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460건
  • 출처분류  개인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일제강점기 여름의 앵산공원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여름의 앵산공원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여름의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영명남학교의 교사이다. 영명학교 교장 우리암(F.E.C. Williams) 선교사의 끈질긴 지원 요청으로 미국 감리회는 해외 선교 100년 기념사업으로서 영명학교 지원을 포함시켜 1921년 10월 3층 양옥 벽돌 구조의 공주영명남학교를 건축했다. 미국에서 보내온 50,000원(약 25,000달러)으로…

등록번호|50000739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

  • 개인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전경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전경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해있던 헌병수비대의 모습이다. 수비대에서 복무하던 병사의 모습과 주변 가옥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다.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더불어 엽서 전면에는 1915년 11월 교토에서 열린…

등록번호|500007392

생산일자|1915.11.1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개인
일제강점기 마곡사 전경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마곡사 전경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마곡사 앞을 흐르는 희지천에서 바라본 마곡사 전경이다. 지금과는 다르게 경내로 들어가는 다리는 난간도 없는 나즈막한 돌다리이며, 경전 주변에는 돌담장이 둘러있다.

등록번호|50000739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개인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3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3

범위와내용|1910년대 말경, 현재의 봉황산 정상부근에서 공주 시가지의 동편을 바라본 모습이다. 이곳은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이라 불렸는데, 미국 선교사가 감리교 선교를 위해 명선여학당을 시작으로 충남 최초의 사립학교인 영명학당을 세워 현재의 영명중고등학교로 맥을 이어오고 있는 장소이다. 엽서에는 '봉황산에서 공주를 바라보며'라는 제목과 함께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을…

등록번호|50000739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개인
공산성 쌍수정에서 바라본 옛 중군영지

제목| 공산성 쌍수정에서 바라본 옛 중군영지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 '조선의 명소(朝鮮名所)'시리즈 엽서로 현재의 공산성 쌍수정 부근에서 금강과 공북루 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가 있는 이곳은 충청병영의 중군영지로서, 자료 속에는 중군영 주요건물이 아직 남아있다. 특히 주출입구인 2층 규모의 해상루(海桑樓)는 따로 이건했는데,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金九)가…

등록번호|50000739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개인

제목| 토건이 낳은 근대 : 일제강점기 공주의 풍경

범위와내용|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발행한 연구총서 시리즈의 두번째 책이다. 일제강점기 공주의 변화모습과 도시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100017022

생산일자|201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개인
1910년대 금강 나루와 공산성 공북루

제목| 1910년대 금강 나루와 공산성 공북루

범위와내용|1910년대 금강의 나루터와 공산성 북문인 공북루 전경이다. 금강은 예로부터 각종 물산을 실어나르는 수운로로서 그 이용이 매우 활발해 주요 교통로 역할을 수행했다. 한편 엽서 중앙에는 1915년 11월 4일 교토에서 열린 다이쇼(大正) 일왕의 즉위를 축하하기 위해 발행된 기념우표와 만세 소인이 찍혀있다. 소인 하단에는 '공주'라고 쓰여 있어 공주에서 발송된…

등록번호|50000739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개인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배다리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배다리 엽서

범위와내용|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2시간씩 연결된 배를 풀어 나룻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다리를 열고 닫았다.

등록번호|50000738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개인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6

제목|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6

범위와내용|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전쟁으로 파괴된 공주 금강교를 배경으로 촬영된 사진이다. 미군과 트럭 주변으로 공주의 아이들이 몰려든 모습이다. 그 뒤로 미군에 의해 폭격맞은 금강교의 모습이 보이는데, 트러스트가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약 3분의 2정도가 파괴되었다. 금강교는 1952년부터 시작되었으므로 그 즈음에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며,…

등록번호|200044823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5

제목|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5

범위와내용|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지금의 금강교 남단의 부근에서 신관동 방향을 보고 촬영한 사진이다. 금강 북단의 모래사장에는 파괴된 금강교 복구를 위해 모인 공사 관계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44822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3

제목|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3

범위와내용|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폭파로 단절된 금강교와 금강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미군에 의해 폭파된 금강교는 1952년부터 복구가 시작되었는데, 금강 북단에 금강교 복구를 위해 모인 공사 관계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44818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4

제목|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4

범위와내용|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와 그의 동료가 금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미군의 뒤로 폭파로 단절된 금강교를 복구하는 모습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44820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2

제목|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2

범위와내용|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폭파로 단절된 금강교를 배경으로 자신의 동료들과 찍은 사진이다. 미군의 군용트럭 주변으로 몰려든 당시 공주의 어린아이들의 모습 뒤로 끊어진 금강교의 복구현장이 담겨있다.

등록번호|200044816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1

제목|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1

범위와내용|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폭파된 금강교와 금강변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금강 북단에는 금강교 복구를 위해 모인 공사 관계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44815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장깃대나루에서 나룻배를 타며 촬영한 사진

제목| 장깃대나루에서 나룻배를 타며 촬영한 사진

범위와내용|1970년대 즈음의 장깃대나루 모습

등록번호|200044780

생산일자|197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개인

제목| 최근 발굴한 백제유적

범위와내용|백제의 유적과 유물이 발굴되는 상황을 2007년의 관점에서 엮은 책이다.

등록번호|100016967

생산일자|200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총론(혼합)

  • 개인

제목| 백제와당연구

범위와내용|공주교육대학교에 재직 중이던 박용전 교수님께서 발간하신 백제 와당에 대한 연구종합서이다.

등록번호|100016966

생산일자|201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총론(혼합)

  • 개인

제목| 백제와당연구

범위와내용|공주교육대학교에 재직 중이던 박용전 교수님께서 발간하신 백제 와당에 대한 연구종합서이다.

등록번호|100016965

생산일자|201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총론(혼합)

  • 개인

제목| 백제문화개발연구원 역사문고 별책2 : 사료를 보니 백제가 보인다(국외편)

범위와내용|백제사 연구를 위한 사료 중 국외의 사료를 연구한 책이다.

등록번호|100016963

생산일자|200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개인

제목| 백제문화개발연구원 역사문고 29 : 백제의 전쟁

범위와내용|백제사에서 전쟁과 관련된 역사적 요인에 대한 부분을 집중한 책이다.

등록번호|100016962

생산일자|200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개인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460건
  • 출처분류  개인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일제강점기 여름의 앵산공원 엽서

일제강점기 여름의 앵산공원 엽서

일제강점기 여름의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영명남학교의 교사이다. 영명학교 교장 우리암(F.E.C. Williams) 선교사의 끈질긴 지원 요청으로 미국 감리회는 해외 선교 100년 기념사업으로서 영명학교 지원을 포함시켜…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전경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전경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해있던 헌병수비대의 모습이다. 수비대에서 복무하던 병사의 모습과 주변 가옥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다.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일제강점기 마곡사 전경 엽서

일제강점기 마곡사 전경 엽서

일제강점기 마곡사 앞을 흐르는 희지천에서 바라본 마곡사 전경이다. 지금과는 다르게 경내로 들어가는 다리는 난간도 없는 나즈막한 돌다리이며, 경전 주변에는 돌담장이 둘러있다.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3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3

1910년대 말경, 현재의 봉황산 정상부근에서 공주 시가지의 동편을 바라본 모습이다. 이곳은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이라 불렸는데, 미국 선교사가 감리교 선교를 위해 명선여학당을 시작으로 충남 최초의 사립학교인 영명학당을 세워 현재의…
공산성 쌍수정에서 바라본 옛 중군영지

공산성 쌍수정에서 바라본 옛 중군영지

1910년대 초, '조선의 명소(朝鮮名所)'시리즈 엽서로 현재의 공산성 쌍수정 부근에서 금강과 공북루 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가 있는 이곳은 충청병영의 중군영지로서, 자료 속에는 중군영 주요건물이 아직…

토건이 낳은 근대 : 일제강점기 공주의 풍경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발행한 연구총서 시리즈의 두번째 책이다. 일제강점기 공주의 변화모습과 도시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1910년대 금강 나루와 공산성 공북루

1910년대 금강 나루와 공산성 공북루

1910년대 금강의 나루터와 공산성 북문인 공북루 전경이다. 금강은 예로부터 각종 물산을 실어나르는 수운로로서 그 이용이 매우 활발해 주요 교통로 역할을 수행했다. 한편 엽서 중앙에는 1915년 11월 4일 교토에서 열린…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배다리 엽서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배다리 엽서

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6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6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전쟁으로 파괴된 공주 금강교를 배경으로 촬영된 사진이다. 미군과 트럭 주변으로 공주의 아이들이 몰려든 모습이다. 그 뒤로 미군에 의해 폭격맞은 금강교의 모습이 보이는데, 트러스트가 형체를…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5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5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지금의 금강교 남단의 부근에서 신관동 방향을 보고 촬영한 사진이다. 금강 북단의 모래사장에는 파괴된 금강교 복구를 위해 모인 공사 관계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3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3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폭파로 단절된 금강교와 금강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미군에 의해 폭파된 금강교는 1952년부터 복구가 시작되었는데, 금강 북단에 금강교 복구를 위해 모인 공사 관계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4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4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와 그의 동료가 금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미군의 뒤로 폭파로 단절된 금강교를 복구하는 모습이 보인다.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2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2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폭파로 단절된 금강교를 배경으로 자신의 동료들과 찍은 사진이다. 미군의 군용트럭 주변으로 몰려든 당시 공주의 어린아이들의 모습 뒤로 끊어진 금강교의 복구현장이 담겨있다.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1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1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폭파된 금강교와 금강변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금강 북단에는 금강교 복구를 위해 모인 공사 관계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장깃대나루에서 나룻배를 타며 촬영한 사진

장깃대나루에서 나룻배를 타며 촬영한 사진

1970년대 즈음의 장깃대나루 모습

최근 발굴한 백제유적

백제의 유적과 유물이 발굴되는 상황을 2007년의 관점에서 엮은 책이다.

백제와당연구

공주교육대학교에 재직 중이던 박용전 교수님께서 발간하신 백제 와당에 대한 연구종합서이다.

백제와당연구

공주교육대학교에 재직 중이던 박용전 교수님께서 발간하신 백제 와당에 대한 연구종합서이다.

백제문화개발연구원 역사문고 별책2 : 사료를 보니 백제가 보인다(국외편)

백제사 연구를 위한 사료 중 국외의 사료를 연구한 책이다.

백제문화개발연구원 역사문고 29 : 백제의 전쟁

백제사에서 전쟁과 관련된 역사적 요인에 대한 부분을 집중한 책이다.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460건
  • 출처분류  개인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460건
  • 출처분류  개인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5460건
  • 출처분류  개인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제목| 일제강점기 여름의 앵산공원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여름의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영명남학교의 교사이다. 영명학교 교장 우리암(F.E.C. Williams) 선교사의 끈질긴 지원 요청으로 미국 감리회는 해외 선교 100년 기념사업으로서 영명학교 지원을 포함시켜 1921년 10월 3층 양옥 벽돌 구조의 공주영명남학교를 건축했다. 미국에서 보내온 50,000원(약 25,000달러)으로…

등록번호|50000739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

  • 개인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전경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해있던 헌병수비대의 모습이다. 수비대에서 복무하던 병사의 모습과 주변 가옥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다.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더불어 엽서 전면에는 1915년 11월 교토에서 열린…

등록번호|500007392

생산일자|1915.11.1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개인

제목| 일제강점기 마곡사 전경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마곡사 앞을 흐르는 희지천에서 바라본 마곡사 전경이다. 지금과는 다르게 경내로 들어가는 다리는 난간도 없는 나즈막한 돌다리이며, 경전 주변에는 돌담장이 둘러있다.

등록번호|50000739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개인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3

범위와내용|1910년대 말경, 현재의 봉황산 정상부근에서 공주 시가지의 동편을 바라본 모습이다. 이곳은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이라 불렸는데, 미국 선교사가 감리교 선교를 위해 명선여학당을 시작으로 충남 최초의 사립학교인 영명학당을 세워 현재의 영명중고등학교로 맥을 이어오고 있는 장소이다. 엽서에는 '봉황산에서 공주를 바라보며'라는 제목과 함께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을…

등록번호|50000739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개인

제목| 공산성 쌍수정에서 바라본 옛 중군영지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 '조선의 명소(朝鮮名所)'시리즈 엽서로 현재의 공산성 쌍수정 부근에서 금강과 공북루 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가 있는 이곳은 충청병영의 중군영지로서, 자료 속에는 중군영 주요건물이 아직 남아있다. 특히 주출입구인 2층 규모의 해상루(海桑樓)는 따로 이건했는데,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金九)가…

등록번호|50000739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개인

제목| 토건이 낳은 근대 : 일제강점기 공주의 풍경

범위와내용|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에서 발행한 연구총서 시리즈의 두번째 책이다. 일제강점기 공주의 변화모습과 도시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등록번호|100017022

생산일자|201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개인

제목| 1910년대 금강 나루와 공산성 공북루

범위와내용|1910년대 금강의 나루터와 공산성 북문인 공북루 전경이다. 금강은 예로부터 각종 물산을 실어나르는 수운로로서 그 이용이 매우 활발해 주요 교통로 역할을 수행했다. 한편 엽서 중앙에는 1915년 11월 4일 교토에서 열린 다이쇼(大正) 일왕의 즉위를 축하하기 위해 발행된 기념우표와 만세 소인이 찍혀있다. 소인 하단에는 '공주'라고 쓰여 있어 공주에서 발송된…

등록번호|50000739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개인

제목|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배다리 엽서

범위와내용|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2시간씩 연결된 배를 풀어 나룻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다리를 열고 닫았다.

등록번호|50000738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개인

제목|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6

범위와내용|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전쟁으로 파괴된 공주 금강교를 배경으로 촬영된 사진이다. 미군과 트럭 주변으로 공주의 아이들이 몰려든 모습이다. 그 뒤로 미군에 의해 폭격맞은 금강교의 모습이 보이는데, 트러스트가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약 3분의 2정도가 파괴되었다. 금강교는 1952년부터 시작되었으므로 그 즈음에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며,…

등록번호|200044823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제목|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5

범위와내용|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지금의 금강교 남단의 부근에서 신관동 방향을 보고 촬영한 사진이다. 금강 북단의 모래사장에는 파괴된 금강교 복구를 위해 모인 공사 관계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44822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제목|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3

범위와내용|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폭파로 단절된 금강교와 금강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미군에 의해 폭파된 금강교는 1952년부터 복구가 시작되었는데, 금강 북단에 금강교 복구를 위해 모인 공사 관계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44818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제목|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4

범위와내용|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와 그의 동료가 금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미군의 뒤로 폭파로 단절된 금강교를 복구하는 모습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44820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제목|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2

범위와내용|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폭파로 단절된 금강교를 배경으로 자신의 동료들과 찍은 사진이다. 미군의 군용트럭 주변으로 몰려든 당시 공주의 어린아이들의 모습 뒤로 끊어진 금강교의 복구현장이 담겨있다.

등록번호|200044816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제목| 복구공사 중인 금강교 1

범위와내용|한국전쟁에 참전한 미 육군 토마스 상사가 폭파된 금강교와 금강변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금강 북단에는 금강교 복구를 위해 모인 공사 관계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44815

생산일자|195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제목| 장깃대나루에서 나룻배를 타며 촬영한 사진

범위와내용|1970년대 즈음의 장깃대나루 모습

등록번호|200044780

생산일자|1970년대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개인

제목| 최근 발굴한 백제유적

범위와내용|백제의 유적과 유물이 발굴되는 상황을 2007년의 관점에서 엮은 책이다.

등록번호|100016967

생산일자|200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총론(혼합)

  • 개인

제목| 백제와당연구

범위와내용|공주교육대학교에 재직 중이던 박용전 교수님께서 발간하신 백제 와당에 대한 연구종합서이다.

등록번호|100016966

생산일자|201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총론(혼합)

  • 개인

제목| 백제와당연구

범위와내용|공주교육대학교에 재직 중이던 박용전 교수님께서 발간하신 백제 와당에 대한 연구종합서이다.

등록번호|100016965

생산일자|201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총론(혼합)

  • 개인

제목| 백제문화개발연구원 역사문고 별책2 : 사료를 보니 백제가 보인다(국외편)

범위와내용|백제사 연구를 위한 사료 중 국외의 사료를 연구한 책이다.

등록번호|100016963

생산일자|200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개인

제목| 백제문화개발연구원 역사문고 29 : 백제의 전쟁

범위와내용|백제사에서 전쟁과 관련된 역사적 요인에 대한 부분을 집중한 책이다.

등록번호|100016962

생산일자|200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