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611건
  • 출처분류  개인
  • 형태분류  문서류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3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3

범위와내용|1910년대 말경, 현재의 봉황산 정상부근에서 공주 시가지의 동편을 바라본 모습이다. 이곳은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이라 불렸는데, 미국 선교사가 감리교 선교를 위해 명선여학당을 시작으로 충남 최초의 사립학교인 영명학당을 세워 현재의 영명중고등학교로 맥을 이어오고 있는 장소이다. 엽서에는 '봉황산에서 공주를 바라보며'라는 제목과 함께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을…

등록번호|50000739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1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1

범위와내용|1910년대 말경, 봉황산 아래 위치한 충남도청 중심의 공주 시가지 모습이다. 엽서에는 당대의 인물이 작성한 수비대와 도청, 법원, 이름난 요정 등 주요명소와 함께 '앵산공원에서 공주를 바라보며'라는 친필이 남아있다.

등록번호|50000738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전기 풍경인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전기 풍경인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전기버전이다. 풍경인 내에는 충혼비와 금강, 배다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388

생산일자|1933.07.2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우성면 김상진(金相鎭)의 호적등본

제목| 우성면 김상진(金相鎭)의 호적등본

범위와내용|공주군 우성면 단지리에서 출생하고 동면 동대리로 주소를 이전한 김상진의 호적등본이다. 전(前) 호주로 김상진의 아버지인 김칠봉(金七奉)이 기재되어있고, 어머니 김단연(金丹然), 처(妻) 이창분(李昌分), 자녀들 그리고 손자들까지 등록되어있다. 해당 인물들의 출생연도와 태어난 곳의 주소, 이전한 주소, 가족관계 등이 본문에 기입되어있다.

등록번호|50000738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인구,취락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일반문서
1916년 최중경(崔仲慶) 묘적계(墓籍屆)

제목| 1916년 최중경(崔仲慶) 묘적계(墓籍屆)

범위와내용|1916년에 공주군 장기면(長技面) 도계리(道溪里)에 사는 최희찬(崔喜燦)이 자신의 선조인 최중경(崔仲慶)의 분묘를 조성하고자 관부에 신고한 묘적계 문서이다. 제출서는 공주경찰서장 경부 장사정태(庄司政太)이다. 문서에는 최중경의 사망연월일과 제주의 주소, 성명이 기록되어있고, 뒤쪽에 간략한 산 그림이 첨부되어 있다. 내용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1.…

등록번호|500007385

생산일자|1916.02.17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일반행정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일반문서
1946년 최선영(崔善英) 납세영수증(納稅領收證)

제목| 1946년 최선영(崔善英) 납세영수증(納稅領收證)

범위와내용|1946년 공주읍에서 발행한 수도세에 대한 납세영수증이다. 문서번호는 제110호, 수취인은 최선영(崔善英)이다. 표에 기재된 내용을 통해 2월분의 수도세에 대한 고지서 이며 납부액은 20원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발행날짜는 알 수 없지만, 발행인은 공주읍사무소의 회계원 임창순(任昌淳)임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384

생산일자|1946.03.1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일반문서
1946년 최선영(崔善英) 납세고지서(納稅告知書)

제목| 1946년 최선영(崔善英) 납세고지서(納稅告知書)

범위와내용|1946년 3월 10일 공주읍사무소에서 발행한 수도세 납세고지서이다. 문서번호는 제110호, 수취인은 최선영(崔善英)이다. 표에 기재된 내용을 통해 2월분의 수도세에 대한 고지서 이며 금액은 20원임을 알 수 있다. 납부기한은 1946년 3월 15일까지이며 공주읍장 장문용(張文鎔)의 인장이 찍혀있다.

등록번호|500007383

생산일자|1946.03.1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일반문서
개정민사소송과 관련한 특별사항

제목| 개정민사소송과 관련한 특별사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에서 발행한 민사소송 개정에 대한 유의사항 안내문이다.

등록번호|500007382

생산일자|1929.12.15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기타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일반문서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의 공주풍경 인장(후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의 공주풍경 인장(후기)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후기버전이다.

등록번호|500007381

생산일자|1936.07.2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범위와내용|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등록번호|50000738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영광의 승자마을(공주군 사곡면 화월 1리)

제목| 영광의 승자마을(공주군 사곡면 화월 1리)

범위와내용|새마을운동 당시 사곡면 화월 1리 마을 내 회의록이다.

등록번호|500007379

생산일자|1960.00.0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기타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일반문서
공주교대부속 초등학교 엽서

제목| 공주교대부속 초등학교 엽서

범위와내용|공주교대부속 국민학교 시절을 배경으로 제작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378

생산일자|197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37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과 배다리의 모습이다. 멀리 쌍신동의 정안천 제방과 연미산 능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주교가 가설된 1920년부터 금강교가 가설되기 전인 1933년 이전의 모습으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0737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유사한 자료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0737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37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소화 3년 차용금증서

제목| 소화 3년 차용금증서

범위와내용|공주군 탄천면에 거주하는 인물이 발행한 차용증서이다.

등록번호|500007373

생산일자|1928.11.1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일반문서
공주시발족기념

제목| 공주시발족기념

범위와내용|1985년 공주시 승격을 기념하여 당시 시청에 재직 중인 인사의 면면이다.

등록번호|500007509

생산일자|1985.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총류>시보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문서 기타
1985년 충청남도교육위원회 상장

제목| 1985년 충청남도교육위원회 상장

범위와내용|1985년 공주사대대학원에 재학 중이던 교사 한학수가 연구활동의 공로를 인정받아 충청남도교육위원회 교육감으로부터 수여받은 상장이다.

등록번호|500007508

생산일자|1985.07.1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대학교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문서 기타
1985년 문교부 상장

제목| 1985년 문교부 상장

범위와내용|1985년 공주사대대학원에 재학 중이던 교사 한학수가 과학전람회에 입상한 것을 입증하는 상장이다.

등록번호|500007507

생산일자|1985.10.04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대학교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문서 기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611건
  • 출처분류  개인
  • 형태분류  문서류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3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3

1910년대 말경, 현재의 봉황산 정상부근에서 공주 시가지의 동편을 바라본 모습이다. 이곳은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이라 불렸는데, 미국 선교사가 감리교 선교를 위해 명선여학당을 시작으로 충남 최초의 사립학교인 영명학당을 세워 현재의…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1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1

1910년대 말경, 봉황산 아래 위치한 충남도청 중심의 공주 시가지 모습이다. 엽서에는 당대의 인물이 작성한 수비대와 도청, 법원, 이름난 요정 등 주요명소와 함께 '앵산공원에서 공주를 바라보며'라는 친필이 남아있다.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전기 풍경인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전기 풍경인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전기버전이다. 풍경인 내에는 충혼비와 금강, 배다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성면 김상진(金相鎭)의 호적등본

우성면 김상진(金相鎭)의 호적등본

공주군 우성면 단지리에서 출생하고 동면 동대리로 주소를 이전한 김상진의 호적등본이다. 전(前) 호주로 김상진의 아버지인 김칠봉(金七奉)이 기재되어있고, 어머니 김단연(金丹然), 처(妻) 이창분(李昌分), 자녀들 그리고 손자들까지…
1916년 최중경(崔仲慶) 묘적계(墓籍屆)

1916년 최중경(崔仲慶) 묘적계(墓籍屆)

1916년에 공주군 장기면(長技面) 도계리(道溪里)에 사는 최희찬(崔喜燦)이 자신의 선조인 최중경(崔仲慶)의 분묘를 조성하고자 관부에 신고한 묘적계 문서이다. 제출서는 공주경찰서장 경부 장사정태(庄司政太)이다. 문서에는 최중경의…
1946년 최선영(崔善英) 납세영수증(納稅領收證)

1946년 최선영(崔善英) 납세영수증(納稅領收證)

1946년 공주읍에서 발행한 수도세에 대한 납세영수증이다. 문서번호는 제110호, 수취인은 최선영(崔善英)이다. 표에 기재된 내용을 통해 2월분의 수도세에 대한 고지서 이며 납부액은 20원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발행날짜는 알 수…
1946년 최선영(崔善英) 납세고지서(納稅告知書)

1946년 최선영(崔善英) 납세고지서(納稅告知書)

1946년 3월 10일 공주읍사무소에서 발행한 수도세 납세고지서이다. 문서번호는 제110호, 수취인은 최선영(崔善英)이다. 표에 기재된 내용을 통해 2월분의 수도세에 대한 고지서 이며 금액은 20원임을 알 수 있다. 납부기한은…
개정민사소송과 관련한 특별사항

개정민사소송과 관련한 특별사항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에서 발행한 민사소송 개정에 대한 유의사항 안내문이다.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의 공주풍경 인장(후기)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의 공주풍경 인장(후기)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후기버전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영광의 승자마을(공주군 사곡면 화월 1리)

영광의 승자마을(공주군 사곡면 화월 1리)

새마을운동 당시 사곡면 화월 1리 마을 내 회의록이다.
공주교대부속 초등학교 엽서

공주교대부속 초등학교 엽서

공주교대부속 국민학교 시절을 배경으로 제작된 엽서이다.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과 배다리의 모습이다. 멀리 쌍신동의 정안천 제방과 연미산 능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주교가 가설된 1920년부터 금강교가 가설되기 전인 1933년 이전의 모습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유사한 자료로…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소화 3년 차용금증서

소화 3년 차용금증서

공주군 탄천면에 거주하는 인물이 발행한 차용증서이다.
공주시발족기념

공주시발족기념

1985년 공주시 승격을 기념하여 당시 시청에 재직 중인 인사의 면면이다.
1985년 충청남도교육위원회 상장

1985년 충청남도교육위원회 상장

1985년 공주사대대학원에 재학 중이던 교사 한학수가 연구활동의 공로를 인정받아 충청남도교육위원회 교육감으로부터 수여받은 상장이다.
1985년 문교부 상장

1985년 문교부 상장

1985년 공주사대대학원에 재학 중이던 교사 한학수가 과학전람회에 입상한 것을 입증하는 상장이다.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611건
  • 출처분류  개인
  • 형태분류  문서류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611건
  • 출처분류  개인
  • 형태분류  문서류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3611건
  • 출처분류  개인
  • 형태분류  문서류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3

범위와내용|1910년대 말경, 현재의 봉황산 정상부근에서 공주 시가지의 동편을 바라본 모습이다. 이곳은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이라 불렸는데, 미국 선교사가 감리교 선교를 위해 명선여학당을 시작으로 충남 최초의 사립학교인 영명학당을 세워 현재의 영명중고등학교로 맥을 이어오고 있는 장소이다. 엽서에는 '봉황산에서 공주를 바라보며'라는 제목과 함께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을…

등록번호|50000739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전경 엽서 1

범위와내용|1910년대 말경, 봉황산 아래 위치한 충남도청 중심의 공주 시가지 모습이다. 엽서에는 당대의 인물이 작성한 수비대와 도청, 법원, 이름난 요정 등 주요명소와 함께 '앵산공원에서 공주를 바라보며'라는 친필이 남아있다.

등록번호|50000738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전기 풍경인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전기버전이다. 풍경인 내에는 충혼비와 금강, 배다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388

생산일자|1933.07.2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우성면 김상진(金相鎭)의 호적등본

범위와내용|공주군 우성면 단지리에서 출생하고 동면 동대리로 주소를 이전한 김상진의 호적등본이다. 전(前) 호주로 김상진의 아버지인 김칠봉(金七奉)이 기재되어있고, 어머니 김단연(金丹然), 처(妻) 이창분(李昌分), 자녀들 그리고 손자들까지 등록되어있다. 해당 인물들의 출생연도와 태어난 곳의 주소, 이전한 주소, 가족관계 등이 본문에 기입되어있다.

등록번호|50000738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인구,취락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일반문서

제목| 1916년 최중경(崔仲慶) 묘적계(墓籍屆)

범위와내용|1916년에 공주군 장기면(長技面) 도계리(道溪里)에 사는 최희찬(崔喜燦)이 자신의 선조인 최중경(崔仲慶)의 분묘를 조성하고자 관부에 신고한 묘적계 문서이다. 제출서는 공주경찰서장 경부 장사정태(庄司政太)이다. 문서에는 최중경의 사망연월일과 제주의 주소, 성명이 기록되어있고, 뒤쪽에 간략한 산 그림이 첨부되어 있다. 내용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1.…

등록번호|500007385

생산일자|1916.02.17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일반행정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일반문서

제목| 1946년 최선영(崔善英) 납세영수증(納稅領收證)

범위와내용|1946년 공주읍에서 발행한 수도세에 대한 납세영수증이다. 문서번호는 제110호, 수취인은 최선영(崔善英)이다. 표에 기재된 내용을 통해 2월분의 수도세에 대한 고지서 이며 납부액은 20원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발행날짜는 알 수 없지만, 발행인은 공주읍사무소의 회계원 임창순(任昌淳)임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384

생산일자|1946.03.1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일반문서

제목| 1946년 최선영(崔善英) 납세고지서(納稅告知書)

범위와내용|1946년 3월 10일 공주읍사무소에서 발행한 수도세 납세고지서이다. 문서번호는 제110호, 수취인은 최선영(崔善英)이다. 표에 기재된 내용을 통해 2월분의 수도세에 대한 고지서 이며 금액은 20원임을 알 수 있다. 납부기한은 1946년 3월 15일까지이며 공주읍장 장문용(張文鎔)의 인장이 찍혀있다.

등록번호|500007383

생산일자|1946.03.1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재무,회계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일반문서

제목| 개정민사소송과 관련한 특별사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에서 발행한 민사소송 개정에 대한 유의사항 안내문이다.

등록번호|500007382

생산일자|1929.12.15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기타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일반문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의 공주풍경 인장(후기)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에서 사용한 인지의 한 종류로 공주의 풍경을 배경으로 제작된 두 종류의 풍경인 중 후기버전이다.

등록번호|500007381

생산일자|1936.07.2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범위와내용|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등록번호|50000738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영광의 승자마을(공주군 사곡면 화월 1리)

범위와내용|새마을운동 당시 사곡면 화월 1리 마을 내 회의록이다.

등록번호|500007379

생산일자|1960.00.0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기타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일반문서

제목| 공주교대부속 초등학교 엽서

범위와내용|공주교대부속 국민학교 시절을 배경으로 제작된 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7378

생산일자|197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37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과 배다리의 모습이다. 멀리 쌍신동의 정안천 제방과 연미산 능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주교가 가설된 1920년부터 금강교가 가설되기 전인 1933년 이전의 모습으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0737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유사한 자료로 보인다.

등록번호|50000737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범위와내용|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737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서신

제목| 소화 3년 차용금증서

범위와내용|공주군 탄천면에 거주하는 인물이 발행한 차용증서이다.

등록번호|500007373

생산일자|1928.11.10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일반문서

제목| 공주시발족기념

범위와내용|1985년 공주시 승격을 기념하여 당시 시청에 재직 중인 인사의 면면이다.

등록번호|500007509

생산일자|1985.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총류>시보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문서 기타

제목| 1985년 충청남도교육위원회 상장

범위와내용|1985년 공주사대대학원에 재학 중이던 교사 한학수가 연구활동의 공로를 인정받아 충청남도교육위원회 교육감으로부터 수여받은 상장이다.

등록번호|500007508

생산일자|1985.07.11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대학교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문서 기타

제목| 1985년 문교부 상장

범위와내용|1985년 공주사대대학원에 재학 중이던 교사 한학수가 과학전람회에 입상한 것을 입증하는 상장이다.

등록번호|500007507

생산일자|1985.10.04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대학교

  • 개인
  • 문서류
  • 문서류>문서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