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분류
-
-
- 기관 30925
-
제목 공주군농회면작지도(公州郡農會棉作指導)에 주력(注力) 면작지도군(棉作指導郡)된것을 기회로 일반에 장려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637177&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858 생산일자1934.04.10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 |
범위와내용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갑사의 철당간과 지주의 모습이다. 제복과 양복차림의 인물로 보아 지역의 유지나 관료, 순사 등의 인물로 추정된다. 본 엽서는 조선의 명소 엽서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되었다. 등록번호50000812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
![]() |
범위와내용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양측으로 작은 게시판 2기가 세워져 있다. 또, 우측으로 망루역할을 위한 높은 사다리도 세워져있다. 아울러 본 자료는… 등록번호50001050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제목 공주하수도개수 궁민구제비로 활용해 월말부터 공사에 착수 (公州下水道改修 窮民救濟費로 活用해 月末부터 工事에 着手)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505180&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816 생산일자1931.11.08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제목 공주탄천면의 상비품평시승회 (公州灘川面의 桑肥品評祝勝會) 양잠가와 각 구장을 소집하고 양잠열고취대책 (養蠶熱皷吹對策)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452187&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778 생산일자1930.11.18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제목 공주실업협회의 십유여년간만흔 노력과 기업양잠양부의 현충 (公州實業協會의 十有餘年間만흔 努力과 機業養蠶兩部의 現冲)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8206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696 생산일자1926.05.13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
|
![]() |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등록번호50000812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등록번호50001050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0811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민가 뒤 왼쪽부터 취원루로 추정되는 누정과 일제가 세운 초혼각(초혼사)를 비롯하여 미국인 선교사가 설립한 영명학교와… 등록번호50000811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연천봉 자락에 위치한 연천사(蓮天寺)로 지금의 등운암이다. 조선시대에는 정씨(鄭氏)의 왕기(王氣)를 누른다는 뜻의 압정사(壓鄭寺)라 불렸다. 이 사진그림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인데, 엽서 속 인물은 본 사진을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추가 삽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2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1050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하나였다. 이곳과 함께 공북루 앞에서 나룻배를 타고 강을 오갔다. 이후 앞서 언급한 금강 목교가 1915년 가설되어 이곳에서의… 등록번호50001049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1050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등록번호50000812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범위와내용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등록번호50000812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범위와내용누룩을 일정한 크기로 제단하는 틀이다. 윗면 중앙에 4.5cm 정도의 원을 파고 그 중간에 '公'자를 음각했고, 우측 상단에 '公州朝鮮酒酒造組合'을 음각했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1729300000 등록번호600000744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경제,산업>산업>2차 산업
|
![]() |
제목 옛 문화 거슬러 더듬어 자아 찾는 집념과 긍지 신문 기사 범위와내용옛 文化 거슬러 더듬어 自我 찾는 執念과 긍지 百濟文化祭 扶餘·公州 ◇公主거동놀이 백제의 公主님 6형제가 꽃가마 타고 시녀들을 거느리고 웅장한 행렬을 벌였다 등록번호100020901 생산일자1972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제목 반죽동 당간지주 범위와내용반죽동에서 당간지주를 촬영한 흑백사진이다. 본 자료는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으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가 촬영한 것이다. 사진 오른쪽 하단의 인물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라는 인물이며, 뒷면에 '公州ソツテ'라 쓰여있다. /… 등록번호200055035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대통사
|
제목 공주 제민천 공영주차장 설치에 따른 수문, 수리학적 타당성 연구 범위와내용Abstract Ⅰ. 序論 Ⅱ. 硏究資料 Ⅲ. 濟民川流出量 分析 Ⅳ. 公州地點 錦江 流出量 分析 Ⅴ. 駐車長 設置에 따른 水理檢討 Ⅵ. 結論 등록번호100011859 생산일자1992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지리,환경>강,하천>총론(혼합)
|
공주군농회면작지도(公州郡農會棉作指導)에 주력(注力) 면작지도군(棉作指導郡)된것을 기회로 일반에 장려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637177&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 |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갑사의 철당간과 지주의 모습이다. 제복과 양복차림의 인물로 보아 지역의 유지나 관료, 순사 등의 인물로 추정된다. 본 엽서는 조선의 명소 엽서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되었다. |
![]() |
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
공주하수도개수 궁민구제비로 활용해 월말부터 공사에 착수 (公州下水道改修 窮民救濟費로 活用해 月末부터 工事에 着手)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505180&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공주탄천면의 상비품평시승회 (公州灘川面의 桑肥品評祝勝會) 양잠가와 각 구장을 소집하고 양잠열고취대책 (養蠶熱皷吹對策)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452187&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공주실업협회의 십유여년간만흔 노력과 기업양잠양부의 현충 (公州實業協會의 十有餘年間만흔 努力과 機業養蠶兩部의 現冲)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8206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
|
![]() |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
![]() |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
![]() |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
![]() |
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
![]() |
일제강점기 계룡산 연천봉 자락에 위치한 연천사(蓮天寺)로 지금의 등운암이다. 조선시대에는 정씨(鄭氏)의 왕기(王氣)를 누른다는 뜻의 압정사(壓鄭寺)라 불렸다. 이 사진그림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인데, 엽서 속 인물은… |
![]() |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
![]() |
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
![]() |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
![]() |
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
![]() |
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
![]() |
누룩을 일정한 크기로 제단하는 틀이다. 윗면 중앙에 4.5cm 정도의 원을 파고 그 중간에 '公'자를 음각했고, 우측 상단에 '公州朝鮮酒酒造組合'을 음각했다. /… |
![]() |
옛 문화 거슬러 더듬어 자아 찾는 집념과 긍지 신문 기사 옛 文化 거슬러 더듬어 自我 찾는 執念과 긍지 百濟文化祭 扶餘·公州 ◇公主거동놀이 백제의 公主님 6형제가 꽃가마 타고 시녀들을 거느리고 웅장한 행렬을 벌였다 |
![]() |
반죽동에서 당간지주를 촬영한 흑백사진이다. 본 자료는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으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가 촬영한 것이다. 사진 오른쪽 하단의 인물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라는 인물이며,… |
공주 제민천 공영주차장 설치에 따른 수문, 수리학적 타당성 연구 Abstract Ⅰ. 序論 Ⅱ. 硏究資料 Ⅲ. 濟民川流出量 分析 Ⅳ. 公州地點 錦江 流出量 分析 Ⅴ. 駐車長 設置에 따른 水理檢討 Ⅵ. 結論 |
100015858 공주군농회면작지도(公州郡農會棉作指導)에 주력(注力) 면작지도군(棉作指導郡)된것을 기회로 일반에 장려 |
|
500008123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4 |
|
500010501; 500010501; 500010501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
|
100015816 공주하수도개수 궁민구제비로 활용해 월말부터 공사에 착수 (公州下水道改修 窮民救濟費로 活用해 月末부터 工事에 着手) |
|
100015778 공주탄천면의 상비품평시승회 (公州灘川面의 桑肥品評祝勝會) 양잠가와 각 구장을 소집하고 양잠열고취대책 (養蠶熱皷吹對策) |
|
100015696 공주실업협회의 십유여년간만흔 노력과 기업양잠양부의 현충 (公州實業協會의 十有餘年間만흔 努力과 機業養蠶兩部의 現冲) |
|
500008120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
|
500010505; 500010505; 500010505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
|
50000811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
500008117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
|
500008124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5 |
|
500010507; 500010507; 500010507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
500010499; 500010499; 500010499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
|
500010506; 500010506; 500010506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
500008122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2 |
|
500008125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1 |
|
600000744; 600000744; 600000744 공주조선주주조조합 누룩틀 |
|
100020901 옛 문화 거슬러 더듬어 자아 찾는 집념과 긍지 신문 기사 |
|
200055035; 200055035; 200055035 반죽동 당간지주 |
|
100011859 공주 제민천 공영주차장 설치에 따른 수문, 수리학적 타당성 연구 |
제목 공주군농회면작지도(公州郡農會棉作指導)에 주력(注力) 면작지도군(棉作指導郡)된것을 기회로 일반에 장려
범위와내용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637177&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858
생산일자1934.04.10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범위와내용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갑사의 철당간과 지주의 모습이다. 제복과 양복차림의 인물로 보아 지역의 유지나 관료, 순사 등의 인물로 추정된다. 본 엽서는 조선의 명소 엽서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되었다.
등록번호50000812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범위와내용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양측으로 작은 게시판 2기가 세워져 있다. 또, 우측으로 망루역할을 위한 높은 사다리도 세워져있다. 아울러 본 자료는…
등록번호50001050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공주하수도개수 궁민구제비로 활용해 월말부터 공사에 착수 (公州下水道改修 窮民救濟費로 活用해 月末부터 工事에 着手)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505180&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816
생산일자1931.11.08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제목 공주탄천면의 상비품평시승회 (公州灘川面의 桑肥品評祝勝會) 양잠가와 각 구장을 소집하고 양잠열고취대책 (養蠶熱皷吹對策)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452187&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778
생산일자1930.11.18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제목 공주실업협회의 십유여년간만흔 노력과 기업양잠양부의 현충 (公州實業協會의 十有餘年間만흔 努力과 機業養蠶兩部의 現冲)
범위와내용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8206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등록번호100015696
생산일자1926.05.13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총류>기타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등록번호50000812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등록번호50001050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0811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민가 뒤 왼쪽부터 취원루로 추정되는 누정과 일제가 세운 초혼각(초혼사)를 비롯하여 미국인 선교사가 설립한 영명학교와…
등록번호50000811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연천봉 자락에 위치한 연천사(蓮天寺)로 지금의 등운암이다. 조선시대에는 정씨(鄭氏)의 왕기(王氣)를 누른다는 뜻의 압정사(壓鄭寺)라 불렸다. 이 사진그림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인데, 엽서 속 인물은 본 사진을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추가 삽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2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1050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하나였다. 이곳과 함께 공북루 앞에서 나룻배를 타고 강을 오갔다. 이후 앞서 언급한 금강 목교가 1915년 가설되어 이곳에서의…
등록번호50001049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1050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등록번호50000812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등록번호50000812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누룩을 일정한 크기로 제단하는 틀이다. 윗면 중앙에 4.5cm 정도의 원을 파고 그 중간에 '公'자를 음각했고, 우측 상단에 '公州朝鮮酒酒造組合'을 음각했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1729300000
등록번호600000744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경제,산업>산업>2차 산업
제목 옛 문화 거슬러 더듬어 자아 찾는 집념과 긍지 신문 기사
범위와내용옛 文化 거슬러 더듬어 自我 찾는 執念과 긍지 百濟文化祭 扶餘·公州 ◇公主거동놀이 백제의 公主님 6형제가 꽃가마 타고 시녀들을 거느리고 웅장한 행렬을 벌였다
등록번호100020901
생산일자1972
형태도서/간행물류>신문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반죽동 당간지주
범위와내용반죽동에서 당간지주를 촬영한 흑백사진이다. 본 자료는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으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가 촬영한 것이다. 사진 오른쪽 하단의 인물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라는 인물이며, 뒷면에 '公州ソツテ'라 쓰여있다. /…
등록번호200055035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대통사
제목 공주 제민천 공영주차장 설치에 따른 수문, 수리학적 타당성 연구
범위와내용Abstract Ⅰ. 序論 Ⅱ. 硏究資料 Ⅲ. 濟民川流出量 分析 Ⅳ. 公州地點 錦江 流出量 分析 Ⅴ. 駐車長 設置에 따른 水理檢討 Ⅵ. 結論
등록번호100011859
생산일자1992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지리,환경>강,하천>총론(혼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