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분류
-
- 시대분류
-
- 형태분류
-
- 주제분류
-
![]() |
제목 1970년대 공주 동학혁명기념탑 앞에 선 공주중학교 학생 범위와내용1970년대 초반, 공주동학혁명 기념탑 앞에서 사진을 촬영한 공주중학교 학생들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8278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건축물
|
![]() |
제목 1970년대 중동성당 계단에 선 공주중학교 학생 2 범위와내용1970년대 초반, 중동성당 앞 계단에서 첨탑을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한 공주중학교 학생의 모습이다. 현재의 성당길을 따라 난 계단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며 교복과 교모를 착용하였다. 등록번호200058277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 |
제목 1970년대 중동성당 계단에 선 공주중학교 학생 1 범위와내용1970년대 초반, 중동성당 앞 계단에서 첨탑을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한 공주중학교 학생들의 모습이다. 현재의 성당길을 따라 난 계단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며 교복과 교모를 착용하고 각양각색의 포즈를 취하였다. 등록번호200058276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의 어느 기관 앞에서 찍은 젊은이들의 사진이다. 언제, 어디서 찍은 것인지 자세한 정보는 알 수 없다. 등록번호200058254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1940년대 윤명재씨가 제작한 개인 앨범에 게재된 동학사 전경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8185 생산일자일제강점기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
![]() |
제목 한국담배인삼공사 공주지점 담장 밑에서 동생들 (1) 범위와내용지금의 한국담배인삼공사 공주지점 담장 아래에서 동생들이 찍은 사진이다. 아버지가 운영하던 박문사 문구점 옆에 한국담배인삼공사 공주지점이 있었다. 등록번호200057582 생산일자197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공주사대부고 앞 삼거리에 위치하였던 박문사 문구점에서 제공자의 동생이 꼬마자도아를 타고 있는 모습이다. 박문사는 고 박학서씨가 운영하던 문구점으로 시외버스정류소와 함께 운영하였다. 지금은 공주고 앞으로 부여가는 버스가 지나가지만, 그 전에는 부여가는 버스길은 공주사대부고 앞이었다. 등록번호200057580 생산일자197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1965년 공주교대부설국민학교 공산성 체육대회를 기념하여 1학년 학생들과 학부모가 기념하여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7578 생산일자1965년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이 사진은 제공자가 1965년 공주교대부설국민학교 1학년때 공산성 쌍수정광장에서 체육대회가 열려 부모님과 함께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7577 생산일자1965년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1970년대 故 박휴서가 공주군의원으로 출마하던 시절 공주읍내에서 차량위에 올라가 선거운동을 하던 모습이다. 박휴서는 제공자의 숙부이다. 등록번호200057576 생산일자197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1968년 공산성 진남루와 고목의 모습이다. 고목의 벌어진 옹이가 넓어지지 않도록 철사로 단단히 고정시켜 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더불어 진남루 기단부의 모습이 자연적으로 축성한 것처럼 보인다. 또한 진남루 위에 앉아 놀이를 즐기는 아이들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487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68년 공산성 잠종냉장고 윗쪽 사면에서 촬영한 금강과 금강교의 모습이다. 자료 중앙부에 공북루 지붕의 모습을 어렴풋이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금강교 주변에 펼쳐진 금강의 모래사장 모습도 볼 수 있으며, 전막 부근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478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68년 공산성 진남루의 모습이다. 오늘날 진남루 부근에는 견고하게 축성된 성벽을 확인할 수 있으나, 본 자료가 촬영될 당시에는 자연스럽게 축조된 성벽을 볼 수 있다. 나아가 쌍수정과 임류각지 방면으로 향하는 성벽길도 토성의 형태로 구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477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68년 공산성 진남루와 고목의 모습이다. 고목의 벌어진 옹이가 넓어지지 않도록 철사로 단단히 고정시켜 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더불어 진남루 기단부의 모습이 자연적으로 축성한 것처럼 보인다. 등록번호200057476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68년 공산성 성안마을의 모습이다. 정확한 촬영위치를 비정할 수 없으나, 성안마을 남쪽 둔덕에서 마을의 일부를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7475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68년 공산성 성벽에서 촬영한 금강과 금강교의 모습이다. 얕은 수심으로 인해 드러난 금강의 모래사장과 멀리 전막의 모습을 희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474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 |
범위와내용1968년 금강과 금강교의 모습을 남단에서 촬영한 자료이다. 맑은 금강물에 금강교의 트러스트와 교각이 비친다. 나아가 오늘날 신관동 부근에 위치한 숙박업소를 확인할 수 없고 모래사장과 얕은 구릉지대를 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473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 |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 속 간지로 사용되었다. 현재의 공산정 부근에서 공북루 방향으로 사진을 촬영하였고, 사진 좌측으로는 금강과 금강변의 모래사장, 그리고 1960년 신축된 공주결핵병원의 모습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57879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이 팔각정에 걸터 앉아 포즈를 취했다. 학생들은 교복과 교모를 착용하고 있으며, 교모에는 현재도 공주중학교의 심볼로 쓰이는 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57878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건축물
|
![]() |
제목 1966년 금강교를 배경으로 선 공주중학교 학생들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이 금강으로 내려왔다. 종아리 부근까지 잠기는 물에 교복 바지를 걷어올리고 상의를 탈의하였으나, 공주중학교 심볼이 박힌 교모는 착용하였다. 학생들 뒤편으로 금강교의 트러스트가 보인다. 등록번호200057873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 |
1970년대 공주 동학혁명기념탑 앞에 선 공주중학교 학생 1970년대 초반, 공주동학혁명 기념탑 앞에서 사진을 촬영한 공주중학교 학생들의 모습이다. |
![]() |
1970년대 초반, 중동성당 앞 계단에서 첨탑을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한 공주중학교 학생의 모습이다. 현재의 성당길을 따라 난 계단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며 교복과 교모를 착용하였다. |
![]() |
1970년대 초반, 중동성당 앞 계단에서 첨탑을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한 공주중학교 학생들의 모습이다. 현재의 성당길을 따라 난 계단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며 교복과 교모를 착용하고 각양각색의 포즈를 취하였다. |
![]() |
일제강점기 공주의 어느 기관 앞에서 찍은 젊은이들의 사진이다. 언제, 어디서 찍은 것인지 자세한 정보는 알 수 없다. |
![]() |
1940년대 윤명재씨가 제작한 개인 앨범에 게재된 동학사 전경 사진이다. |
![]() |
지금의 한국담배인삼공사 공주지점 담장 아래에서 동생들이 찍은 사진이다. 아버지가 운영하던 박문사 문구점 옆에 한국담배인삼공사 공주지점이 있었다. |
![]() |
공주사대부고 앞 삼거리에 위치하였던 박문사 문구점에서 제공자의 동생이 꼬마자도아를 타고 있는 모습이다. 박문사는 고 박학서씨가 운영하던 문구점으로 시외버스정류소와 함께 운영하였다. 지금은 공주고 앞으로 부여가는 버스가 지나가지만, 그… |
![]() |
1965년 공주교대부설국민학교 공산성 체육대회를 기념하여 1학년 학생들과 학부모가 기념하여 찍은 사진이다. |
![]() |
이 사진은 제공자가 1965년 공주교대부설국민학교 1학년때 공산성 쌍수정광장에서 체육대회가 열려 부모님과 함께 찍은 사진이다. |
![]() |
1970년대 故 박휴서가 공주군의원으로 출마하던 시절 공주읍내에서 차량위에 올라가 선거운동을 하던 모습이다. 박휴서는 제공자의 숙부이다. |
![]() |
1968년 공산성 진남루와 고목의 모습이다. 고목의 벌어진 옹이가 넓어지지 않도록 철사로 단단히 고정시켜 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더불어 진남루 기단부의 모습이 자연적으로 축성한 것처럼 보인다. 또한 진남루 위에 앉아 놀이를 즐기는… |
![]() |
1968년 공산성 잠종냉장고 윗쪽 사면에서 촬영한 금강과 금강교의 모습이다. 자료 중앙부에 공북루 지붕의 모습을 어렴풋이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금강교 주변에 펼쳐진 금강의 모래사장 모습도 볼 수 있으며, 전막 부근의 모습도 확인할… |
![]() |
1968년 공산성 진남루의 모습이다. 오늘날 진남루 부근에는 견고하게 축성된 성벽을 확인할 수 있으나, 본 자료가 촬영될 당시에는 자연스럽게 축조된 성벽을 볼 수 있다. 나아가 쌍수정과 임류각지 방면으로 향하는 성벽길도 토성의 형태로… |
![]() |
1968년 공산성 진남루와 고목의 모습이다. 고목의 벌어진 옹이가 넓어지지 않도록 철사로 단단히 고정시켜 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더불어 진남루 기단부의 모습이 자연적으로 축성한 것처럼 보인다. |
![]() |
1968년 공산성 성안마을의 모습이다. 정확한 촬영위치를 비정할 수 없으나, 성안마을 남쪽 둔덕에서 마을의 일부를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
![]() |
1968년 공산성 성벽에서 촬영한 금강과 금강교의 모습이다. 얕은 수심으로 인해 드러난 금강의 모래사장과 멀리 전막의 모습을 희미하게 확인할 수 있다. |
![]() |
1968년 금강과 금강교의 모습을 남단에서 촬영한 자료이다. 맑은 금강물에 금강교의 트러스트와 교각이 비친다. 나아가 오늘날 신관동 부근에 위치한 숙박업소를 확인할 수 없고 모래사장과 얕은 구릉지대를 볼 수 있다. |
![]() |
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 속 간지로 사용되었다. 현재의 공산정 부근에서 공북루 방향으로 사진을 촬영하였고, 사진 좌측으로는 금강과 금강변의 모래사장, 그리고 1960년 신축된 공주결핵병원의… |
![]() |
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이 팔각정에 걸터 앉아 포즈를 취했다. 학생들은 교복과 교모를 착용하고 있으며, 교모에는 현재도 공주중학교의 심볼로 쓰이는 마크가… |
![]() |
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이 금강으로 내려왔다. 종아리 부근까지 잠기는 물에 교복 바지를 걷어올리고 상의를 탈의하였으나, 공주중학교 심볼이 박힌 교모는… |
200058278; 200058278; 200058278 1970년대 공주 동학혁명기념탑 앞에 선 공주중학교 학생 |
|
200058277; 200058277; 200058277 1970년대 중동성당 계단에 선 공주중학교 학생 2 |
|
200058276; 200058276; 200058276 1970년대 중동성당 계단에 선 공주중학교 학생 1 |
|
200058254; 200058254; 200058254 일제강점기 공주 젊은이들의 단체사진 |
|
200058185; 200058185; 200058185 일제강점기 동학사 전경 사진 |
|
200057582; 200057582; 200057582 한국담배인삼공사 공주지점 담장 밑에서 동생들 (1) |
|
200057580; 200057580; 200057580 박문사 문구점 앞에서 꼬마 자동차를 타고 |
|
200057578; 200057578; 200057578 공산성 체육대회 후 기념 사진 |
|
200057577; 200057577; 200057577 공산성에서의 체육대회 후 부모님과 함께 |
|
200057576; 200057576; 200057576 고 박휴서의 공주군의원 선거운동 |
|
200057487; 200057487; 200057487 1968년 공산성 진남루 부근의 고목 2 |
|
200057478; 200057478; 200057478 1968년 공산성에서 촬영한 금강과 금강교 |
|
200057477; 200057477; 200057477 1968년 공산성 진남루 |
|
200057476; 200057476; 200057476 1968년 공산성 진남루 부근의 고목 1 |
|
200057475; 200057475; 200057475 1968년 공산성 성안마을 |
|
200057474; 200057474; 200057474 1968년 공산성 성벽에서 촬영한 금강과 금강교 |
|
200057473; 200057473; 200057473 1968년 금강과 금강교 |
|
200057879; 200057879; 200057879 1966년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과 신관리 일대 |
|
200057878; 200057878; 200057878 1966년 팔각정에 걸터앉은 공주중학교 학생들 |
|
200057873; 200057873; 200057873 1966년 금강교를 배경으로 선 공주중학교 학생들 |
제목 1970년대 공주 동학혁명기념탑 앞에 선 공주중학교 학생
범위와내용1970년대 초반, 공주동학혁명 기념탑 앞에서 사진을 촬영한 공주중학교 학생들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8278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건축물
제목 1970년대 중동성당 계단에 선 공주중학교 학생 2
범위와내용1970년대 초반, 중동성당 앞 계단에서 첨탑을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한 공주중학교 학생의 모습이다. 현재의 성당길을 따라 난 계단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며 교복과 교모를 착용하였다.
등록번호200058277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제목 1970년대 중동성당 계단에 선 공주중학교 학생 1
범위와내용1970년대 초반, 중동성당 앞 계단에서 첨탑을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한 공주중학교 학생들의 모습이다. 현재의 성당길을 따라 난 계단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며 교복과 교모를 착용하고 각양각색의 포즈를 취하였다.
등록번호200058276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의 어느 기관 앞에서 찍은 젊은이들의 사진이다. 언제, 어디서 찍은 것인지 자세한 정보는 알 수 없다.
등록번호200058254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1940년대 윤명재씨가 제작한 개인 앨범에 게재된 동학사 전경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8185
생산일자일제강점기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제목 한국담배인삼공사 공주지점 담장 밑에서 동생들 (1)
범위와내용지금의 한국담배인삼공사 공주지점 담장 아래에서 동생들이 찍은 사진이다. 아버지가 운영하던 박문사 문구점 옆에 한국담배인삼공사 공주지점이 있었다.
등록번호200057582
생산일자197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공주사대부고 앞 삼거리에 위치하였던 박문사 문구점에서 제공자의 동생이 꼬마자도아를 타고 있는 모습이다. 박문사는 고 박학서씨가 운영하던 문구점으로 시외버스정류소와 함께 운영하였다. 지금은 공주고 앞으로 부여가는 버스가 지나가지만, 그 전에는 부여가는 버스길은 공주사대부고 앞이었다.
등록번호200057580
생산일자197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1965년 공주교대부설국민학교 공산성 체육대회를 기념하여 1학년 학생들과 학부모가 기념하여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7578
생산일자1965년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이 사진은 제공자가 1965년 공주교대부설국민학교 1학년때 공산성 쌍수정광장에서 체육대회가 열려 부모님과 함께 찍은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7577
생산일자1965년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1970년대 故 박휴서가 공주군의원으로 출마하던 시절 공주읍내에서 차량위에 올라가 선거운동을 하던 모습이다. 박휴서는 제공자의 숙부이다.
등록번호200057576
생산일자197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1968년 공산성 진남루와 고목의 모습이다. 고목의 벌어진 옹이가 넓어지지 않도록 철사로 단단히 고정시켜 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더불어 진남루 기단부의 모습이 자연적으로 축성한 것처럼 보인다. 또한 진남루 위에 앉아 놀이를 즐기는 아이들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487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68년 공산성 잠종냉장고 윗쪽 사면에서 촬영한 금강과 금강교의 모습이다. 자료 중앙부에 공북루 지붕의 모습을 어렴풋이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금강교 주변에 펼쳐진 금강의 모래사장 모습도 볼 수 있으며, 전막 부근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478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68년 공산성 진남루의 모습이다. 오늘날 진남루 부근에는 견고하게 축성된 성벽을 확인할 수 있으나, 본 자료가 촬영될 당시에는 자연스럽게 축조된 성벽을 볼 수 있다. 나아가 쌍수정과 임류각지 방면으로 향하는 성벽길도 토성의 형태로 구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477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68년 공산성 진남루와 고목의 모습이다. 고목의 벌어진 옹이가 넓어지지 않도록 철사로 단단히 고정시켜 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더불어 진남루 기단부의 모습이 자연적으로 축성한 것처럼 보인다.
등록번호200057476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68년 공산성 성안마을의 모습이다. 정확한 촬영위치를 비정할 수 없으나, 성안마을 남쪽 둔덕에서 마을의 일부를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7475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68년 공산성 성벽에서 촬영한 금강과 금강교의 모습이다. 얕은 수심으로 인해 드러난 금강의 모래사장과 멀리 전막의 모습을 희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474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범위와내용1968년 금강과 금강교의 모습을 남단에서 촬영한 자료이다. 맑은 금강물에 금강교의 트러스트와 교각이 비친다. 나아가 오늘날 신관동 부근에 위치한 숙박업소를 확인할 수 없고 모래사장과 얕은 구릉지대를 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473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 속 간지로 사용되었다. 현재의 공산정 부근에서 공북루 방향으로 사진을 촬영하였고, 사진 좌측으로는 금강과 금강변의 모래사장, 그리고 1960년 신축된 공주결핵병원의 모습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57879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이 팔각정에 걸터 앉아 포즈를 취했다. 학생들은 교복과 교모를 착용하고 있으며, 교모에는 현재도 공주중학교의 심볼로 쓰이는 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57878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건축물
제목 1966년 금강교를 배경으로 선 공주중학교 학생들
범위와내용1967년도 공주중학교 제17회 졸업앨범에 실린 자료로,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이 금강으로 내려왔다. 종아리 부근까지 잠기는 물에 교복 바지를 걷어올리고 상의를 탈의하였으나, 공주중학교 심볼이 박힌 교모는 착용하였다. 학생들 뒤편으로 금강교의 트러스트가 보인다.
등록번호200057873
생산일자1967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