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분류
-
- 시대분류
-
- 형태분류
-
- 주제분류
-
![]() |
범위와내용1960년대 공주문화원 원장실에서 직원과 함께 서류를 검토하는 이관용 원장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5296 생산일자196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1950년대 중후반 공주문화원 정문 부근에 부착된 영문 현판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5295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1950년대 중후반 공주문화원 정문 앞에서 포즈를 취한 직원의 모습이다. 건물에 붙어 있는 영문현판과 정문에 붙은 한글 현판의 대비를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5294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1950년대 중후반 공주문화원 청사의 모습이다. 영어로 적혀있는 문화원 현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삼삼오오 몰려있는 아이들의 모습도 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55293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공주문화원에서 집무를 보는 제2대 원장 이관용의 모습이다. 이관용은 1962년 1월 15일부터 2001년 6월 24일까지 원장직을 역임했다. 등록번호200055292 생산일자196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1960년대 반죽동에 위치한 공주지방법원 구청사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에 나와있는 반죽동 구청사는 일제강점기 즈음에 건축된 것으로 1972년 반죽동 신청사 개축을 위해 철거되었다. 등록번호200055283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이관용 문화원장이 바닷가로 여름휴가를 떠난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5385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초 현재의 시청부근에 위치했던 잠종장의 모습이다. 자료에는 양잠학교로 표기된 것이 특징으로 1960년대 우성으로 잠종사업소가 이전하기 전까지 시청부지에 소재했다. 자료 속 전면에 나오는 건물은 1924년 프랑스식으로 지어진 2층구조의 잠실이다. 등록번호200053623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송산리고분군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13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 |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성안마을과 공북루, 한국전쟁 때 단교된 금강교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11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진남루와 성벽의 모습이다. 오늘날 진남루로 오르는 길과 달리 수목이 미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610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쌍수정과 왕궁지, 쌍수정 사적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09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광복루의 모습이다. 광복 이후 김구선생에 의해 명칭이 웅심각에서 광복루로 개칭되었음에도 당시 웅심각이란 명칭을 혼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3608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54년 공산성 진남루 문 밖에 선 공주사대 재학생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89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55년 눈 내린 겨울 앵산공원 팔각정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81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공산성 쌍수정 사적비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쌍수정 사적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0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쌍수정의 모습이다. 오늘날 쌍수정 주변에 나무가 우거진 것과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등록번호200053549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명국삼장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48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광복루의 모습이다. 광복루는 1945년 광복이후 김구선생이 공산성을 방문하여 직접 이름을 붙인 누각의 이름이다. 일제강점기 때는 초대 조선총독인 테라우치가 웅심각으로 명명한 아픔을 지녔다. 등록번호200053547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석장리 선사유적 제12차 발굴조사(2): 1지구 81구덩 범위와내용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하였다. 석장리 선사유적은 우리나라에서 구석기 시대부터 이 땅에 사람이 살았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유적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등록번호200054029 생산일자199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석장리유적
|
![]() |
1960년대 공주문화원 원장실에서 직원과 함께 서류를 검토하는 이관용 원장의 모습이다. |
![]() |
1950년대 중후반 공주문화원 정문 부근에 부착된 영문 현판의 모습이다. |
![]() |
1950년대 중후반 공주문화원 정문 앞에서 포즈를 취한 직원의 모습이다. 건물에 붙어 있는 영문현판과 정문에 붙은 한글 현판의 대비를 확인할 수 있다. |
![]() |
1950년대 중후반 공주문화원 청사의 모습이다. 영어로 적혀있는 문화원 현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삼삼오오 몰려있는 아이들의 모습도 볼 수 있다. |
![]() |
공주문화원에서 집무를 보는 제2대 원장 이관용의 모습이다. 이관용은 1962년 1월 15일부터 2001년 6월 24일까지 원장직을 역임했다. |
![]() |
1960년대 반죽동에 위치한 공주지방법원 구청사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에 나와있는 반죽동 구청사는 일제강점기 즈음에 건축된 것으로 1972년 반죽동 신청사 개축을 위해 철거되었다. |
![]() |
이관용 문화원장이 바닷가로 여름휴가를 떠난 모습이다. |
![]() |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초 현재의 시청부근에 위치했던 잠종장의 모습이다. 자료에는 양잠학교로 표기된 것이 특징으로 1960년대 우성으로 잠종사업소가 이전하기 전까지 시청부지에 소재했다.… |
![]() |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송산리고분군의 모습이다. |
![]() |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성안마을과 공북루, 한국전쟁 때 단교된 금강교의 모습이다. |
![]() |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진남루와 성벽의 모습이다. 오늘날 진남루로 오르는 길과 달리 수목이 미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쌍수정과 왕궁지, 쌍수정 사적비의 모습이다. |
![]() |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광복루의 모습이다. 광복 이후 김구선생에 의해 명칭이 웅심각에서 광복루로 개칭되었음에도 당시 웅심각이란 명칭을 혼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
![]() |
1954년 공산성 진남루 문 밖에 선 공주사대 재학생의 모습이다. |
![]() |
1955년 눈 내린 겨울 앵산공원 팔각정의 모습이다. |
![]() |
1960년 공산성 쌍수정 사적비의 모습이다. |
![]() |
1960년 공산성 쌍수정의 모습이다. 오늘날 쌍수정 주변에 나무가 우거진 것과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
![]() |
1960년 공산성 명국삼장비의 모습이다. |
![]() |
1960년 공산성 광복루의 모습이다. 광복루는 1945년 광복이후 김구선생이 공산성을 방문하여 직접 이름을 붙인 누각의 이름이다. 일제강점기 때는 초대 조선총독인 테라우치가 웅심각으로 명명한 아픔을 지녔다. |
![]() |
석장리 선사유적 제12차 발굴조사(2): 1지구 81구덩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하였다. 석장리 선사유적은 우리나라에서… |
200055296; 200055296; 200055296 1960년대 집무를 보는 이관용과 직원 |
|
200055295; 200055295; 200055295 1950년대 공주문화원 영문 현판 |
|
200055294; 200055294; 200055294 1950년대 공주문화원 정문 앞 직원의 모습 |
|
200055293; 200055293; 200055293 1950년대 공주문화원 청사 풍경 |
|
200055292; 200055292; 200055292 1960년대 직무보는 이관용 |
|
200055283; 200055283; 200055283 1960년대 반죽동 공주법원 구청사 전경 |
|
200055385; 200055385; 200055385 이관용 공주문화원장의 여름휴가 |
|
200053623 1950년대 초 양잠학교 전경 |
|
200053613 1950년대 송산리고분군 |
|
200053611 1950년대 공산성 성안마을 전경 |
|
200053610 1950년대 공산성 진남루 |
|
200053609 1950년대 공산성 쌍수정과 왕궁지 |
|
200053608 1950년대 공산성 광복루 |
|
200053589 1954년 진남루 바깥의 사대 재학생 |
|
200053581 1955년 겨울 앵산공원 팔각정 |
|
200053550 공산성 쌍수정 사적비 |
|
200053549 1960년 공산성 쌍수정 |
|
200053548 1960년 공산성 명국삼장비 |
|
200053547 1960년 공산성 광복루 |
|
200054029 석장리 선사유적 제12차 발굴조사(2): 1지구 81구덩 |
범위와내용1960년대 공주문화원 원장실에서 직원과 함께 서류를 검토하는 이관용 원장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5296
생산일자196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1950년대 중후반 공주문화원 정문 부근에 부착된 영문 현판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5295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1950년대 중후반 공주문화원 정문 앞에서 포즈를 취한 직원의 모습이다. 건물에 붙어 있는 영문현판과 정문에 붙은 한글 현판의 대비를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5294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1950년대 중후반 공주문화원 청사의 모습이다. 영어로 적혀있는 문화원 현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삼삼오오 몰려있는 아이들의 모습도 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55293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공주문화원에서 집무를 보는 제2대 원장 이관용의 모습이다. 이관용은 1962년 1월 15일부터 2001년 6월 24일까지 원장직을 역임했다.
등록번호200055292
생산일자196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1960년대 반죽동에 위치한 공주지방법원 구청사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에 나와있는 반죽동 구청사는 일제강점기 즈음에 건축된 것으로 1972년 반죽동 신청사 개축을 위해 철거되었다.
등록번호200055283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이관용 문화원장이 바닷가로 여름휴가를 떠난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5385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초 현재의 시청부근에 위치했던 잠종장의 모습이다. 자료에는 양잠학교로 표기된 것이 특징으로 1960년대 우성으로 잠종사업소가 이전하기 전까지 시청부지에 소재했다. 자료 속 전면에 나오는 건물은 1924년 프랑스식으로 지어진 2층구조의 잠실이다.
등록번호200053623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송산리고분군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13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성안마을과 공북루, 한국전쟁 때 단교된 금강교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11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진남루와 성벽의 모습이다. 오늘날 진남루로 오르는 길과 달리 수목이 미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610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쌍수정과 왕궁지, 쌍수정 사적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09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광복루의 모습이다. 광복 이후 김구선생에 의해 명칭이 웅심각에서 광복루로 개칭되었음에도 당시 웅심각이란 명칭을 혼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3608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54년 공산성 진남루 문 밖에 선 공주사대 재학생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89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55년 눈 내린 겨울 앵산공원 팔각정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81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공산성 쌍수정 사적비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쌍수정 사적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0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쌍수정의 모습이다. 오늘날 쌍수정 주변에 나무가 우거진 것과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등록번호200053549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명국삼장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48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광복루의 모습이다. 광복루는 1945년 광복이후 김구선생이 공산성을 방문하여 직접 이름을 붙인 누각의 이름이다. 일제강점기 때는 초대 조선총독인 테라우치가 웅심각으로 명명한 아픔을 지녔다.
등록번호200053547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석장리 선사유적 제12차 발굴조사(2): 1지구 81구덩
범위와내용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하였다. 석장리 선사유적은 우리나라에서 구석기 시대부터 이 땅에 사람이 살았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유적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등록번호200054029
생산일자199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석장리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