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代孕收费价格-(微信38332747)-美国代孕生子成功率最高-广州三甲医院式管代孕-郑州代孕服务收费价格-(微信38332747)-深圳代孕生子成功率最高2S 검색결과 : 2396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제목| 총독부성명(總督府聲明)에 신뢰(信賴) 소신(所信)대로 맹진방침(猛進方針)

범위와내용|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31_02_20_v0002_0260

등록번호|100014355

생산일자|1931.02.20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총독부성명(總督府聲明)에 신뢰(賴) 소신(所)대로 맹진방침(猛進方針)
  • 일제강점기

제목| 안신영(安信永)氏 송별, 음악과 축구로, 영명학교 교사로 있다가 정의여고보로 전근되어

범위와내용|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35_04_14_w0003_0530

등록번호|100014535

생산일자|1935.04.14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안신영(安永)氏 송별, 음악과 축구로, 영명학교 교사로 있다가 정의여고보로 전근되어
  • 일제강점기

제목| 각지편신 (各地片信)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41539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744

생산일자|1930.03.30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각지편신 (各地片)
  • 일제강점기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봉황산에서 당시 영명실수학교가 위치한 앵산공원 방면을 향해 찍은 공주시가 전경이다. 앵산공원에 자리잡은 좌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본관이자 남자부 교사(校舍)이며, 우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여자부 교사이다. 여자부 교사는 향후 영명중학교 특별활동 교실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한편 사진…

등록번호|200059064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 일제강점기
  • 보이며, 하단에는 옛 충남도청 맞은 편에 위치했던 공주공립고등여학교의 기숙사 '정신료(貞寮)'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공산지 필사본

제목| 공산지 필사본

범위와내용|대정 12년, 계해년(1923년)에 간행된 원본의…

등록번호|100020648

생산일자|1923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 일제강점기
정희찬 만사(輓詞) ③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③

범위와내용|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석영(李錫永)이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4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정희찬 만사(輓詞) ②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②

범위와내용|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규재(李奎宰)가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정희찬 만사(輓詞) ①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①

범위와내용|‘정축 3월 9일’, 즉 1937년 3월 정홍식의 아들 정희찬이 죽음을 애도하기 위하여 친한 아우 신가균(申可均)이 지은 만사(輓詞)이다. 만사의 서두에 정희찬의 호를 따서 ‘우포(愚圃) 형’이라고 부르며 시작하고 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8

생산일자|1937년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제목|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에서 보낸 통문을 받고, 익산군의 매곡사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16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매곡사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7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제목|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으로부터 통문을 받고 전북 익산군의 오강서원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20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오강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6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제목|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전북 정읍 무성서원의 김환풍(金煥豊) 외 20명이 정홍식을 연재 송병선, 만포 정제호, 모은 정동식이 배향된 백산서원에 추배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각 도 군내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이다. 연호 위에 무성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5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제목|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7년 3월 노성향교 유림들이 정사홍의 업적을 추숭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박승규(朴勝圭) 외 28인이각 지역 서원과 향교에 보내는 통문이다.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노성향교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4

생산일자|1927년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제목|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4년 4월정사홍을 추숭하기 위하여 한 목소리를 내자고 노성 궐리사 유회소 재임 전 참봉 박병문(朴炳文)외 26명이 각 군의 서원과 사우에 보내는 통문.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궐리사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3

생산일자|1924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개교 10주년 기념 건립 국기계양대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개교 10주년 기념 건립 국기계양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개교10주년을 맞이해 국기게양대를 촬영하였다. 사진의 중앙에 일장기가 게양대에 걸려있고 그 밑에 학생들이 고개를 숙여 경례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9786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일제강점기
  •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개교10주년을 맞이해 국기게양대를 촬영하였다. 사진의 중앙에 일장기가 게양대에 걸려있고 그 밑에 학생들이 고개를 숙여 경례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 일제강점기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식산은행 전경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식산은행 전경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식산은행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59785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식산은행 전경
  • 일제강점기
  •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식산은행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를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59784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일제강점기
  •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를 촬영하였다.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구 도청건물(현 사대부고 자리)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구 도청건물(현 사대부고 자리)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충남도청을 촬영하였다. 사진 옆에 '입학사무, 입학식이 진행됨'이라고 쓰여져 있다.

등록번호|20005978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구 도청건물(현 사대부고 자리)
  • 일제강점기
  •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충남도청을 촬영하였다. 사진 옆에 '입학사무, 입학식이 진행됨'이라고 쓰여져 있다.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배다리 형태의 금강교(渡般橋)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배다리 형태의 금강교(渡般橋)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 금강에 있던 배다리 금강교를 촬영하였다. 사진 옆에 '1932년까지 존속됨'이라는 메모가 있다.

등록번호|20005978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배다리 형태의 금강교(渡般橋)
  • 일제강점기
  •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 금강에 있던 배다리 금강교를 촬영하였다. 사진 옆에 '1932년까지 존속됨'이라는 메모가 있다.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2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2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시가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59781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2
  • 일제강점기
  •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시가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1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1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시가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59780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1
  • 일제강점기
  •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시가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代孕收费价格-(微信38332747)-美国代孕生子成功率最高-广州三甲医院式管代孕-郑州代孕服务收费价格-(微信38332747)-深圳代孕生子成功率最高2S 검색결과 : 2396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총독부성명(總督府聲明)에 신뢰(信賴) 소신(所信)대로 맹진방침(猛進方針)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31_02_20_v0002_0260

안신영(安信永)氏 송별, 음악과 축구로, 영명학교 교사로 있다가 정의여고보로 전근되어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35_04_14_w0003_0530

각지편신 (各地片信)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41539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봉황산에서 당시 영명실수학교가 위치한 앵산공원 방면을 향해 찍은 공주시가 전경이다. 앵산공원에 자리잡은 좌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본관이자 남자부…
공산지 필사본

공산지 필사본

대정 12년, 계해년(1923년)에 간행된 원본의…
정희찬 만사(輓詞) ③

정희찬 만사(輓詞) ③

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석영(李錫永)이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정희찬 만사(輓詞) ②

정희찬 만사(輓詞) ②

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규재(李奎宰)가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정희찬 만사(輓詞) ①

정희찬 만사(輓詞) ①

‘정축 3월 9일’, 즉 1937년 3월 정홍식의 아들 정희찬이 죽음을 애도하기 위하여 친한 아우 신가균(申可均)이 지은 만사(輓詞)이다. 만사의 서두에 정희찬의 호를 따서 ‘우포(愚圃) 형’이라고 부르며 시작하고 있다. 원형의…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1941년 4월 무성서원에서 보낸 통문을 받고, 익산군의 매곡사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16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매곡사의 인장이 찍혀 있다.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1941년 4월 무성서원으로부터 통문을 받고 전북 익산군의 오강서원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20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오강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1941년 4월 전북 정읍 무성서원의 김환풍(金煥豊) 외 20명이 정홍식을 연재 송병선, 만포 정제호, 모은 정동식이 배향된 백산서원에 추배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각 도 군내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이다. 연호 위에…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1927년 3월 노성향교 유림들이 정사홍의 업적을 추숭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박승규(朴勝圭) 외 28인이각 지역 서원과 향교에 보내는 통문이다.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노성향교 인장이 찍혀 있다.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1924년 4월정사홍을 추숭하기 위하여 한 목소리를 내자고 노성 궐리사 유회소 재임 전 참봉 박병문(朴炳文)외 26명이 각 군의 서원과 사우에 보내는 통문.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궐리사 인장이 찍혀 있다.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개교 10주년 기념 건립 국기계양대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개교 10주년 기념 건립 국기계양대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개교10주년을 맞이해 국기게양대를 촬영하였다. 사진의 중앙에 일장기가 게양대에 걸려있고 그 밑에 학생들이 고개를 숙여 경례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식산은행 전경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식산은행 전경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식산은행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를 촬영하였다.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구 도청건물(현 사대부고 자리)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구 도청건물(현 사대부고 자리)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충남도청을 촬영하였다. 사진 옆에 '입학사무, 입학식이 진행됨'이라고 쓰여져 있다.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배다리 형태의 금강교(渡般橋)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배다리 형태의 금강교(渡般橋)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 금강에 있던 배다리 금강교를 촬영하였다. 사진 옆에 '1932년까지 존속됨'이라는 메모가 있다.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2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2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시가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1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1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시가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代孕收费价格-(微信38332747)-美国代孕生子成功率最高-广州三甲医院式管代孕-郑州代孕服务收费价格-(微信38332747)-深圳代孕生子成功率最高2S 검색결과 : 2396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代孕收费价格-(微信38332747)-美国代孕生子成功率最高-广州三甲医院式管代孕-郑州代孕服务收费价格-(微信38332747)-深圳代孕生子成功率最高2S 검색결과 : 2396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100014355    총독부성명(總督府聲明)에 신뢰(信賴) 소신(所信)대로 맹진방침(猛進方針)

100014535    안신영(安信永)氏 송별, 음악과 축구로, 영명학교 교사로 있다가 정의여고보로 전근되어

100015744    각지편신 (各地片信)

200059064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100020648    공산지 필사본

500011940    정희찬 만사(輓詞) ③

500011939    정희찬 만사(輓詞) ②

500011938    정희찬 만사(輓詞) ①

500011937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500011936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500011935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500011934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500011933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200059786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개교 10주년 기념 건립 국기계양대

200059785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식산은행 전경

200059784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

200059783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구 도청건물(현 사대부고 자리)

200059782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배다리 형태의 금강교(渡般橋)

200059781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2

200059780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1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代孕收费价格-(微信38332747)-美国代孕生子成功率最高-广州三甲医院式管代孕-郑州代孕服务收费价格-(微信38332747)-深圳代孕生子成功率最高2S 검색결과 : 2396건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제목| 총독부성명(總督府聲明)에 신뢰(信賴) 소신(所信)대로 맹진방침(猛進方針)

범위와내용|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31_02_20_v0002_0260

등록번호|100014355

생산일자|1931.02.20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총독부성명(總督府聲明)에 신뢰(賴) 소신(所)대로 맹진방침(猛進方針)
  • 일제강점기

제목| 안신영(安信永)氏 송별, 음악과 축구로, 영명학교 교사로 있다가 정의여고보로 전근되어

범위와내용|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35_04_14_w0003_0530

등록번호|100014535

생산일자|1935.04.14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안신영(安永)氏 송별, 음악과 축구로, 영명학교 교사로 있다가 정의여고보로 전근되어
  • 일제강점기

제목| 각지편신 (各地片信)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41539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744

생산일자|1930.03.30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각지편신 (各地片)
  • 일제강점기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봉황산에서 당시 영명실수학교가 위치한 앵산공원 방면을 향해 찍은 공주시가 전경이다. 앵산공원에 자리잡은 좌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본관이자 남자부 교사(校舍)이며, 우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여자부 교사이다. 여자부 교사는 향후 영명중학교 특별활동 교실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한편 사진…

등록번호|200059064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 일제강점기
  • 보이며, 하단에는 옛 충남도청 맞은 편에 위치했던 공주공립고등여학교의 기숙사 '정신료(貞寮)'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제목| 공산지 필사본

범위와내용|대정 12년, 계해년(1923년)에 간행된 원본의…

등록번호|100020648

생산일자|1923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 일제강점기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③

범위와내용|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석영(李錫永)이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4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②

범위와내용|비슷한 모양으로 인쇄된 만사의 양식을 고려하여 정희찬의 만사로 추정된다. 덕수이씨 이규재(李奎宰)가 지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정희찬 만사(輓詞) ①

범위와내용|‘정축 3월 9일’, 즉 1937년 3월 정홍식의 아들 정희찬이 죽음을 애도하기 위하여 친한 아우 신가균(申可均)이 지은 만사(輓詞)이다. 만사의 서두에 정희찬의 호를 따서 ‘우포(愚圃) 형’이라고 부르며 시작하고 있다. 원형의 보관통에 담겨 보관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938

생산일자|1937년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에서 보낸 통문을 받고, 익산군의 매곡사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16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매곡사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7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으로부터 통문을 받고 전북 익산군의 오강서원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20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오강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6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전북 정읍 무성서원의 김환풍(金煥豊) 외 20명이 정홍식을 연재 송병선, 만포 정제호, 모은 정동식이 배향된 백산서원에 추배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각 도 군내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이다. 연호 위에 무성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5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7년 3월 노성향교 유림들이 정사홍의 업적을 추숭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박승규(朴勝圭) 외 28인이각 지역 서원과 향교에 보내는 통문이다.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노성향교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4

생산일자|1927년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4년 4월정사홍을 추숭하기 위하여 한 목소리를 내자고 노성 궐리사 유회소 재임 전 참봉 박병문(朴炳文)외 26명이 각 군의 서원과 사우에 보내는 통문.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궐리사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3

생산일자|1924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개교 10주년 기념 건립 국기계양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개교10주년을 맞이해 국기게양대를 촬영하였다. 사진의 중앙에 일장기가 게양대에 걸려있고 그 밑에 학생들이 고개를 숙여 경례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9786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일제강점기
  •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개교10주년을 맞이해 국기게양대를 촬영하였다. 사진의 중앙에 일장기가 게양대에 걸려있고 그 밑에 학생들이 고개를 숙여 경례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 일제강점기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식산은행 전경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식산은행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59785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식산은행 전경
  • 일제강점기
  •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식산은행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공주고등학교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를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59784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일제강점기
  •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회 입학식을 했던 장소를 촬영하였다.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구 도청건물(현 사대부고 자리)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충남도청을 촬영하였다. 사진 옆에 '입학사무, 입학식이 진행됨'이라고 쓰여져 있다.

등록번호|20005978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구 도청건물(현 사대부고 자리)
  • 일제강점기
  •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충남도청을 촬영하였다. 사진 옆에 '입학사무, 입학식이 진행됨'이라고 쓰여져 있다.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배다리 형태의 금강교(渡般橋)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 금강에 있던 배다리 금강교를 촬영하였다. 사진 옆에 '1932년까지 존속됨'이라는 메모가 있다.

등록번호|200059782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배다리 형태의 금강교(渡般橋)
  • 일제강점기
  •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 금강에 있던 배다리 금강교를 촬영하였다. 사진 옆에 '1932년까지 존속됨'이라는 메모가 있다.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2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시가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59781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2
  • 일제강점기
  •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시가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제목|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1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시가의 전경을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59780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앨범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1
  • 일제강점기
  •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1920년대 공주시가의 전경을 촬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