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남벽에 그려진 주작벽화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168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서벽에 그려진 백호벽화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167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동벽에 그려진 청룡벽화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166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에서 연도를 촬영한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57165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연도 내에서 촬영한 전벽 내측부의 모습이다. 벽돌의 문양이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이 특징이다.

등록번호|200057164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연도의 앞쪽 벽면 모습이다. 배수관과 함께 연도의 벽면 보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163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배수관의 모습이다. 벽돌로 배수관이 조형된 모습에서 6호분이 전축분이라는 특성을 엿 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162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 중심의 발굴조사가 진행된 후 정비가 이뤄진 고분군 일원의 모습이다. 오늘날 공주보가 조성된 금강 하류부근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무령왕릉 동북쪽 사면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7161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이 발굴을 진행한 후 정돈된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집으로 간행한 자료의 해설문이다. 경부자은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본 해설문에 따르면, '송산리 제6호분은 공주읍의 서북쪽 1개 지점에 있으며, 부근 일대 구릉은 백제시대에 고분지대를 이룬 곳이다. 1933.08.01에 발견된 이 고분은 전축분의 형상이며…

등록번호|200057160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이 이뤄진 후 정돈된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집으로 간행한 자료의 봉투이다. 공주에 있는 사토사진관(佐藤사진관)에서 발행하였다. 황색에 은박으로 문양 및 글자를 입혔으며, 앞면에는 '공주송산리제6호분 백제왕릉사진'이라고 쓰여 있다.

등록번호|200057159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1910년대 공주 마곡사의 모습

제목| 1910년대 공주 마곡사의 모습

범위와내용|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각지역의 대표사진 중 공주 마곡사의 모습이다. 본 자료의 제목에 따르면 '마곡사(충청남도 내 총본산)-소재지 공주군 사곡면'이라고 적혀있다. 대웅보전과 대광보전, 마곡사 다보탑의 모습이 산세를 따라 이어진다. 자료 좌측 부근에 위치한 건물은 오늘날 멸실된 건물이고, 다보탑의 위치는 오늘날 위치와 달리…

등록번호|200057359

생산일자|1917.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일제강점기
1910년대 공주시가지의 모습

제목| 1910년대 공주시가지의 모습

범위와내용|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각지역의 대표사진 중 공주시가 전경사진이다. 오늘날 선교사 묘역 부근에서 공주영명학교와 3.1중앙공원, 시가지, 공산성, 금강 방향을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의 제목에 따르면 '공주시가지와 산성공원을 바라본 모습이고, 산성은 백제의 옛 성지이다. 더불어 공주는 충청남도 도청의 소재지이다.'라고 적혀있다.…

등록번호|200057358

생산일자|191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

  • 일제강점기
1903년 공주우편국 청사(일부)

제목| 1903년 공주우편국 청사(일부)

범위와내용|1895년 정부에서 선포한 우체사관제를 통해 공주우체사 설치가 공포된 후 1896.02.16 오늘날 중동 큰 사거리와 작은 사거리 사이 차부 뒷편에서 개설한 최초의 공주우체국의 모습이다. 이후 1913년 12월 지금의 공주우체국 자리로 이전하기 전까지 본 자료 속 모습으로 우체국이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7207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1945년 금성금융조합 거치예금증서

제목| 1945년 금성금융조합 거치예금증서

범위와내용|1945년 공주 금성금융조합에서 발행한 통장으로, 표지를 제외하고 약 10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표지에는 '거치예금증서'라는 제목과 함께 예금자의 성명과 주소 등이 기재되어 있으며, 계약서 및 약관도 내지에 탑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572

생산일자|1945.06.2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5

제목|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5

범위와내용|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보험자와 계약자, 납부방법 등 적는 인적사항란, 병합불입, 주의사항란 등을 기재하는 곳이 마련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564

생산일자|1942.08.25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4

제목|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4

범위와내용|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보험자와 계약자, 납부방법 등 적는 인적사항란, 병합불입, 주의사항란 등을 기재하는 곳이 마련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563

생산일자|1942.08.25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3

제목|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3

범위와내용|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앞면은 보험료 각월별 분을 납부한 후, 납부일과 수납자의 도장을 찍고 눈에 띄도록 상/하단 일부를 떼어낼 수 있도록 절취선을 만들어 놓았다. 뒷면은 보험료 불입, 분할납부, 지급 및 납부, 병합불입 영수장 관리 등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562

생산일자|1942.08.25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2

제목|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2

범위와내용|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앞면은 보험료 각월별 분을 납부한 후, 납부일과 수납자의 도장을 찍고 눈에 띄도록 상/하단 일부를 떼어낼 수 있도록 절취선을 만들어 놓았다. 뒷면은 병합불입(倂合拂入)사항을 기재하는 곳이다.

등록번호|500010561

생산일자|1942.08.25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1

제목|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1

범위와내용|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앞면은 표지부분으로, 매월 납부할 금액과 기익, 납부방법, 계약자 및 피보험자 등의 인적사항이 적혀있다. 한편 보험료영수장에는 보험료 각월별 분을 납부한 후, 납부일과 수납자의 도장을 찍고 눈에 띄도록 상/하단 일부를 떼어낼 수 있도록 절취선을…

등록번호|500010560

생산일자|1942.08.25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조선간이생명보험증서

제목|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조선간이생명보험증서

범위와내용|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조선간이생명보험증서로, 피보험자는 공주군 장암리 주민이다. 증서에는 보험금 3백원에 대한 보험기간 및 계약자, 수취인 등의 내용과 함께 조선간이생명보험수급과 부속법령에 의해 조선간이생명보험 계약을 체결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계약 후 본 증서를 계약자에게 교부하였다. 후면에는 보험, 납입 수령등의 절차 및…

등록번호|500010559

생산일자|1942.08.25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남벽에 그려진 주작벽화의 모습이다.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서벽에 그려진 백호벽화의 모습이다.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동벽에 그려진 청룡벽화의 모습이다.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에서 연도를 촬영한 자료이다.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연도 내에서 촬영한 전벽 내측부의 모습이다. 벽돌의 문양이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이 특징이다.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연도의 앞쪽 벽면 모습이다. 배수관과 함께 연도의 벽면 보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배수관의 모습이다. 벽돌로 배수관이 조형된 모습에서 6호분이 전축분이라는 특성을 엿 볼 수 있다.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 중심의 발굴조사가 진행된 후 정비가 이뤄진 고분군 일원의 모습이다. 오늘날 공주보가 조성된 금강 하류부근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무령왕릉 동북쪽 사면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추정된다.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이 발굴을 진행한 후 정돈된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집으로 간행한 자료의 해설문이다. 경부자은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본 해설문에 따르면, '송산리 제6호분은 공주읍의 서북쪽 1개…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이 이뤄진 후 정돈된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집으로 간행한 자료의 봉투이다. 공주에 있는 사토사진관(佐藤사진관)에서 발행하였다. 황색에 은박으로 문양 및 글자를 입혔으며,…
1910년대 공주 마곡사의 모습

1910년대 공주 마곡사의 모습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각지역의 대표사진 중 공주 마곡사의 모습이다. 본 자료의 제목에 따르면 '마곡사(충청남도 내 총본산)-소재지 공주군 사곡면'이라고 적혀있다. 대웅보전과 대광보전, 마곡사 다보탑의…
1910년대 공주시가지의 모습

1910년대 공주시가지의 모습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각지역의 대표사진 중 공주시가 전경사진이다. 오늘날 선교사 묘역 부근에서 공주영명학교와 3.1중앙공원, 시가지, 공산성, 금강 방향을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의 제목에 따르면…
1903년 공주우편국 청사(일부)

1903년 공주우편국 청사(일부)

1895년 정부에서 선포한 우체사관제를 통해 공주우체사 설치가 공포된 후 1896.02.16 오늘날 중동 큰 사거리와 작은 사거리 사이 차부 뒷편에서 개설한 최초의 공주우체국의 모습이다. 이후 1913년 12월 지금의 공주우체국…
1945년 금성금융조합 거치예금증서

1945년 금성금융조합 거치예금증서

1945년 공주 금성금융조합에서 발행한 통장으로, 표지를 제외하고 약 10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표지에는 '거치예금증서'라는 제목과 함께 예금자의 성명과 주소 등이 기재되어 있으며, 계약서 및 약관도 내지에 탑재되어 있다.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5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5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보험자와 계약자, 납부방법 등 적는 인적사항란, 병합불입, 주의사항란 등을 기재하는 곳이 마련되어 있다.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4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4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보험자와 계약자, 납부방법 등 적는 인적사항란, 병합불입, 주의사항란 등을 기재하는 곳이 마련되어 있다.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3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3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앞면은 보험료 각월별 분을 납부한 후, 납부일과 수납자의 도장을 찍고 눈에 띄도록 상/하단 일부를 떼어낼 수 있도록…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2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2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앞면은 보험료 각월별 분을 납부한 후, 납부일과 수납자의 도장을 찍고 눈에 띄도록 상/하단 일부를 떼어낼 수 있도록…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1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1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앞면은 표지부분으로, 매월 납부할 금액과 기익, 납부방법, 계약자 및 피보험자 등의 인적사항이 적혀있다. 한편…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조선간이생명보험증서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조선간이생명보험증서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조선간이생명보험증서로, 피보험자는 공주군 장암리 주민이다. 증서에는 보험금 3백원에 대한 보험기간 및 계약자, 수취인 등의 내용과 함께 조선간이생명보험수급과 부속법령에 의해 조선간이생명보험…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200057168; 200057168; 200057168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200057167; 200057167; 200057167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200057166; 200057166; 200057166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200057165; 200057165; 200057165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200057164; 200057164; 200057164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200057163; 200057163; 200057163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200057162; 200057162; 200057162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200057161; 200057161; 200057161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200057160; 200057160; 200057160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200057159; 200057159; 200057159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200057359; 200057359; 200057359    1910년대 공주 마곡사의 모습

200057358; 200057358; 200057358    1910년대 공주시가지의 모습

200057207; 200057207; 200057207    1903년 공주우편국 청사(일부)

500010572    1945년 금성금융조합 거치예금증서

500010564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5

500010563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4

500010562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3

500010561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2

500010560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1

500010559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조선간이생명보험증서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155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남벽에 그려진 주작벽화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168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서벽에 그려진 백호벽화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167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동벽에 그려진 청룡벽화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7166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에서 연도를 촬영한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57165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연도 내에서 촬영한 전벽 내측부의 모습이다. 벽돌의 문양이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이 특징이다.

등록번호|200057164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연도의 앞쪽 벽면 모습이다. 배수관과 함께 연도의 벽면 보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163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배수관의 모습이다. 벽돌로 배수관이 조형된 모습에서 6호분이 전축분이라는 특성을 엿 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162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 중심의 발굴조사가 진행된 후 정비가 이뤄진 고분군 일원의 모습이다. 오늘날 공주보가 조성된 금강 하류부근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무령왕릉 동북쪽 사면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7161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이 발굴을 진행한 후 정돈된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집으로 간행한 자료의 해설문이다. 경부자은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본 해설문에 따르면, '송산리 제6호분은 공주읍의 서북쪽 1개 지점에 있으며, 부근 일대 구릉은 백제시대에 고분지대를 이룬 곳이다. 1933.08.01에 발견된 이 고분은 전축분의 형상이며…

등록번호|200057160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제목|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범위와내용|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이 이뤄진 후 정돈된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집으로 간행한 자료의 봉투이다. 공주에 있는 사토사진관(佐藤사진관)에서 발행하였다. 황색에 은박으로 문양 및 글자를 입혔으며, 앞면에는 '공주송산리제6호분 백제왕릉사진'이라고 쓰여 있다.

등록번호|200057159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일제강점기

제목| 1910년대 공주 마곡사의 모습

범위와내용|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각지역의 대표사진 중 공주 마곡사의 모습이다. 본 자료의 제목에 따르면 '마곡사(충청남도 내 총본산)-소재지 공주군 사곡면'이라고 적혀있다. 대웅보전과 대광보전, 마곡사 다보탑의 모습이 산세를 따라 이어진다. 자료 좌측 부근에 위치한 건물은 오늘날 멸실된 건물이고, 다보탑의 위치는 오늘날 위치와 달리…

등록번호|200057359

생산일자|1917.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일제강점기

제목| 1910년대 공주시가지의 모습

범위와내용|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각지역의 대표사진 중 공주시가 전경사진이다. 오늘날 선교사 묘역 부근에서 공주영명학교와 3.1중앙공원, 시가지, 공산성, 금강 방향을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의 제목에 따르면 '공주시가지와 산성공원을 바라본 모습이고, 산성은 백제의 옛 성지이다. 더불어 공주는 충청남도 도청의 소재지이다.'라고 적혀있다.…

등록번호|200057358

생산일자|191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

  • 일제강점기

제목| 1903년 공주우편국 청사(일부)

범위와내용|1895년 정부에서 선포한 우체사관제를 통해 공주우체사 설치가 공포된 후 1896.02.16 오늘날 중동 큰 사거리와 작은 사거리 사이 차부 뒷편에서 개설한 최초의 공주우체국의 모습이다. 이후 1913년 12월 지금의 공주우체국 자리로 이전하기 전까지 본 자료 속 모습으로 우체국이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7207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제목| 1945년 금성금융조합 거치예금증서

범위와내용|1945년 공주 금성금융조합에서 발행한 통장으로, 표지를 제외하고 약 10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표지에는 '거치예금증서'라는 제목과 함께 예금자의 성명과 주소 등이 기재되어 있으며, 계약서 및 약관도 내지에 탑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572

생산일자|1945.06.2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제목|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5

범위와내용|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보험자와 계약자, 납부방법 등 적는 인적사항란, 병합불입, 주의사항란 등을 기재하는 곳이 마련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564

생산일자|1942.08.25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제목|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4

범위와내용|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보험자와 계약자, 납부방법 등 적는 인적사항란, 병합불입, 주의사항란 등을 기재하는 곳이 마련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563

생산일자|1942.08.25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제목|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3

범위와내용|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앞면은 보험료 각월별 분을 납부한 후, 납부일과 수납자의 도장을 찍고 눈에 띄도록 상/하단 일부를 떼어낼 수 있도록 절취선을 만들어 놓았다. 뒷면은 보험료 불입, 분할납부, 지급 및 납부, 병합불입 영수장 관리 등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562

생산일자|1942.08.25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제목|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2

범위와내용|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앞면은 보험료 각월별 분을 납부한 후, 납부일과 수납자의 도장을 찍고 눈에 띄도록 상/하단 일부를 떼어낼 수 있도록 절취선을 만들어 놓았다. 뒷면은 병합불입(倂合拂入)사항을 기재하는 곳이다.

등록번호|500010561

생산일자|1942.08.25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제목|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영수장 1

범위와내용|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생명보험료 영수장으로, 생명보험가입에 따라 납부한 보험료를 영수하고 있다. 앞면은 표지부분으로, 매월 납부할 금액과 기익, 납부방법, 계약자 및 피보험자 등의 인적사항이 적혀있다. 한편 보험료영수장에는 보험료 각월별 분을 납부한 후, 납부일과 수납자의 도장을 찍고 눈에 띄도록 상/하단 일부를 떼어낼 수 있도록 절취선을…

등록번호|500010560

생산일자|1942.08.25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

제목| 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조선간이생명보험증서

범위와내용|1942년 조선총독부 체신국에서 발행한 조선간이생명보험증서로, 피보험자는 공주군 장암리 주민이다. 증서에는 보험금 3백원에 대한 보험기간 및 계약자, 수취인 등의 내용과 함께 조선간이생명보험수급과 부속법령에 의해 조선간이생명보험 계약을 체결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계약 후 본 증서를 계약자에게 교부하였다. 후면에는 보험, 납입 수령등의 절차 및…

등록번호|500010559

생산일자|1942.08.25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일제강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