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분류
-
-
- 개인 16559
-
![]() |
제목 1960년대 정안면 고성리 마을 잔치를 즐기는 노인들 범위와내용노인들이 마을잔치를 즐기러 갈때는 항상 갓에 검정색 두루마기를 걸치는 것이 관습이었다. 양복이 도입되면 과도기로서 한복에 중절모가 함께 어울어진 모습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200038539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
![]() |
범위와내용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등록번호200038538 생산일자1959.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
![]() |
제목 6.25전쟁 직후 정안면 광정리 마을길 공동정비작업 범위와내용6.25전쟁 중 미군의 폭탄 투하로 황폐해진 마을에서 마을사람들 공동으로 마을정비사업을 실시하였는데, 주로 논정비 및 마을길 정비작업등을 시행하였다. 등록번호200038537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
![]() |
제목 6.25전쟁 직후 정안면 광정리 마을의 논 객토작업 범위와내용6.25전쟁 중 미군의 폭탄 투하로 황폐해진 마을에서 마을사람들 공동으로 마을정비사업을 실시하였는데, 주로 논정비 및 마을길 정비작업등을 시행하였다. 등록번호200038536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
![]() |
제목 정안면 광정리 섶다리에서 실랑이를 벌이는 상여가마 범위와내용신상예님의 부친 장례식 등록번호200038535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
![]() |
범위와내용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등록번호200038534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
![]() |
범위와내용광정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이면 마을사람들이 모여 줄다리기를 하였는데, 마을사람들은 '강다리기'라고 불렀다. 이 사진 속 모습이 광정마을에서 마지막으로 시행한 강다리기였다. 등록번호200038533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
![]() |
범위와내용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등록번호200038532 생산일자1953.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
![]() |
범위와내용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등록번호200038531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민간신앙,민속>민간신앙
|
![]() |
범위와내용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등록번호200038530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민간신앙,민속>민간신앙
|
![]() |
범위와내용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등록번호200038529 생산일자1963.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
![]() |
범위와내용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1960년대 반포면 동학사 본전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38528 생산일자1963.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
![]() |
제목 정안면 광정리 신상예 부친 장례식의 상여 가는 길 범위와내용신상예님의 부친 장례식 등록번호200038527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
![]() |
제목 동학사 경봉스님 다비식 범위와내용동학사에 우리나라 최초의 비구니 전문강원을 세웠으며 대강백으로 존경받았던 경봉스님의 다비식 모습이다. 1969년 입적하였다. 등록번호200038526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
![]() |
범위와내용공주시 계룡면 구왕리 용산부락에 위치. 김갑순의 부모와 본인의 묘가 함께 안장되어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당인 복락정 옆에 위치. 등록번호200038525 생산일자201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 |
범위와내용공주시 계룡면 구왕리 용산부락에 위치. 김갑순의 부모와 본인의 묘가 함께 안장되어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당인 복락정 옆에 위치. 등록번호200038524 생산일자201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 |
범위와내용공주시 계룡면 구왕리 용산부락에 위치. 김갑순의 부모와 본인의 묘가 함께 안장되어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당인 복락정 옆에 위치. 등록번호200038523 생산일자201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 |
범위와내용김인겸이 쓴 두보의 시, 일본 청견사 기둥에 남아있음 등록번호200038522 생산일자1995.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 |
범위와내용김인겸이 쓴 두보의 시, 일본 청견사 기둥에 남아있음 등록번호200038521 생산일자1995.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
![]() |
제목 신원사 계곡 바위에 새겨진 '주계(珠溪)' (2) 범위와내용우암 송시열 선생님 경치가 아름다워 신원사 계곡 바위에 새겼다고 전해지는 '주계' 글자 신원사와 소림사에서 약 150m 계류 등록번호200038520 생산일자2004.06.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
200038539 1960년대 정안면 고성리 마을 잔치를 즐기는 노인들 |
|
200038538 1959년 정안면 보물리 마을 전경 |
|
200038537 6.25전쟁 직후 정안면 광정리 마을길 공동정비작업 |
|
200038536 6.25전쟁 직후 정안면 광정리 마을의 논 객토작업 |
|
200038535 정안면 광정리 섶다리에서 실랑이를 벌이는 상여가마 |
|
200038534 정안면 광정리 시장의 파장 모습 |
|
200038533 정안면 광정리에서 줄다리기를 준비하는 마을사람들 |
|
200038532 6.25전쟁 이전 정안면 광정리 옛 모습 |
|
200038531 계룡산 삼불봉에서 기도하는 무속인 |
|
200038530 계룡산 삼불봉에서 기도하는 부인 |
|
200038529 1960년대 동학사 전경 |
|
200038528 1960년대 동학사 본당 전경 |
|
200038527 정안면 광정리 신상예 부친 장례식의 상여 가는 길 |
|
200038526 동학사 경봉스님 다비식 |
|
200038525 김갑순 자선 송덕비(후면) |
|
200038524 김갑순 자선 송덕비(측면) |
|
200038523 김갑순 자선 송덕비(정면) |
|
200038522 일본 청견사에 있는 김인겸 친필 시 (2) |
|
200038521 일본 청견사에 있는 김인겸 친필 시 (1) |
|
200038520 신원사 계곡 바위에 새겨진 '주계(珠溪)' (2) |
제목 1960년대 정안면 고성리 마을 잔치를 즐기는 노인들
범위와내용노인들이 마을잔치를 즐기러 갈때는 항상 갓에 검정색 두루마기를 걸치는 것이 관습이었다. 양복이 도입되면 과도기로서 한복에 중절모가 함께 어울어진 모습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200038539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범위와내용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등록번호200038538
생산일자1959.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제목 6.25전쟁 직후 정안면 광정리 마을길 공동정비작업
범위와내용6.25전쟁 중 미군의 폭탄 투하로 황폐해진 마을에서 마을사람들 공동으로 마을정비사업을 실시하였는데, 주로 논정비 및 마을길 정비작업등을 시행하였다.
등록번호200038537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제목 6.25전쟁 직후 정안면 광정리 마을의 논 객토작업
범위와내용6.25전쟁 중 미군의 폭탄 투하로 황폐해진 마을에서 마을사람들 공동으로 마을정비사업을 실시하였는데, 주로 논정비 및 마을길 정비작업등을 시행하였다.
등록번호200038536
생산일자1954.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제목 정안면 광정리 섶다리에서 실랑이를 벌이는 상여가마
범위와내용신상예님의 부친 장례식
등록번호200038535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범위와내용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등록번호200038534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범위와내용광정마을에서는 정월대보름이면 마을사람들이 모여 줄다리기를 하였는데, 마을사람들은 '강다리기'라고 불렀다. 이 사진 속 모습이 광정마을에서 마지막으로 시행한 강다리기였다.
등록번호200038533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범위와내용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등록번호200038532
생산일자1953.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범위와내용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등록번호200038531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민간신앙,민속>민간신앙
범위와내용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등록번호200038530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민간신앙,민속>민간신앙
범위와내용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등록번호200038529
생산일자1963.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범위와내용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1960년대 반포면 동학사 본전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38528
생산일자1963.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제목 정안면 광정리 신상예 부친 장례식의 상여 가는 길
범위와내용신상예님의 부친 장례식
등록번호200038527
생산일자196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읍면자료>면>정안
제목 동학사 경봉스님 다비식
범위와내용동학사에 우리나라 최초의 비구니 전문강원을 세웠으며 대강백으로 존경받았던 경봉스님의 다비식 모습이다. 1969년 입적하였다.
등록번호200038526
생산일자1969.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동학사
범위와내용공주시 계룡면 구왕리 용산부락에 위치. 김갑순의 부모와 본인의 묘가 함께 안장되어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당인 복락정 옆에 위치.
등록번호200038525
생산일자201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범위와내용공주시 계룡면 구왕리 용산부락에 위치. 김갑순의 부모와 본인의 묘가 함께 안장되어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당인 복락정 옆에 위치.
등록번호200038524
생산일자201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범위와내용공주시 계룡면 구왕리 용산부락에 위치. 김갑순의 부모와 본인의 묘가 함께 안장되어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당인 복락정 옆에 위치.
등록번호200038523
생산일자201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범위와내용김인겸이 쓴 두보의 시, 일본 청견사 기둥에 남아있음
등록번호200038522
생산일자1995.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범위와내용김인겸이 쓴 두보의 시, 일본 청견사 기둥에 남아있음
등록번호200038521
생산일자1995.10.06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조선시대
제목 신원사 계곡 바위에 새겨진 '주계(珠溪)' (2)
범위와내용우암 송시열 선생님 경치가 아름다워 신원사 계곡 바위에 새겼다고 전해지는 '주계' 글자 신원사와 소림사에서 약 150m 계류
등록번호200038520
생산일자2004.06.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