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분류
-
-
- 개인 5460
-
- 주제분류
-
-
- 역사,유적,인물 5460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말경, 봉황산 아래 위치한 충남도청 중심의 공주 시가지 모습이다. 엽서에는 당대의 인물이 작성한 수비대와 도청, 법원, 이름난 요정 등 주요명소와 함께 '앵산공원에서 공주를 바라보며'라는 친필이 남아있다. 등록번호50000738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전기버전이다. 풍경인 내에는 충혼비와 금강, 배다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388 생산일자1933.07.2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후기버전이다. 등록번호500007381 생산일자1936.07.2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등록번호50000738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공주교대부속 국민학교 시절을 배경으로 제작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378 생산일자197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제목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유사한 자료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0737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범위와내용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43 생산일자201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42 생산일자201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나의 길을 가련다 : 대한민국 목공예 명장 1호 유석근 범위와내용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41 생산일자201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나의 길을 가련다 : 대한민국 목공예 명장 1호 유석근 범위와내용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40 생산일자201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39 생산일자201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38 생산일자201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백제와당의 체계적분류 범위와내용백제와당을 수막새기와를 중심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등록번호100016981 생산일자1976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백제 연화문와당 편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석사학위논문이다. 등록번호100016980 생산일자1975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이문호 선생님의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73 생산일자201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이문호 선생님의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72 생산일자201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
범위와내용신원사 경내 모습 등록번호200045924 생산일자2018.07.04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
|
|
범위와내용신원사 경내 모습 등록번호200045923 생산일자2018.07.04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
|
|
범위와내용신원사 경내 모습 등록번호200045922 생산일자2018.07.04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
|
|
범위와내용신원사 경내 모습 등록번호200045921 생산일자2018.07.04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
|
|
1910년대 말경, 봉황산 아래 위치한 충남도청 중심의 공주 시가지 모습이다. 엽서에는 당대의 인물이 작성한 수비대와 도청, 법원, 이름난 요정 등 주요명소와 함께 '앵산공원에서 공주를 바라보며'라는 친필이 남아있다. |
|
|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전기버전이다. 풍경인 내에는 충혼비와 금강, 배다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
|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후기버전이다. |
|
|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
|
|
공주교대부속 국민학교 시절을 배경으로 제작된 엽서이다. |
|
|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유사한 자료로… |
| 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 |
| 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 |
|
나의 길을 가련다 : 대한민국 목공예 명장 1호 유석근 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
|
|
나의 길을 가련다 : 대한민국 목공예 명장 1호 유석근 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
|
| 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 |
| 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 |
| 백제와당을 수막새기와를 중심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 |
| 백제 연화문와당 편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석사학위논문이다. | |
| 이문호 선생님의 자서전이다. | |
| 이문호 선생님의 자서전이다. | |
|
|
신원사 경내 모습 |
|
|
신원사 경내 모습 |
|
|
신원사 경내 모습 |
|
|
신원사 경내 모습 |
|
500007389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1 |
|
|
500007388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전기 풍경인 |
|
|
500007381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의 공주풍경 인장(후기) |
|
|
500007380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
|
|
500007378 공주교대부속 초등학교 엽서 |
|
|
500007375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
|
|
100016943 나의 삶, 공주 역사가 되다 2 |
|
|
100016942 나의 삶, 공주 역사가 되다 2 |
|
|
100016941 나의 길을 가련다 : 대한민국 목공예 명장 1호 유석근 |
|
|
100016940 나의 길을 가련다 : 대한민국 목공예 명장 1호 유석근 |
|
|
100016939 나의 인생 이야기가 되다 |
|
|
100016938 나의 인생 이야기가 되다 |
|
|
100016981 백제와당의 체계적분류 |
|
|
100016980 백제 연화문와당 편년에 관한 연구 |
|
|
100016973 경암 자서전 - 두메산골 농부의 삶 |
|
|
100016972 경암 자서전 - 구슬땀으로 이룬 산골 농부의 꿈 |
|
|
200045924 2018년 7월 4일의 신원사 모습(24) |
|
|
200045923 2018년 7월 4일의 신원사 모습(23) |
|
|
200045922 2018년 7월 4일의 신원사 모습(22) |
|
|
200045921 2018년 7월 4일의 신원사 모습(21) |
범위와내용1910년대 말경, 봉황산 아래 위치한 충남도청 중심의 공주 시가지 모습이다. 엽서에는 당대의 인물이 작성한 수비대와 도청, 법원, 이름난 요정 등 주요명소와 함께 '앵산공원에서 공주를 바라보며'라는 친필이 남아있다.
등록번호50000738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전기버전이다. 풍경인 내에는 충혼비와 금강, 배다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388
생산일자1933.07.2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후기버전이다.
등록번호500007381
생산일자1936.07.2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등록번호50000738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공주교대부속 국민학교 시절을 배경으로 제작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378
생산일자197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제목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유사한 자료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0737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43
생산일자201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42
생산일자201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나의 길을 가련다 : 대한민국 목공예 명장 1호 유석근
범위와내용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41
생산일자201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나의 길을 가련다 : 대한민국 목공예 명장 1호 유석근
범위와내용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40
생산일자201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39
생산일자201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38
생산일자201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백제와당의 체계적분류
범위와내용백제와당을 수막새기와를 중심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등록번호100016981
생산일자1976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기타
범위와내용백제 연화문와당 편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석사학위논문이다.
등록번호100016980
생산일자1975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이문호 선생님의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73
생산일자201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이문호 선생님의 자서전이다.
등록번호100016972
생산일자201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신원사 경내 모습
등록번호200045924
생산일자2018.07.04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범위와내용신원사 경내 모습
등록번호200045923
생산일자2018.07.04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범위와내용신원사 경내 모습
등록번호200045922
생산일자2018.07.04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범위와내용신원사 경내 모습
등록번호200045921
생산일자2018.07.04
형태사진류>사진 전자파일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