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분류
-
-
- 단체 5972
-
- 시대분류
-
-
- 현대 5972
-
![]() |
범위와내용1997년 11월 13일 목요일 대전매일신문에 실린 기사를 스크랩한 것이다. '환영플래카드물결'이라는 기사제목으로 1997년 11월 12일 공주시청사를 방문한 박찬호 선수 환영식 사진이 실려있다. 등록번호100020086 생산일자1997.11.13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문광균의 글이다. 평산신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던 「청구여지도」를 소개한 글이다. 등록번호100019108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신용희의 글이다. 목차는 공주 알밤축제 / 공주밤의 역사 / 평창의 천연기념물 밤나무 / 공주 최고령 밤나무 이야기 / 정안밤 지리적 표시제 / '정안월산 밤나무'로 부르자이다. 등록번호100019107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안연옥의 글로 제19회 무령왕 탄생제 참관기이다. 등록번호100019106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윤원갑의 글이다. 목차는 포항역에서 부산역까지 열차로 / 아들을 찾는 피켓 / 부산에서 월남 다낭 항까지 / 헬기장에서 대기 / 1중대 배치 / 고노이 섬 작전(1969.6.3.~6.31.) / 황룡(黃龍)작전(1970.3.1~4.30) / 귀국 전날/다시 돌아보면서이다. 등록번호100019105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금용명의 글이다. 목차는 1. 서 / 2. 공주의 역사와 공주교도소 / 3. 공주교도소사의 구성 / 4. 국내교정시설의 상황 / 5. 미래의 공주교도소 / 6. 결어이다. 등록번호100019104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총론(혼합)
|
![]() |
제목 공주의 화재안전 파수꾼 '공주소방조'의 역사 속으로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고순영의 글이다. 목차는 그 시작은 공주소방조(公州消防組)에서 / 조선인소방조의 차별로 공주소방조 분소, 그러나 다시 부흥 / 공주소방조의 화재 진압 활약 / 지역사회의 신망을 받은 공주소방조 / 광복이후 공주소방대의 발족과 공주의용소방대의 활약이다. 등록번호100019103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곽호영의 글이다. 목차는 1. 서언 / 2. 영천암 약사 / 3. 창건기와 창건기 번역문 / 4. 팔봉산 효심 깊은 며느리 / 5. 결론이다. 등록번호100019102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제목 동국세시기에 관한 소고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이선자의 글이다. 목차는 들어가는 말 / 1. 우리나라의 세시기 / 2. 세시기란 / 3. 동국세시기의 세시풍속 / 4. 동국세시기 월별 행사 / 5. 동국세시기에 나타난 우리의 문화 / 6. 동국세시기에 나온 시절음식들 / 맺음말이다. 등록번호100019101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최석원의 글이다. 목차는 1. 머리말 / 2. 마곡사의 가람배치와 성보 이야기 / 3. 맺음말이다. 등록번호100019100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윤용혁의 글이다. 목차는 1. 공산성의 연못과 만하루(挽河樓) /2. 박윤원의 '만하루기(挽河樓記)' /3. 조선통신사 콘텐츠로서의 만하루 /4. '만하루'와 '만아루(挽阿樓)'이다. 등록번호100019099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박지훈의 글이다. 목차는 머리말 / 1. 촌락 분포도-I / 2. 촌락 분포도-II /3. 촌락 분포도-III /4. 백제시대 촌락 분포도 / 맺음말 이다. 등록번호100019098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최은영의 글이다. 목차는 들어가며 / 1. 마곡사에서의 백범 / 2. 백범과 공주 / 3. 백범의 마곡사 재방문 / 마무리하며 이다. 등록번호100019097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
![]() |
제목 다시 쓰는 향덕 이야기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최명진의 글이다. 목차는 1. 들어가면서 / 2.삼국사기 '향덕向得'과 삼국유사 '信孝' / 3. 향덕이 신효가 된 역사적 배경과 의미 / 4. 혈흔천 주변 지명, 유적 / 5. 나가면서 이다. 등록번호100019096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김대은의 글이다. 목차는 1. 서론 / 2.공주지역 한국전쟁의 역사 / 3. 공주 금강 이남 동(洞) 단위 지역 내 한국전쟁 관련 장소 소개 / 4. 결론이다. 등록번호100019095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심상육의 글이다. 목차는 1. 능산리 고분군(王陵) / 2. 부여 나성(郭) / 3. 정림사지(寺刹) / 4. 부소산성과 관북리 유적(王宮) / 5. 사비도성 기획성(結)이다. 등록번호100019094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 |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이준원의 글이다. 목차는 1. 머리말 / 2.유하장군의 가계와 이력 / 3.치병선정비 / 4. 맺음말이다. 등록번호100019093 생산일자2020.12.15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기타
|
![]() |
제목 공주의 특별했던 옛 터에 대한 고찰:관업원, 화장장, 양리장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향토사학과 장길수의 원고이다. 목차는 1. 들어가는 말 / 2. 조선형무소와 석방자 보호시설 / 3.공주관업원 / 4. 화장장/ 5. 양리장 / 6. 나가는 말이다. 등록번호100019092 생산일자2020.12.15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2001년도 반포국민학교 향우회원들의 동학사 벚꽃나들이 기념사진이다. 동학사 주차장을 지나 진입로 앞 차도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오른쪽부터 20회 최란임 이금순 김영옥 19회 이은방 님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5058 생산일자2001.04.13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범위와내용1989년도 반포국민학교 향우회원들의 계룡산 삼불봉 등반 기념 사진이다. 계룡산 삼불봉에서 당시 서영호 향우회장을 중심으로 19회, 20회, 21회의 회원들의 정다운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5057 생산일자1989.11.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1997년 11월 13일 목요일 대전매일신문에 실린 기사를 스크랩한 것이다. '환영플래카드물결'이라는 기사제목으로 1997년 11월 12일 공주시청사를 방문한 박찬호 선수 환영식 사진이 실려있다. |
![]() |
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문광균의 글이다. 평산신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던 「청구여지도」를 소개한 글이다. |
![]() |
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신용희의 글이다. 목차는 공주 알밤축제 / 공주밤의 역사 / 평창의 천연기념물 밤나무 / 공주 최고령 밤나무 이야기 / 정안밤 지리적 표시제 / '정안월산 밤나무'로 부르자이다. |
![]() |
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안연옥의 글로 제19회 무령왕 탄생제 참관기이다. |
![]() |
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윤원갑의 글이다. 목차는 포항역에서 부산역까지 열차로 / 아들을 찾는 피켓 / 부산에서 월남 다낭 항까지 / 헬기장에서 대기 / 1중대 배치 / 고노이 섬 작전(1969.6.3.~6.31.)… |
![]() |
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금용명의 글이다. 목차는 1. 서 / 2. 공주의 역사와 공주교도소 / 3. 공주교도소사의 구성 / 4. 국내교정시설의 상황 / 5. 미래의 공주교도소 / 6. 결어이다. |
![]() |
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고순영의 글이다. 목차는 그 시작은 공주소방조(公州消防組)에서 / 조선인소방조의 차별로 공주소방조 분소, 그러나 다시 부흥 / 공주소방조의 화재 진압 활약 / 지역사회의 신망을 받은… |
![]() |
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곽호영의 글이다. 목차는 1. 서언 / 2. 영천암 약사 / 3. 창건기와 창건기 번역문 / 4. 팔봉산 효심 깊은 며느리 / 5. 결론이다. |
![]() |
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이선자의 글이다. 목차는 들어가는 말 / 1. 우리나라의 세시기 / 2. 세시기란 / 3. 동국세시기의 세시풍속 / 4. 동국세시기 월별 행사 / 5. 동국세시기에 나타난 우리의 문화 /… |
![]() |
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최석원의 글이다. 목차는 1. 머리말 / 2. 마곡사의 가람배치와 성보 이야기 / 3. 맺음말이다. |
![]() |
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윤용혁의 글이다. 목차는 1. 공산성의 연못과 만하루(挽河樓) /2. 박윤원의 '만하루기(挽河樓記)' /3. 조선통신사 콘텐츠로서의 만하루 /4. '만하루'와 '만아루(挽阿樓)'이다. |
![]() |
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박지훈의 글이다. 목차는 머리말 / 1. 촌락 분포도-I / 2. 촌락 분포도-II /3. 촌락 분포도-III /4. 백제시대 촌락 분포도 / 맺음말 이다. |
![]() |
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최은영의 글이다. 목차는 들어가며 / 1. 마곡사에서의 백범 / 2. 백범과 공주 / 3. 백범의 마곡사 재방문 / 마무리하며 이다. |
![]() |
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최명진의 글이다. 목차는 1. 들어가면서 / 2.삼국사기 '향덕向得'과 삼국유사 '信孝' / 3. 향덕이 신효가 된 역사적 배경과 의미 / 4. 혈흔천 주변 지명, 유적 / 5. 나가면서… |
![]() |
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김대은의 글이다. 목차는 1. 서론 / 2.공주지역 한국전쟁의 역사 / 3. 공주 금강 이남 동(洞) 단위 지역 내 한국전쟁 관련 장소 소개 / 4. 결론이다. |
![]() |
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심상육의 글이다. 목차는 1. 능산리 고분군(王陵) / 2. 부여 나성(郭) / 3. 정림사지(寺刹) / 4. 부소산성과 관북리 유적(王宮) / 5. 사비도성 기획성(結)이다. |
![]() |
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이준원의 글이다. 목차는 1. 머리말 / 2.유하장군의 가계와 이력 / 3.치병선정비 / 4. 맺음말이다. |
![]() |
공주의 특별했던 옛 터에 대한 고찰:관업원, 화장장, 양리장 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향토사학과 장길수의 원고이다. 목차는 1. 들어가는 말 / 2. 조선형무소와 석방자 보호시설 / 3.공주관업원 / 4. 화장장/ 5. 양리장 / 6. 나가는 말이다. |
![]() |
2001년도 반포국민학교 향우회원들의 동학사 벚꽃나들이 기념사진이다. 동학사 주차장을 지나 진입로 앞 차도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오른쪽부터 20회 최란임 이금순 김영옥 19회 이은방 님의 모습이다. |
![]() |
1989년도 반포국민학교 향우회원들의 계룡산 삼불봉 등반 기념 사진이다. 계룡산 삼불봉에서 당시 서영호 향우회장을 중심으로 19회, 20회, 21회의 회원들의 정다운 모습이다. |
100020086 박찬호 선수 고향 방문 환영식 신문기사 |
|
100019108 (자료해설) 공주 평산신씨 소장 「청구여지도」 |
|
100019107 공주 정안면 월산리 최고령 밤나무 |
|
100019106 무령왕 연꽃이 활짝 핀 연못가에서의 탄생제 |
|
100019105 월남 전쟁터에서의 달빛편지-나의 월남전 참전기 |
|
100019104 공주교도소사' 발간의 의미와 과제 |
|
100019103 공주의 화재안전 파수꾼 '공주소방조'의 역사 속으로 |
|
100019102 영천암(靈泉庵) 창건기 소고(小考) |
|
100019101 동국세시기에 관한 소고 |
|
100019100 세계유산 한국의 산사, 태화산 마곡사 |
|
100019099 공주 공산성 만하루(挽河樓)에 대하여 |
|
100019098 백제시대 촌락'의 최적입지 분포에 관한 연구 |
|
100019097 백범 김구와 공주 그리고 마곡사 |
|
100019096 다시 쓰는 향덕 이야기 |
|
100019095 공주지역 한국전쟁사와 관련 장소 소개 |
|
100019094 부여의 백제 세계문화유산 |
|
100019093 우영장 유공하 치병선정비'에 대한 보완 |
|
100019092 공주의 특별했던 옛 터에 대한 고찰:관업원, 화장장, 양리장 |
|
200055058; 200055058; 200055058 반포국민학교 향우회원들의 동학사 벚꽃 나들이 |
|
200055057; 200055057; 200055057 반포국민학교 향우회원들의 계룡산 삼불봉 등반 |
범위와내용1997년 11월 13일 목요일 대전매일신문에 실린 기사를 스크랩한 것이다. '환영플래카드물결'이라는 기사제목으로 1997년 11월 12일 공주시청사를 방문한 박찬호 선수 환영식 사진이 실려있다.
등록번호100020086
생산일자1997.11.13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문광균의 글이다. 평산신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던 「청구여지도」를 소개한 글이다.
등록번호100019108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신용희의 글이다. 목차는 공주 알밤축제 / 공주밤의 역사 / 평창의 천연기념물 밤나무 / 공주 최고령 밤나무 이야기 / 정안밤 지리적 표시제 / '정안월산 밤나무'로 부르자이다.
등록번호100019107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안연옥의 글로 제19회 무령왕 탄생제 참관기이다.
등록번호100019106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산책 부문에 수록된 윤원갑의 글이다. 목차는 포항역에서 부산역까지 열차로 / 아들을 찾는 피켓 / 부산에서 월남 다낭 항까지 / 헬기장에서 대기 / 1중대 배치 / 고노이 섬 작전(1969.6.3.~6.31.) / 황룡(黃龍)작전(1970.3.1~4.30) / 귀국 전날/다시 돌아보면서이다.
등록번호100019105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금용명의 글이다. 목차는 1. 서 / 2. 공주의 역사와 공주교도소 / 3. 공주교도소사의 구성 / 4. 국내교정시설의 상황 / 5. 미래의 공주교도소 / 6. 결어이다.
등록번호100019104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총론(혼합)
제목 공주의 화재안전 파수꾼 '공주소방조'의 역사 속으로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고순영의 글이다. 목차는 그 시작은 공주소방조(公州消防組)에서 / 조선인소방조의 차별로 공주소방조 분소, 그러나 다시 부흥 / 공주소방조의 화재 진압 활약 / 지역사회의 신망을 받은 공주소방조 / 광복이후 공주소방대의 발족과 공주의용소방대의 활약이다.
등록번호100019103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곽호영의 글이다. 목차는 1. 서언 / 2. 영천암 약사 / 3. 창건기와 창건기 번역문 / 4. 팔봉산 효심 깊은 며느리 / 5. 결론이다.
등록번호100019102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제목 동국세시기에 관한 소고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이선자의 글이다. 목차는 들어가는 말 / 1. 우리나라의 세시기 / 2. 세시기란 / 3. 동국세시기의 세시풍속 / 4. 동국세시기 월별 행사 / 5. 동국세시기에 나타난 우리의 문화 / 6. 동국세시기에 나온 시절음식들 / 맺음말이다.
등록번호100019101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최석원의 글이다. 목차는 1. 머리말 / 2. 마곡사의 가람배치와 성보 이야기 / 3. 맺음말이다.
등록번호100019100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윤용혁의 글이다. 목차는 1. 공산성의 연못과 만하루(挽河樓) /2. 박윤원의 '만하루기(挽河樓記)' /3. 조선통신사 콘텐츠로서의 만하루 /4. '만하루'와 '만아루(挽阿樓)'이다.
등록번호100019099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박지훈의 글이다. 목차는 머리말 / 1. 촌락 분포도-I / 2. 촌락 분포도-II /3. 촌락 분포도-III /4. 백제시대 촌락 분포도 / 맺음말 이다.
등록번호100019098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최은영의 글이다. 목차는 들어가며 / 1. 마곡사에서의 백범 / 2. 백범과 공주 / 3. 백범의 마곡사 재방문 / 마무리하며 이다.
등록번호100019097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제목 다시 쓰는 향덕 이야기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최명진의 글이다. 목차는 1. 들어가면서 / 2.삼국사기 '향덕向得'과 삼국유사 '信孝' / 3. 향덕이 신효가 된 역사적 배경과 의미 / 4. 혈흔천 주변 지명, 유적 / 5. 나가면서 이다.
등록번호100019096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김대은의 글이다. 목차는 1. 서론 / 2.공주지역 한국전쟁의 역사 / 3. 공주 금강 이남 동(洞) 단위 지역 내 한국전쟁 관련 장소 소개 / 4. 결론이다.
등록번호100019095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심상육의 글이다. 목차는 1. 능산리 고분군(王陵) / 2. 부여 나성(郭) / 3. 정림사지(寺刹) / 4. 부소산성과 관북리 유적(王宮) / 5. 사비도성 기획성(結)이다.
등록번호100019094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이준원의 글이다. 목차는 1. 머리말 / 2.유하장군의 가계와 이력 / 3.치병선정비 / 4. 맺음말이다.
등록번호100019093
생산일자2020.12.15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기타
제목 공주의 특별했던 옛 터에 대한 고찰:관업원, 화장장, 양리장
범위와내용웅진문화 제33집 연구 논문 부문에 수록된 향토사학과 장길수의 원고이다. 목차는 1. 들어가는 말 / 2. 조선형무소와 석방자 보호시설 / 3.공주관업원 / 4. 화장장/ 5. 양리장 / 6. 나가는 말이다.
등록번호100019092
생산일자2020.12.15
형태도서/간행물류>학회지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2001년도 반포국민학교 향우회원들의 동학사 벚꽃나들이 기념사진이다. 동학사 주차장을 지나 진입로 앞 차도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오른쪽부터 20회 최란임 이금순 김영옥 19회 이은방 님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5058
생산일자2001.04.13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1989년도 반포국민학교 향우회원들의 계룡산 삼불봉 등반 기념 사진이다. 계룡산 삼불봉에서 당시 서영호 향우회장을 중심으로 19회, 20회, 21회의 회원들의 정다운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5057
생산일자1989.11.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