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분류
-
-
- 개인 791
-
- 시대분류
-
-
- 일제강점기 791
-
![]() |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봉황산에서 당시 영명실수학교가 위치한 앵산공원 방면을 향해 찍은 공주시가 전경이다. 앵산공원에 자리잡은 좌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본관이자 남자부 교사(校舍)이며, 우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여자부 교사이다. 여자부 교사는 향후 영명중학교 특별활동 교실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한편 사진… 등록번호200059064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
![]() |
범위와내용1916년에 공주군 장기면(長技面) 도계리(道溪里)에 사는 최희찬(崔喜燦)이 자신의 선조인 최중경(崔仲慶)의 분묘를 조성하고자 관부에 신고한 묘적계 문서이다. 제출서는 공주경찰서장 경부 장사정태(庄司政太)이다. 문서에는 최중경의 사망연월일과 제주의 주소, 성명이 기록되어있고, 뒤쪽에 간략한 산 그림이 첨부되어 있다. 내용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1.… 등록번호500007385 생산일자1916.02.17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일반행정
|
![]() |
범위와내용현재의 금강교 남단에 위치한 산성나루의 모습을 강 건너편에서 본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18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등록번호50000813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집 2채가 있었다. 등록번호50000739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집 2채가 있었다. 본 자료는 50000739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13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제목 공주경찰서 엽서 범위와내용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양측으로 작은 게시판 2기가 세워져 있다. 또, 우측으로 망루역할을 위한 높은 사다리도 세워져있다. 등록번호50000810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산 단풍나무 숲길 모습이다. 단풍놀이를 즐기기 위해 계룡산을 찾은 지역유지와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우측의 조선인과 대비를 이루는 점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7 생산일자1923.03.2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7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관이대로에는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했다. 등록번호50000817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공산성에서 금강을 향해 북향으로 지어진 영은사는 1457년(세조 3) 묘은사(妙隱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된 후, 임진왜란 때 승군의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등록번호50000816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11년 경술국치 1주년을 기념하여 발행된 시정기념 엽서 중 하나로 포정사 문루에 일장기가 나란히 걸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등록번호500007866 생산일자1911.08.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1910년대 말, 앵산공원에서 공주시가지의 봉황산 방향을 바라본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의 중앙에 충남도청 포정사의 모습과 함께 당시의 욱정거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13과 파노라마 형식의 사진그림엽서로 추정되고, 50000814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75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인물이 악수를 하고 있고, 영명실수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공주시가에 일렬로 늘어서 있다. 도장, 유니온 맥주(ユ二オンビール) ,… 등록번호200059109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
![]() |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6개 정(町) 중의 하나로 지금의 교동과 웅진동 부근이다. 등록번호50000817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895년 공주재판소로 출범한 공주지방재판소는 1910년 5월 충남도청 북측의 봉황산 자락에 자료와 같은 모습으로 남향하여 새롭게 신축했다. 서양식 건축구조로 매우 이질적이었던 법원은 1970년대 현대식 건물로 신축되기 전까지 공주의 명소로서 공주지역 학교 졸업앨범에 자주 등장하는 포토존이 되었다. 공주법원은 해당 위치에서 역사를 이어오다가 2012년… 등록번호50000814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 |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8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바라본 1910년대 전반기 충남도청 부근 시가지이다. 공주 봉황산 아래 조선시대에 조성된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이어주는 도로로 변화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를수록 대로 주변에는 상가와 여관 등 일제식 가옥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1910년경 민가는 여전히 남루한 초가지붕을 유지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5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0814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의 모습이 담긴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 주변으로 여러 기의 초가집이 밀집하여 마을의 군집을 이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성문 밖 강변에도 2채 정도의 초가집이 위치했다. 본 자료에서는 1915년 가설되는 금강 목교가 보이지 않는 점에 비춰보았을 때, 늦어도 1910~15년 사이로 보여진다. 등록번호50000824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봉황산에서 당시 영명실수학교가 위치한 앵산공원 방면을 향해 찍은 공주시가 전경이다. 앵산공원에 자리잡은 좌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본관이자 남자부… |
![]() |
1916년에 공주군 장기면(長技面) 도계리(道溪里)에 사는 최희찬(崔喜燦)이 자신의 선조인 최중경(崔仲慶)의 분묘를 조성하고자 관부에 신고한 묘적계 문서이다. 제출서는 공주경찰서장 경부 장사정태(庄司政太)이다. 문서에는 최중경의… |
![]() |
현재의 금강교 남단에 위치한 산성나루의 모습을 강 건너편에서 본 사진그림엽서이다. |
![]()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
![]() |
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
![]() |
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
![]() |
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
![]() |
일제강점기 공주 계룡산 단풍나무 숲길 모습이다. 단풍놀이를 즐기기 위해 계룡산을 찾은 지역유지와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우측의 조선인과 대비를 이루는 점이 인상적이다. |
![]() |
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
![]()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관이대로에는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했다. |
![]() |
공산성에서 금강을 향해 북향으로 지어진 영은사는 1457년(세조 3) 묘은사(妙隱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된 후, 임진왜란 때 승군의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
![]() |
1911년 경술국치 1주년을 기념하여 발행된 시정기념 엽서 중 하나로 포정사 문루에 일장기가 나란히 걸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
![]() |
일제강점기 1910년대 말, 앵산공원에서 공주시가지의 봉황산 방향을 바라본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의 중앙에 충남도청 포정사의 모습과 함께 당시의 욱정거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13과… |
![]() |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
![]() |
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
![]() |
1895년 공주재판소로 출범한 공주지방재판소는 1910년 5월 충남도청 북측의 봉황산 자락에 자료와 같은 모습으로 남향하여 새롭게 신축했다. 서양식 건축구조로 매우 이질적이었던 법원은 1970년대 현대식 건물로 신축되기 전까지 공주의… |
![]() |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
![]() |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바라본 1910년대 전반기 충남도청 부근 시가지이다. 공주 봉황산 아래 조선시대에 조성된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이어주는 도로로 변화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를수록… |
![]() |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
![]() |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의 모습이 담긴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 주변으로 여러 기의 초가집이 밀집하여 마을의 군집을 이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성문 밖 강변에도 2채 정도의 초가집이 위치했다. 본 자료에서는… |
500007385 1916년 최중경(崔仲慶) 묘적계(墓籍屆) |
|
500008183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
|
500008130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
|
500007397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
|
500008135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
|
500008102 공주경찰서 엽서 |
|
500007467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
|
500008177 일제강점기 공주 본정거리의 모습 |
|
500008175 일제강점기 공주 욱정거리의 모습 |
|
500008162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전경 엽서 |
|
500007866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
|
500008755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
500008176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
|
500008141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재판소 엽서 |
|
500008185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
|
500007858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1 |
|
500008147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
500008244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풍경 엽서 |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봉황산에서 바라본 공주시가 전경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봉황산에서 당시 영명실수학교가 위치한 앵산공원 방면을 향해 찍은 공주시가 전경이다. 앵산공원에 자리잡은 좌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본관이자 남자부 교사(校舍)이며, 우측 건물이 영명실수학교 여자부 교사이다. 여자부 교사는 향후 영명중학교 특별활동 교실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한편 사진…
등록번호200059064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범위와내용1916년에 공주군 장기면(長技面) 도계리(道溪里)에 사는 최희찬(崔喜燦)이 자신의 선조인 최중경(崔仲慶)의 분묘를 조성하고자 관부에 신고한 묘적계 문서이다. 제출서는 공주경찰서장 경부 장사정태(庄司政太)이다. 문서에는 최중경의 사망연월일과 제주의 주소, 성명이 기록되어있고, 뒤쪽에 간략한 산 그림이 첨부되어 있다. 내용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1.…
등록번호500007385
생산일자1916.02.17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정치,행정>행정>일반행정
범위와내용현재의 금강교 남단에 위치한 산성나루의 모습을 강 건너편에서 본 사진그림엽서이다.
등록번호500008183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등록번호50000813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집 2채가 있었다.
등록번호50000739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집 2채가 있었다. 본 자료는 50000739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13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제목 공주경찰서 엽서
범위와내용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양측으로 작은 게시판 2기가 세워져 있다. 또, 우측으로 망루역할을 위한 높은 사다리도 세워져있다.
등록번호50000810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계룡산 단풍나무 숲길 모습이다. 단풍놀이를 즐기기 위해 계룡산을 찾은 지역유지와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우측의 조선인과 대비를 이루는 점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7
생산일자1923.03.2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7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관이대로에는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했다.
등록번호50000817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공산성에서 금강을 향해 북향으로 지어진 영은사는 1457년(세조 3) 묘은사(妙隱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된 후, 임진왜란 때 승군의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등록번호50000816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11년 경술국치 1주년을 기념하여 발행된 시정기념 엽서 중 하나로 포정사 문루에 일장기가 나란히 걸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등록번호500007866
생산일자1911.08.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기타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1910년대 말, 앵산공원에서 공주시가지의 봉황산 방향을 바라본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의 중앙에 충남도청 포정사의 모습과 함께 당시의 욱정거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13과 파노라마 형식의 사진그림엽서로 추정되고, 50000814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75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인물이 악수를 하고 있고, 영명실수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공주시가에 일렬로 늘어서 있다. 도장, 유니온 맥주(ユ二オンビール) ,…
등록번호200059109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6개 정(町) 중의 하나로 지금의 교동과 웅진동 부근이다.
등록번호50000817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895년 공주재판소로 출범한 공주지방재판소는 1910년 5월 충남도청 북측의 봉황산 자락에 자료와 같은 모습으로 남향하여 새롭게 신축했다. 서양식 건축구조로 매우 이질적이었던 법원은 1970년대 현대식 건물로 신축되기 전까지 공주의 명소로서 공주지역 학교 졸업앨범에 자주 등장하는 포토존이 되었다. 공주법원은 해당 위치에서 역사를 이어오다가 2012년…
등록번호50000814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8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바라본 1910년대 전반기 충남도청 부근 시가지이다. 공주 봉황산 아래 조선시대에 조성된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이어주는 도로로 변화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를수록 대로 주변에는 상가와 여관 등 일제식 가옥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1910년경 민가는 여전히 남루한 초가지붕을 유지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5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0814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의 모습이 담긴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 주변으로 여러 기의 초가집이 밀집하여 마을의 군집을 이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성문 밖 강변에도 2채 정도의 초가집이 위치했다. 본 자료에서는 1915년 가설되는 금강 목교가 보이지 않는 점에 비춰보았을 때, 늦어도 1910~15년 사이로 보여진다.
등록번호50000824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