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609건
  • 출처분류  기관
  • 형태분류  사진류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1950년대 송산리고분군

제목| 1950년대 송산리고분군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송산리고분군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13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50년대 공산성 성안마을 전경

제목| 1950년대 공산성 성안마을 전경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성안마을과 공북루, 한국전쟁 때 단교된 금강교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11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50년대 공산성 진남루

제목| 1950년대 공산성 진남루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진남루와 성벽의 모습이다. 오늘날 진남루로 오르는 길과 달리 수목이 미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610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50년대 공산성 쌍수정과 왕궁지

제목| 1950년대 공산성 쌍수정과 왕궁지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쌍수정과 왕궁지, 쌍수정 사적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09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50년대 공산성 광복루

제목| 1950년대 공산성 광복루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광복루의 모습이다. 광복 이후 김구선생에 의해 명칭이 웅심각에서 광복루로 개칭되었음에도 당시 웅심각이란 명칭을 혼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3608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54년 진남루 바깥의 사대 재학생

제목| 1954년 진남루 바깥의 사대 재학생

범위와내용|1954년 공산성 진남루 문 밖에 선 공주사대 재학생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89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55년 겨울 앵산공원 팔각정

제목| 1955년 겨울 앵산공원 팔각정

범위와내용|1955년 눈 내린 겨울 앵산공원 팔각정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81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10년대 중반 공산성 전경

제목| 1910년대 중반 공산성 전경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전경의 모습이다. 본 사진은 금강 북단의 현재 미르섬 부근에서 공산성의 북문 공북루 방면을 바라본 것이다. 당시 공산성 내 수목이 가꿔지지 않은 민둥산의 형태를 띤 것이 시대의 특성을 보여준다.

등록번호|200053558

생산일자|1916.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10년대 중반 신원사 5층석탑

제목| 1910년대 중반 신원사 5층석탑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의 신원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7

생산일자|1916.03.3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의 석조형상

제목|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의 석조형상

범위와내용|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 하부의 석조형상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6

생산일자|1918.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 상륜부

제목|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 상륜부

범위와내용|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의 상륜부 풍마동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5

생산일자|1918.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

제목|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

범위와내용|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석탑 옆에 선 사람 모습과 비교하면 석탑의 규모를 체감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554

생산일자|1918.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30년대 초반 마곡사 대웅보전

제목| 1930년대 초반 마곡사 대웅보전

범위와내용|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마곡사 대웅보전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사진 속 대웅보전은 오늘날과 다른 형상을 보여주는데, 조선총독부에서 본 서적을 발행하면서 인위적인 편집을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3553

생산일자|1932.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30년대 초반 마곡사 대광보전과 5층석탑

제목| 1930년대 초반 마곡사 대광보전과 5층석탑

범위와내용|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공주 마곡사의 대광보전과 5층석탑, 풍마동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오늘날 5층석탑의 위치와 달리 대광보전에 바싹 붙어있는 당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552

생산일자|1932.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30년대 초반 마곡사 전경

제목| 1930년대 초반 마곡사 전경

범위와내용|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공주 마곡사의 전경을 발췌한 것이다. 본 고적도보는 1932년 발행되었으나, 서적 속 자료는 1930년대 초엽에 준비한 것으로 추정됨으로 마곡사 전경 역시 1930년대 초엽에 촬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551

생산일자|1932.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공산성 쌍수정 사적비

제목| 공산성 쌍수정 사적비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쌍수정 사적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0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60년 공산성 쌍수정

제목| 1960년 공산성 쌍수정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쌍수정의 모습이다. 오늘날 쌍수정 주변에 나무가 우거진 것과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등록번호|200053549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60년 공산성 명국삼장비

제목| 1960년 공산성 명국삼장비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명국삼장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48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1960년 공산성 광복루

제목| 1960년 공산성 광복루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광복루의 모습이다. 광복루는 1945년 광복이후 김구선생이 공산성을 방문하여 직접 이름을 붙인 누각의 이름이다. 일제강점기 때는 초대 조선총독인 테라우치가 웅심각으로 명명한 아픔을 지녔다.

등록번호|200053547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석장리 선사유적 제12차 발굴조사(2): 1지구 81구덩

제목| 석장리 선사유적 제12차 발굴조사(2): 1지구 81구덩

범위와내용|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하였다. 석장리 선사유적은 우리나라에서 구석기 시대부터 이 땅에 사람이 살았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유적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등록번호|200054029

생산일자|199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석장리유적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필름사진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609건
  • 출처분류  기관
  • 형태분류  사진류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1950년대 송산리고분군

1950년대 송산리고분군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송산리고분군의 모습이다.
1950년대 공산성 성안마을 전경

1950년대 공산성 성안마을 전경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성안마을과 공북루, 한국전쟁 때 단교된 금강교의 모습이다.
1950년대 공산성 진남루

1950년대 공산성 진남루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진남루와 성벽의 모습이다. 오늘날 진남루로 오르는 길과 달리 수목이 미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950년대 공산성 쌍수정과 왕궁지

1950년대 공산성 쌍수정과 왕궁지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쌍수정과 왕궁지, 쌍수정 사적비의 모습이다.
1950년대 공산성 광복루

1950년대 공산성 광복루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광복루의 모습이다. 광복 이후 김구선생에 의해 명칭이 웅심각에서 광복루로 개칭되었음에도 당시 웅심각이란 명칭을 혼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954년 진남루 바깥의 사대 재학생

1954년 진남루 바깥의 사대 재학생

1954년 공산성 진남루 문 밖에 선 공주사대 재학생의 모습이다.
1955년 겨울 앵산공원 팔각정

1955년 겨울 앵산공원 팔각정

1955년 눈 내린 겨울 앵산공원 팔각정의 모습이다.
1910년대 중반 공산성 전경

1910년대 중반 공산성 전경

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전경의 모습이다. 본 사진은 금강 북단의 현재 미르섬 부근에서 공산성의 북문 공북루 방면을 바라본 것이다. 당시 공산성 내 수목이 가꿔지지 않은 민둥산의 형태를 띤…
1910년대 중반 신원사 5층석탑

1910년대 중반 신원사 5층석탑

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의 신원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의 석조형상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의 석조형상

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 하부의 석조형상의 모습이다.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 상륜부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 상륜부

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의 상륜부 풍마동 모습이다.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

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석탑 옆에 선 사람 모습과 비교하면 석탑의 규모를 체감할 수 있다.
1930년대 초반 마곡사 대웅보전

1930년대 초반 마곡사 대웅보전

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마곡사 대웅보전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사진 속 대웅보전은 오늘날과 다른 형상을 보여주는데, 조선총독부에서 본 서적을 발행하면서 인위적인 편집을 가미한 것으로…
1930년대 초반 마곡사 대광보전과 5층석탑

1930년대 초반 마곡사 대광보전과 5층석탑

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공주 마곡사의 대광보전과 5층석탑, 풍마동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오늘날 5층석탑의 위치와 달리 대광보전에 바싹 붙어있는 당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930년대 초반 마곡사 전경

1930년대 초반 마곡사 전경

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공주 마곡사의 전경을 발췌한 것이다. 본 고적도보는 1932년 발행되었으나, 서적 속 자료는 1930년대 초엽에 준비한 것으로 추정됨으로 마곡사 전경 역시…
공산성 쌍수정 사적비

공산성 쌍수정 사적비

1960년 공산성 쌍수정 사적비의 모습이다.
1960년 공산성 쌍수정

1960년 공산성 쌍수정

1960년 공산성 쌍수정의 모습이다. 오늘날 쌍수정 주변에 나무가 우거진 것과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1960년 공산성 명국삼장비

1960년 공산성 명국삼장비

1960년 공산성 명국삼장비의 모습이다.
1960년 공산성 광복루

1960년 공산성 광복루

1960년 공산성 광복루의 모습이다. 광복루는 1945년 광복이후 김구선생이 공산성을 방문하여 직접 이름을 붙인 누각의 이름이다. 일제강점기 때는 초대 조선총독인 테라우치가 웅심각으로 명명한 아픔을 지녔다.
석장리 선사유적 제12차 발굴조사(2): 1지구 81구덩

석장리 선사유적 제12차 발굴조사(2): 1지구 81구덩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하였다. 석장리 선사유적은 우리나라에서…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609건
  • 출처분류  기관
  • 형태분류  사진류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609건
  • 출처분류  기관
  • 형태분류  사진류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609건
  • 출처분류  기관
  • 형태분류  사진류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제목| 1950년대 송산리고분군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송산리고분군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13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50년대 공산성 성안마을 전경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성안마을과 공북루, 한국전쟁 때 단교된 금강교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11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50년대 공산성 진남루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진남루와 성벽의 모습이다. 오늘날 진남루로 오르는 길과 달리 수목이 미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610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50년대 공산성 쌍수정과 왕궁지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쌍수정과 왕궁지, 쌍수정 사적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609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50년대 공산성 광복루

범위와내용|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중엽 공산성 광복루의 모습이다. 광복 이후 김구선생에 의해 명칭이 웅심각에서 광복루로 개칭되었음에도 당시 웅심각이란 명칭을 혼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3608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54년 진남루 바깥의 사대 재학생

범위와내용|1954년 공산성 진남루 문 밖에 선 공주사대 재학생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89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55년 겨울 앵산공원 팔각정

범위와내용|1955년 눈 내린 겨울 앵산공원 팔각정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81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10년대 중반 공산성 전경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전경의 모습이다. 본 사진은 금강 북단의 현재 미르섬 부근에서 공산성의 북문 공북루 방면을 바라본 것이다. 당시 공산성 내 수목이 가꿔지지 않은 민둥산의 형태를 띤 것이 시대의 특성을 보여준다.

등록번호|200053558

생산일자|1916.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10년대 중반 신원사 5층석탑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의 신원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7

생산일자|1916.03.3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의 석조형상

범위와내용|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 하부의 석조형상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6

생산일자|1918.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 상륜부

범위와내용|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의 상륜부 풍마동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5

생산일자|1918.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

범위와내용|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석탑 옆에 선 사람 모습과 비교하면 석탑의 규모를 체감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554

생산일자|1918.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30년대 초반 마곡사 대웅보전

범위와내용|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마곡사 대웅보전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사진 속 대웅보전은 오늘날과 다른 형상을 보여주는데, 조선총독부에서 본 서적을 발행하면서 인위적인 편집을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3553

생산일자|1932.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30년대 초반 마곡사 대광보전과 5층석탑

범위와내용|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공주 마곡사의 대광보전과 5층석탑, 풍마동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오늘날 5층석탑의 위치와 달리 대광보전에 바싹 붙어있는 당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552

생산일자|1932.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30년대 초반 마곡사 전경

범위와내용|1932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12집 불교건축편 중 공주 마곡사의 전경을 발췌한 것이다. 본 고적도보는 1932년 발행되었으나, 서적 속 자료는 1930년대 초엽에 준비한 것으로 추정됨으로 마곡사 전경 역시 1930년대 초엽에 촬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53551

생산일자|1932.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공산성 쌍수정 사적비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쌍수정 사적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0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60년 공산성 쌍수정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쌍수정의 모습이다. 오늘날 쌍수정 주변에 나무가 우거진 것과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등록번호|200053549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60년 공산성 명국삼장비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명국삼장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48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60년 공산성 광복루

범위와내용|1960년 공산성 광복루의 모습이다. 광복루는 1945년 광복이후 김구선생이 공산성을 방문하여 직접 이름을 붙인 누각의 이름이다. 일제강점기 때는 초대 조선총독인 테라우치가 웅심각으로 명명한 아픔을 지녔다.

등록번호|200053547

생산일자|1960.08.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석장리 선사유적 제12차 발굴조사(2): 1지구 81구덩

범위와내용|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하였다. 석장리 선사유적은 우리나라에서 구석기 시대부터 이 땅에 사람이 살았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유적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등록번호|200054029

생산일자|1992.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선사유적>석장리유적

  • 기관
  • 사진류
  • 사진류>필름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