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분류
-
-
- 기관 31443
-
![]() |
범위와내용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등록번호50000812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제목 공주기류조합의 전답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의 특산품은 버들세공품이었다. 공주를 방문해 매일신보에 기행문을 연재한 富春山人(민태원)은 공주의 명물 4가지로 쌍수산성과 김갑순, 감, 버들세공품을 꼽았다. 주로 제민천 하류와 금강가에 버들이 많았는데, 버들전답이 약 30보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하고개 인근 피천마을에 거주한 천민이 주요경작자로서, 수확한 버들을 현재의 공주보 부근… 등록번호50000811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민가 뒤 왼쪽부터 취원루로 추정되는 누정과 일제가 세운 초혼각(초혼사)를 비롯하여 미국인 선교사가 설립한 영명학교와… 등록번호50000811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연천봉 자락에 위치한 연천사(蓮天寺)로 지금의 등운암이다. 조선시대에는 정씨(鄭氏)의 왕기(王氣)를 누른다는 뜻의 압정사(壓鄭寺)라 불렸다. 이 사진그림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인데, 엽서 속 인물은 본 사진을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추가 삽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2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등록번호50000812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갑사의 철당간과 지주의 모습이다. 제복과 양복차림의 인물로 보아 지역의 유지나 관료, 순사 등의 인물로 추정된다. 본 엽서는 조선의 명소 엽서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되었다. 등록번호50000812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의 버드나무 군락이 있는 곳의 풍경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제민천 중간에 서있는 3명의 인물과 제민천 제방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1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상반정(現 봉황동 일원) 부근에 위치한 상반여관이다. 당시 공주의 대표적인 여관으로 시찰단 등 주요인사가 머물기도 했다. 엽서 중간에 상반여관 입구의 모습과 측면을 후편집하여 조각한 것이 특징이다. 등록번호50000811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계룡산 동학사 엽서 1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동학사의 전경이다. 전국적인 비구니 수련사찰로도 유명한 동학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되어, 고려 건국기 도선국사가 왕실의 원당(願堂)으로 중창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전통사찰의 모습 이외에도 정몽주와 이색, 길재의 초혼제를 지낸 삼은각, 단종과 그의 충신을 모신 숙모전 등 유교적인 전통과 함께 공존하는 사찰이다. 엽서의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등록번호50000812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
![]() |
범위와내용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등록번호50000812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범위와내용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갑사의 철당간과 지주의 모습이다. 제복과 양복차림의 인물로 보아 지역의 유지나 관료, 순사 등의 인물로 추정된다. 본 엽서는 조선의 명소 엽서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되었다. 등록번호500008127 생산일자1914.09.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
![]() |
범위와내용국립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2024년에 제작한 상시 자료수집 홍보 전단지이다. 공주학아카이브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홍보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600000984 생산일자2024.06.27 형태박물류>포스터 주제총류>공주학 아카이브
|
![]() |
범위와내용국립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2024년에 제작한 상시 자료수집 홍보 전단지이다. 공주학아카이브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홍보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600000985 생산일자2024.06.27 형태박물류>포스터 주제총류>공주학 아카이브
|
![]() |
범위와내용국립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2024년에 제작한 상시 자료수집 홍보 포스터이다. 공주학아카이브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홍보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600000982 생산일자2024.06.27 형태박물류>포스터 주제총류>공주학 아카이브
|
![]() |
범위와내용국립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2024년에 제작한 상시 자료수집 홍보 포스터이다. 공주학아카이브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홍보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600000983 생산일자2024.06.27 형태박물류>포스터 주제총류>공주학 아카이브
|
![]() |
제목 공주의 마을 신앙-우리가 지켜야 할 공주문화 18- 범위와내용목차 발간사 - 이장열 축사 - 최원철(공주시장), 임달희(공주시의회의장), 박수현(국회의원), 고광철(충남도의원) 공주의 마을신앙 = 9 1장 공주 시내 = 17 2장 계룡면 = 41 3장 반포면 = 63 4장 사곡면 = 83 5장 신풍면 = 97 6장 우성면 = 113 7장 유구읍 = 123 8장 의당면 = 143 9장 이인면… 등록번호100021032 생산일자2024.11.10
|
![]() |
제목 공주학 구술총서 제2집 - 처음 뵙겠습니다! 청춘공주 범위와내용목차 발간사 = 2 감사의 글 = 4 Part 1. 그리운 학창시절, 나는 중학생! = 10 Part 2. 공주들 담은 졸업앨범, 사진으로 기록하다 = 46 Part 3. 소소하고 따뜻한 행복, 빵집과 극장 = 72 Part 4. 언덕 위 음악다방, 상록원 = 108 Part 5. 나의 고향 공주에서, 선생님으로 살다 =… 등록번호100021030 생산일자2021
|
![]() |
제목 공주학 구술총서 제2집 - 처음 뵙겠습니다! 청춘공주 범위와내용목차 발간사 = 2 감사의 글 = 4 Part 1. 그리운 학창시절, 나는 중학생! = 10 Part 2. 공주들 담은 졸업앨범, 사진으로 기록하다 = 46 Part 3. 소소하고 따뜻한 행복, 빵집과 극장 = 72 Part 4. 언덕 위 음악다방, 상록원 = 108 Part 5. 나의 고향 공주에서, 선생님으로 살다 =… 등록번호100021031 생산일자2021
|
![]() |
제목 공주학 자료총서 제6집 - 101개 공간으로 만나는 공주근대사 범위와내용목차 발간사 = 4 책 머리에 = 6 1. 욱정 = 16 2. 본정 = 106 3. 금정 = 198 4. 산성정 = 216 5. 상반정 = 232 6. 대화정 = 246 부록 「공주안내기」 번역문 = 250 등록번호100021028 생산일자2021
|
![]() |
제목 공주학 자료총서 제6집 - 101개 공간으로 만나는 공주근대사 범위와내용목차 발간사 = 4 책 머리에 = 6 1. 욱정 = 16 2. 본정 = 106 3. 금정 = 198 4. 산성정 = 216 5. 상반정 = 232 6. 대화정 = 246 부록 「공주안내기」 번역문 = 250 등록번호100021029 생산일자2021
|
![]() |
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
![]() |
일제강점기 공주의 특산품은 버들세공품이었다. 공주를 방문해 매일신보에 기행문을 연재한 富春山人(민태원)은 공주의 명물 4가지로 쌍수산성과 김갑순, 감, 버들세공품을 꼽았다. 주로 제민천 하류와 금강가에 버들이 많았는데, 버들전답이 약… |
![]() |
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
![]() |
일제강점기 계룡산 연천봉 자락에 위치한 연천사(蓮天寺)로 지금의 등운암이다. 조선시대에는 정씨(鄭氏)의 왕기(王氣)를 누른다는 뜻의 압정사(壓鄭寺)라 불렸다. 이 사진그림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인데, 엽서 속 인물은… |
![]() |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
![]() |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갑사의 철당간과 지주의 모습이다. 제복과 양복차림의 인물로 보아 지역의 유지나 관료, 순사 등의 인물로 추정된다. 본 엽서는 조선의 명소 엽서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되었다. |
![]() |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의 버드나무 군락이 있는 곳의 풍경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제민천 중간에 서있는 3명의 인물과 제민천 제방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
![]() |
일제강점기 공주 상반정(現 봉황동 일원) 부근에 위치한 상반여관이다. 당시 공주의 대표적인 여관으로 시찰단 등 주요인사가 머물기도 했다. 엽서 중간에 상반여관 입구의 모습과 측면을 후편집하여 조각한 것이 특징이다. |
![]() |
일제강점기 계룡산 동학사의 전경이다. 전국적인 비구니 수련사찰로도 유명한 동학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되어, 고려 건국기 도선국사가 왕실의 원당(願堂)으로 중창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전통사찰의 모습 이외에도 정몽주와 이색, 길재의… |
![]() |
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
![]() |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갑사의 철당간과 지주의 모습이다. 제복과 양복차림의 인물로 보아 지역의 유지나 관료, 순사 등의 인물로 추정된다. 본 엽서는 조선의 명소 엽서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되었다. |
![]() |
국립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2024년에 제작한 상시 자료수집 홍보 전단지이다. 공주학아카이브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홍보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
![]() |
국립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2024년에 제작한 상시 자료수집 홍보 전단지이다. 공주학아카이브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홍보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
![]() |
국립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2024년에 제작한 상시 자료수집 홍보 포스터이다. 공주학아카이브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홍보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
![]() |
국립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2024년에 제작한 상시 자료수집 홍보 포스터이다. 공주학아카이브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홍보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
![]() |
목차 발간사 - 이장열 축사 - 최원철(공주시장), 임달희(공주시의회의장), 박수현(국회의원), 고광철(충남도의원) 공주의 마을신앙 = 9 1장 공주 시내 = 17 2장 계룡면 = 41 3장 반포면 = 63 4장… |
![]() |
목차 발간사 = 2 감사의 글 = 4 Part 1. 그리운 학창시절, 나는 중학생! = 10 Part 2. 공주들 담은 졸업앨범, 사진으로 기록하다 = 46 Part 3. 소소하고 따뜻한 행복, 빵집과 극장 =… |
![]() |
목차 발간사 = 2 감사의 글 = 4 Part 1. 그리운 학창시절, 나는 중학생! = 10 Part 2. 공주들 담은 졸업앨범, 사진으로 기록하다 = 46 Part 3. 소소하고 따뜻한 행복, 빵집과 극장 =… |
![]() |
공주학 자료총서 제6집 - 101개 공간으로 만나는 공주근대사 목차 발간사 = 4 책 머리에 = 6 1. 욱정 = 16 2. 본정 = 106 3. 금정 = 198 4. 산성정 = 216 5. 상반정 = 232 6. 대화정 = 246 부록 「공주안내기」 번역문 = 250 |
![]() |
공주학 자료총서 제6집 - 101개 공간으로 만나는 공주근대사 목차 발간사 = 4 책 머리에 = 6 1. 욱정 = 16 2. 본정 = 106 3. 금정 = 198 4. 산성정 = 216 5. 상반정 = 232 6. 대화정 = 246 부록 「공주안내기」 번역문 = 250 |
500008122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2 |
|
500008119 공주기류조합의 전답 |
|
500008117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
|
500008124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5 |
|
500008120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
|
500008123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4 |
|
500008116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의 풍경 |
|
500008118 일제강점기 공주 상반여관 엽서 |
|
500008126 계룡산 동학사 엽서 1 |
|
500008125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1 |
|
500008127 계룡산 갑사 철당간 및 지주 엽서 |
|
600000984 공주학연구원 상시 자료수집 전단지 |
|
600000985 공주학연구원 상시 자료수집 전단지 |
|
600000982 공주학연구원 상시 자료수집 포스터 |
|
600000983 공주학연구원 상시 자료수집 포스터 |
|
100021032 공주의 마을 신앙-우리가 지켜야 할 공주문화 18- |
|
100021030 공주학 구술총서 제2집 - 처음 뵙겠습니다! 청춘공주 |
|
100021031 공주학 구술총서 제2집 - 처음 뵙겠습니다! 청춘공주 |
|
100021028 공주학 자료총서 제6집 - 101개 공간으로 만나는 공주근대사 |
|
100021029 공주학 자료총서 제6집 - 101개 공간으로 만나는 공주근대사 |
범위와내용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등록번호50000812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제목 공주기류조합의 전답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의 특산품은 버들세공품이었다. 공주를 방문해 매일신보에 기행문을 연재한 富春山人(민태원)은 공주의 명물 4가지로 쌍수산성과 김갑순, 감, 버들세공품을 꼽았다. 주로 제민천 하류와 금강가에 버들이 많았는데, 버들전답이 약 30보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하고개 인근 피천마을에 거주한 천민이 주요경작자로서, 수확한 버들을 현재의 공주보 부근…
등록번호500008119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민가 뒤 왼쪽부터 취원루로 추정되는 누정과 일제가 세운 초혼각(초혼사)를 비롯하여 미국인 선교사가 설립한 영명학교와…
등록번호50000811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연천봉 자락에 위치한 연천사(蓮天寺)로 지금의 등운암이다. 조선시대에는 정씨(鄭氏)의 왕기(王氣)를 누른다는 뜻의 압정사(壓鄭寺)라 불렸다. 이 사진그림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인데, 엽서 속 인물은 본 사진을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추가 삽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2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등록번호50000812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갑사의 철당간과 지주의 모습이다. 제복과 양복차림의 인물로 보아 지역의 유지나 관료, 순사 등의 인물로 추정된다. 본 엽서는 조선의 명소 엽서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되었다.
등록번호50000812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의 버드나무 군락이 있는 곳의 풍경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제민천 중간에 서있는 3명의 인물과 제민천 제방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811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상반정(現 봉황동 일원) 부근에 위치한 상반여관이다. 당시 공주의 대표적인 여관으로 시찰단 등 주요인사가 머물기도 했다. 엽서 중간에 상반여관 입구의 모습과 측면을 후편집하여 조각한 것이 특징이다.
등록번호50000811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계룡산 동학사 엽서 1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계룡산 동학사의 전경이다. 전국적인 비구니 수련사찰로도 유명한 동학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되어, 고려 건국기 도선국사가 왕실의 원당(願堂)으로 중창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전통사찰의 모습 이외에도 정몽주와 이색, 길재의 초혼제를 지낸 삼은각, 단종과 그의 충신을 모신 숙모전 등 유교적인 전통과 함께 공존하는 사찰이다. 엽서의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등록번호50000812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범위와내용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등록번호50000812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갑사의 철당간과 지주의 모습이다. 제복과 양복차림의 인물로 보아 지역의 유지나 관료, 순사 등의 인물로 추정된다. 본 엽서는 조선의 명소 엽서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되었다.
등록번호500008127
생산일자1914.09.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범위와내용국립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2024년에 제작한 상시 자료수집 홍보 전단지이다. 공주학아카이브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홍보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600000984
생산일자2024.06.27
형태박물류>포스터
주제총류>공주학 아카이브
범위와내용국립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2024년에 제작한 상시 자료수집 홍보 전단지이다. 공주학아카이브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홍보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600000985
생산일자2024.06.27
형태박물류>포스터
주제총류>공주학 아카이브
범위와내용국립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2024년에 제작한 상시 자료수집 홍보 포스터이다. 공주학아카이브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홍보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600000982
생산일자2024.06.27
형태박물류>포스터
주제총류>공주학 아카이브
범위와내용국립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2024년에 제작한 상시 자료수집 홍보 포스터이다. 공주학아카이브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홍보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600000983
생산일자2024.06.27
형태박물류>포스터
주제총류>공주학 아카이브
제목 공주의 마을 신앙-우리가 지켜야 할 공주문화 18-
범위와내용목차 발간사 - 이장열 축사 - 최원철(공주시장), 임달희(공주시의회의장), 박수현(국회의원), 고광철(충남도의원) 공주의 마을신앙 = 9 1장 공주 시내 = 17 2장 계룡면 = 41 3장 반포면 = 63 4장 사곡면 = 83 5장 신풍면 = 97 6장 우성면 = 113 7장 유구읍 = 123 8장 의당면 = 143 9장 이인면…
등록번호100021032
생산일자2024.11.10
제목 공주학 구술총서 제2집 - 처음 뵙겠습니다! 청춘공주
범위와내용목차 발간사 = 2 감사의 글 = 4 Part 1. 그리운 학창시절, 나는 중학생! = 10 Part 2. 공주들 담은 졸업앨범, 사진으로 기록하다 = 46 Part 3. 소소하고 따뜻한 행복, 빵집과 극장 = 72 Part 4. 언덕 위 음악다방, 상록원 = 108 Part 5. 나의 고향 공주에서, 선생님으로 살다 =…
등록번호100021030
생산일자2021
제목 공주학 구술총서 제2집 - 처음 뵙겠습니다! 청춘공주
범위와내용목차 발간사 = 2 감사의 글 = 4 Part 1. 그리운 학창시절, 나는 중학생! = 10 Part 2. 공주들 담은 졸업앨범, 사진으로 기록하다 = 46 Part 3. 소소하고 따뜻한 행복, 빵집과 극장 = 72 Part 4. 언덕 위 음악다방, 상록원 = 108 Part 5. 나의 고향 공주에서, 선생님으로 살다 =…
등록번호100021031
생산일자2021
제목 공주학 자료총서 제6집 - 101개 공간으로 만나는 공주근대사
범위와내용목차 발간사 = 4 책 머리에 = 6 1. 욱정 = 16 2. 본정 = 106 3. 금정 = 198 4. 산성정 = 216 5. 상반정 = 232 6. 대화정 = 246 부록 「공주안내기」 번역문 = 250
등록번호100021028
생산일자2021
제목 공주학 자료총서 제6집 - 101개 공간으로 만나는 공주근대사
범위와내용목차 발간사 = 4 책 머리에 = 6 1. 욱정 = 16 2. 본정 = 106 3. 금정 = 198 4. 산성정 = 216 5. 상반정 = 232 6. 대화정 = 246 부록 「공주안내기」 번역문 = 250
등록번호100021029
생산일자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