면 유구리 407번지에 거주하는 오지영 씨가 공주군 농회에 부동산을 기부한 것을 증명하는 문서이다. 문서에는 기부자의 성명, 기부하고자 하는 부동산의 위치, 기부목적 및 내용 등이 상세히 기재되어…
1931년 공주군 장기면 주민의 납채서

1931년 공주군 장기면 주민의 납채서

1931년 공주군 장기면에 거주하는 주민이 작성한 셋째 아들의 납채서이다. 납채서는 남자 집안의 혼주가 여자의 집안으로 혼인을 청하기 위해 보내는 편지로, 사주 단자와 서신이 함께 보관되어 있다.
1927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6회 졸업기념 단체 사진

1927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6회 졸업기념 단체 사진

1927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6회 졸업 기념으로 학교 건물 앞에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학생들 대부분은 교모를 쓰고 두루마기를 교복으로 착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 줄 우측에서 다섯번째 인물이 자료기증자의 부친인 진상옥…
1922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1회 졸업기념 단체사진

1922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1회 졸업기념 단체사진

1922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1회 졸업 기념으로 학교 건물 앞에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학생들 대부분은 교모를 쓰고 두루마기를 교복으로 착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맨 앞줄은 교사진의 모습인데, 좌측에서 세번째 콧수염을 기른 인물이…
일제강점기 계룡면 지역 유지들의 단체 사진

일제강점기 계룡면 지역 유지들의 단체 사진

일제강점기 계룡산에 모인 계룡면 유지들의 모습이다. 유지 대부분 정장을 입고 각반을 차거나 칼을 소지하고 있는 모습이 당시 상황을 알려준다.
1935년 갑사 인근에서 촬영한 사진 2

1935년 갑사 인근에서 촬영한 사진 2

1935년 계룡면 유평리에 거주하던 진상옥님이 친척분들과 갑사 부근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우측에 있는 인물이 진상옥 님이다. 일제강점기 당시의 옷차림을 알 수 있다.
1919년 갑사 인근에서 촬영한 사진 1

1919년 갑사 인근에서 촬영한 사진 1

1919년 계룡면 유평리에 거주하던 진상옥님과 친우분들의 사진으로, 갑사 진입로를 오르는 길 중간에서 촬영하였다. 좌측에서 두번째 양복을 입은 인물이 진상옥 님이다.
일제강점기 계룡산 야유회 기념 단체 사진

일제강점기 계룡산 야유회 기념 단체 사진

일제강점기 계룡산 야유회를 떠난 유평리 지역 유지들의 단체 사진이다. 가장 좌측 양복을 입고 지팡이를 짚은 채 앉아 있는 인물이 당시 면서기 였던 진상옥 님이다.
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 및 교사의 벚꽃놀이

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 및 교사의 벚꽃놀이

공주공립고등여학교 재학생과 교사가 함께 교내 벚꽃이 만개한 장소에서 촬영한 기념사진이다. 공주공립고등여학교는 1928년 4년제 과정으로 설립된 이후 1946년 6년제의 공주공립여자중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51년에 이르러 공주여중과…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500010507; 500010507; 500010507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500010504; 500010504; 500010504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500010503; 500010503; 500010503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500010502; 500010502; 500010502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500010501; 500010501; 500010501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500010499; 500010499; 500010499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500010657; 500010657; 500010657    1923년 공주면에서 발행한 가옥세 납세고지서와 영수증

500010613; 500010613; 500010613    1930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

500010612; 500010612; 500010612    1933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

500010598; 500010598; 500010598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500010579; 500010579; 500010579    1930년 공주군 농회 토지 등기부

500010578; 500010578; 500010578    1933년 공주군 농회에 기부한 부동산 증서

500010575; 500010575; 500010575    1931년 공주군 장기면 주민의 납채서

200055067; 200055067; 200055067    1927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6회 졸업기념 단체 사진

200055066; 200055066; 200055066    1922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1회 졸업기념 단체사진

200055065; 200055065; 200055065    일제강점기 계룡면 지역 유지들의 단체 사진

200055064; 200055064; 200055064    1935년 갑사 인근에서 촬영한 사진 2

200055063; 200055063; 200055063    1919년 갑사 인근에서 촬영한 사진 1

200055062; 200055062; 200055062    일제강점기 계룡산 야유회 기념 단체 사진

200055039; 200055039; 200055039    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 및 교사의 벚꽃놀이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1050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8130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1050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8130의 복본이다.

제목|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이었으며, 금강 연안 쪽에는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부에는 작은 전답과 함께 작은 집 2채가 존재한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739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1050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이었으며, 금강 연안 쪽에는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부에는 작은 전답과 함께 작은 집 2채가 존재한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7397의 복본이다.

제목|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범위와내용|현재 영명중고등학교 부근 유관순 열사 동상이 위치한 곳에는 전통적인 누정과 일제가 건립한 초혼사(招魂祀)가 보인다. 그 중 누정은 조선전기에 공주목사 홍석(洪錫)이 관아 부근에 있던 관정정(觀政亭)을 객사 동쪽으로 이건하며 세운 취원루(聚遠樓)로 추정된다. 누정 뒤로 연미산이 보이며, 우측 상단은 현재 공주시가지 전망대로 지금도 엽서 속 나무가 현존한다.…

등록번호|50001050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범위와내용|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양측으로 작은 게시판 2기가 세워져 있다. 또, 우측으로 망루역할을 위한 높은 사다리도 세워져있다. 아울러 본 자료는…

등록번호|50001050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하나였다. 이곳과 함께 공북루 앞에서 나룻배를 타고 강을 오갔다. 이후 앞서 언급한 금강 목교가 1915년 가설되어 이곳에서의…

등록번호|50001049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하나였다. 이곳과 함께 공북루 앞에서 나룻배를 타고 강을 오갔다. 이후 앞서 언급한 금강 목교가 1915년 가설되어 이곳에서의 도선업은 쇠퇴하지만, 1940년대까지 미곡송출선과 상선 등이 물자를 금강 하구언까지 나르는

제목| 1923년 공주면에서 발행한 가옥세 납세고지서와 영수증

범위와내용|대정 12년(1923년), 공주면에서 발행한 가옥세 납세고지서와 영수증이다. 공주면 본정에 거주하는 이동우(李東宇)씨에게 발행된 문서로, 오늘날 없어진 가옥세는 가옥의 소유자에게 부과하던 지방세로 매년 5월과 11월에 납부하도록 고지서를 발행했다가 1961년 12월, 선세와 함께 재산세에 흡수하여 폐지되었다.

등록번호|500010657

생산일자|1923.04.01

형태|문서류>문서 전자파일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제목| 1930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

범위와내용|1930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제3학년 오기영 학생에게 발행한 상장이다. 학생의 품행이 선량하고 학업이 우수하여 상품을 수여하고 이를 표창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613

생산일자|1930.03.25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우성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제목| 1933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

범위와내용|1933년 우성공립보통학교에서 발행한 상장으로, 6학년 오기영 학생에게 수여하였다. 해당 학년 중 품행이 선량하고 학업이 우수하며, 정근하여 다음과 같이 상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다.

등록번호|500010612

생산일자|1933.03.23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우성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제목|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98

생산일자|1911.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마곡사

  • 일제강점기

제목| 1930년 공주군 농회 토지 등기부

범위와내용|1930년 공주군 농회의 토지등기부 문서이다. 등기문서에는 등기신청 사유와 등기를 발급받고자하는 토지의 위치, 부속서류, 등기세 등이 상세히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79

생산일자|1930.08.3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공공기관

  • 일제강점기

제목| 1933년 공주군 농회에 기부한 부동산 증서

범위와내용|1933년 9월 14일 공주군 신상면 유구리 407번지에 거주하는 오지영 씨가 공주군 농회에 부동산을 기부한 것을 증명하는 문서이다. 문서에는 기부자의 성명, 기부하고자 하는 부동산의 위치, 기부목적 및 내용 등이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기부자는 자신이 소유한 부동산을 공주군 농회의 잠견공동판매장 부지로 제공하기 위해 기부하였고, 해당 부지는…

등록번호|500010578

생산일자|1933.09.14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공공기관

  • 일제강점기

제목| 1931년 공주군 장기면 주민의 납채서

범위와내용|1931년 공주군 장기면에 거주하는 주민이 작성한 셋째 아들의 납채서이다. 납채서는 남자 집안의 혼주가 여자의 집안으로 혼인을 청하기 위해 보내는 편지로, 사주 단자와 서신이 함께 보관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575

생산일자|1931.12.2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읍면자료>동>월송

  • 일제강점기

제목| 1927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6회 졸업기념 단체 사진

범위와내용|1927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6회 졸업 기념으로 학교 건물 앞에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학생들 대부분은 교모를 쓰고 두루마기를 교복으로 착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 줄 우측에서 다섯번째 인물이 자료기증자의 부친인 진상옥 님이다. 자료 상단에 '계룡공립보통학교 제6회 졸업기념'이라는 문구가 날짜와 함께 기입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55067

생산일자|1927.03.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계룡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제목| 1922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1회 졸업기념 단체사진

범위와내용|1922년 계룡공립보통학교 제1회 졸업 기념으로 학교 건물 앞에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학생들 대부분은 교모를 쓰고 두루마기를 교복으로 착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맨 앞줄은 교사진의 모습인데, 좌측에서 세번째 콧수염을 기른 인물이 1대 일본인교장이며, 그 오른쪽이 자료소장자의 6촌 형님인 진상구 님이다.

등록번호|200055066

생산일자|192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초등교육>공립>계룡초등학교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면 지역 유지들의 단체 사진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에 모인 계룡면 유지들의 모습이다. 유지 대부분 정장을 입고 각반을 차거나 칼을 소지하고 있는 모습이 당시 상황을 알려준다.

등록번호|200055065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계룡

  • 일제강점기 계룡면 지역 유지들의 단체 사진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계룡산에 모인 계룡면 유지들의 모습이다. 유지 대부분 정장을 입고 각반을 차거나 칼을 소지하고 있는 모습이 당시 상황을 알려준다.

제목| 1935년 갑사 인근에서 촬영한 사진 2

범위와내용|1935년 계룡면 유평리에 거주하던 진상옥님이 친척분들과 갑사 부근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우측에 있는 인물이 진상옥 님이다. 일제강점기 당시의 옷차림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200055064

생산일자|1935.07.05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계룡

  • 일제강점기
  • 1935년 계룡면 유평리에 거주하던 진상옥님이 친척분들과 갑사 부근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우측에 있는 인물이 진상옥 님이다. 일제강점기 당시의 옷차림을 알 수 있다.

제목| 1919년 갑사 인근에서 촬영한 사진 1

범위와내용|1919년 계룡면 유평리에 거주하던 진상옥님과 친우분들의 사진으로, 갑사 진입로를 오르는 길 중간에서 촬영하였다. 좌측에서 두번째 양복을 입은 인물이 진상옥 님이다.

등록번호|200055063

생산일자|1919.10.23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계룡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계룡산 야유회 기념 단체 사진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야유회를 떠난 유평리 지역 유지들의 단체 사진이다. 가장 좌측 양복을 입고 지팡이를 짚은 채 앉아 있는 인물이 당시 면서기 였던 진상옥 님이다.

등록번호|20005506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계룡

  • 일제강점기 계룡산 야유회 기념 단체 사진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계룡산 야유회를 떠난 유평리 지역 유지들의 단체 사진이다. 가장 좌측 양복을 입고 지팡이를 짚은 채 앉아 있는 인물이 당시 면서기 였던 진상옥 님이다.

제목| 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 및 교사의 벚꽃놀이

범위와내용|공주공립고등여학교 재학생과 교사가 함께 교내 벚꽃이 만개한 장소에서 촬영한 기념사진이다. 공주공립고등여학교는 1928년 4년제 과정으로 설립된 이후 1946년 6년제의 공주공립여자중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51년에 이르러 공주여중과 공주여고로 각각 분리되었다. 사진이 촬영된 정확한 시기를 확정할 수 없으나 가운데 교사의 복장으로 보아 광복이전 일제강점기의…

등록번호|200055039

생산일자|194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여자고등학교

  • 일제강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