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6849건
  • 출처분류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강자연설치미술전 (4)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강자연설치미술전 (4)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2000년 7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공산성 일원에서 진행한 금강자연설치미술전 출품 작품이다.

등록번호|200059703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장선리 유적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장선리 유적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장선리 토실 유적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장선리에 있다. 장선리 토실유적은 2001년 9월 11일 사적 제433호로 지정되었다.

등록번호|200059702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이다. 이 석조들은 대통사지의 금당지와 강당지 사이에 있었던 백제의 유물이다.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재하고 있으며 보물 제148호, 제149호로 지정되었다.

등록번호|200059701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석관묘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석관묘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산의리 유적에서 발견된 석관묘이다. 산의리 유적은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산의리에 위치하고 청동기 시대 유적이다.

등록번호|200059700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옹관묘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옹관묘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산의리 유적에서 발견된 옹관묘이다. 산의리 유적은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산의리에 위치하고 청동기 시대 유적이다.

등록번호|200059699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2)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2)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석장리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현장 모습이다. 석장리 유적지는 남한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지이다.

등록번호|200059698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출토 유물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출토 유물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금학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등록번호|200059697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금학동고분군 7호묘 전경으로 2004년 4월 10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68호로 지정되었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등록번호|200059696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석재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석재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사진 속 돌은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으로 1976년 6월 9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6호로 지정되었다. 이 곳에는 조선 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가 신도안을 도읍 후보지로 결정하여 도로 건설 공사를 하기 위해 석재 등을 운반해 놓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등록번호|200059695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1)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1)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돌을 이용한 모자이크로 발바닥을 형상화한 작품 전시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9694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전경이다. 신관캠퍼스 주변 시가지도 함께 보인다.

등록번호|200059693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수촌리토성 발굴조사지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수촌리토성 발굴조사지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의당면 수촌리에 있는 수촌리 토성 발굴조사지 전경이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등록번호|200059692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영명여학당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영명여학당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영명여학당 전경으로, 영명여학당은 미국인 선교사 사애리시가 설립하였다.

등록번호|200059691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1930년대 공주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1930년대 공주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1930년대 공주 시가지 전경이다.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흰색 동그라미 부분은 충남 도청 본관 건물이다.

등록번호|200059690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솟대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솟대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도심에 위치한 솟대 모습이다. 솟대는 민간신앙 목적으로 또는 경사가 있을 때 축하의 뜻으로 세우는 긴 대이다. 사진 속 솟대에 세워진 지역이나 위치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등록번호|200059689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신관주공4단지아파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신관주공4단지아파트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곰나루아파트 102동에서 신관주공4단지아파트 방향으로 찍은 전경이다. 사진 좌측에는 곰나루아파트 101동, 102동이보이고 우측에는 신관주공4단지아파트가 보인다.

등록번호|200059688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백제문화제 (10)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백제문화제 (10)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2001년 10월에 개최한 제47회 백제문화제 축제 전 중동사거리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9687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논문집 제02집(論文集 第二輯)

제목| 논문집 제02집(論文集 第二輯)

범위와내용|권두언 인문, 사회과학편 시의 시각표상의 연구 - 이원구 한국민요의 분석적 고찰 - 임헌도 W.B. Yeats 論 - 김사목 민주교육의 기본과제와 programed Learning의 의의 - 이창우 공주사범대학생의 Frustration - 정한택 학업성취도의 누가예언에 관한 연구 - 윤석병 자연과학편 적분기하학에 있어서의 poincare의 공식의 확장에…

등록번호|100019553

생산일자|1964.11.20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대학교

  • 개인
백제의 조각과 미술(百濟의 彫刻과 美術)

제목| 백제의 조각과 미술(百濟의 彫刻과 美術)

범위와내용|발간사 서문 집필자 화보 제1장 백제 미술문화의 형성 배경 제2장 백제의 조각 제3장 백제조각의 후대 계승 제4장 백제미술의 특성·1 제5장 백제미술의 특성·2 제6장 백제조각의 미의식과 그 현대적 계승

등록번호|100019552

생산일자|1991.12.2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개인
백제불교사상연구(百濟佛敎思想硏究)

제목| 백제불교사상연구(百濟佛敎思想硏究)

범위와내용|I. 백제의 불교사상 II. 백제의 승직제도 III. 위덕왕 당시의 불교 IV. 백제 사문들의 전문수업 V. 미륵사상 VI. 관음사상 VII. 청관음경신앙과 그 일본전수 VIII. 묘견신앙과 그 일본전수 IX. 임성태자와 아좌태자 X. 달솔일라와 상인일라 XI. 일본에 비쳐진 백제불교

등록번호|100019551

생산일자|1985.07.1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개인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6849건
  • 출처분류  개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강자연설치미술전 (4)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강자연설치미술전 (4)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2000년 7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공산성 일원에서 진행한 금강자연설치미술전 출품 작품이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장선리 유적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장선리 유적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장선리 토실 유적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장선리에 있다. 장선리 토실유적은 2001년 9월 11일 사적 제433호로 지정되었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이다. 이 석조들은 대통사지의 금당지와 강당지 사이에 있었던 백제의 유물이다.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재하고 있으며 보물…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석관묘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석관묘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산의리 유적에서 발견된 석관묘이다. 산의리 유적은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산의리에 위치하고 청동기 시대 유적이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옹관묘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옹관묘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산의리 유적에서 발견된 옹관묘이다. 산의리 유적은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산의리에 위치하고 청동기 시대 유적이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2)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2)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석장리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현장 모습이다. 석장리 유적지는 남한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지이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출토 유물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출토 유물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금학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금학동고분군 7호묘 전경으로 2004년 4월 10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68호로 지정되었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석재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석재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사진 속 돌은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으로 1976년 6월 9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6호로 지정되었다. 이 곳에는 조선 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가…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1)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1)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돌을 이용한 모자이크로 발바닥을 형상화한 작품 전시 모습이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전경이다. 신관캠퍼스 주변 시가지도 함께 보인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수촌리토성 발굴조사지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수촌리토성 발굴조사지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의당면 수촌리에 있는 수촌리 토성 발굴조사지 전경이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영명여학당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영명여학당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영명여학당 전경으로, 영명여학당은 미국인 선교사 사애리시가 설립하였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1930년대 공주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1930년대 공주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1930년대 공주 시가지 전경이다.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흰색 동그라미 부분은 충남 도청 본관 건물이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솟대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솟대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도심에 위치한 솟대 모습이다. 솟대는 민간신앙 목적으로 또는 경사가 있을 때 축하의 뜻으로 세우는 긴 대이다. 사진 속 솟대에 세워진 지역이나 위치는…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신관주공4단지아파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신관주공4단지아파트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곰나루아파트 102동에서 신관주공4단지아파트 방향으로 찍은 전경이다. 사진 좌측에는 곰나루아파트 101동, 102동이보이고 우측에는 신관주공4단지아파트가…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백제문화제 (10)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백제문화제 (10)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2001년 10월에 개최한 제47회 백제문화제 축제 전 중동사거리 모습이다.
논문집 제02집(論文集 第二輯)

논문집 제02집(論文集 第二輯)

권두언 인문, 사회과학편 시의 시각표상의 연구 - 이원구 한국민요의 분석적 고찰 - 임헌도 W.B. Yeats 論 - 김사목 민주교육의 기본과제와 programed Learning의 의의 - 이창우 공주사범대학생의…
백제의 조각과 미술(百濟의 彫刻과 美術)

백제의 조각과 미술(百濟의 彫刻과 美術)

발간사 서문 집필자 화보 제1장 백제 미술문화의 형성 배경 제2장 백제의 조각 제3장 백제조각의 후대 계승 제4장 백제미술의 특성·1 제5장 백제미술의 특성·2 제6장 백제조각의 미의식과 그 현대적 계승
백제불교사상연구(百濟佛敎思想硏究)

백제불교사상연구(百濟佛敎思想硏究)

I. 백제의 불교사상 II. 백제의 승직제도 III. 위덕왕 당시의 불교 IV. 백제 사문들의 전문수업 V. 미륵사상 VI. 관음사상 VII. 청관음경신앙과 그 일본전수 VIII. 묘견신앙과 그 일본전수 IX. 임성태자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6849건
  • 출처분류  개인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6849건
  • 출처분류  개인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6849건
  • 출처분류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강자연설치미술전 (4)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2000년 7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공산성 일원에서 진행한 금강자연설치미술전 출품 작품이다.

등록번호|200059703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장선리 유적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장선리 토실 유적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장선리에 있다. 장선리 토실유적은 2001년 9월 11일 사적 제433호로 지정되었다.

등록번호|200059702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이다. 이 석조들은 대통사지의 금당지와 강당지 사이에 있었던 백제의 유물이다.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재하고 있으며 보물 제148호, 제149호로 지정되었다.

등록번호|200059701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석관묘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산의리 유적에서 발견된 석관묘이다. 산의리 유적은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산의리에 위치하고 청동기 시대 유적이다.

등록번호|200059700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옹관묘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산의리 유적에서 발견된 옹관묘이다. 산의리 유적은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산의리에 위치하고 청동기 시대 유적이다.

등록번호|200059699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2)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석장리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현장 모습이다. 석장리 유적지는 남한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지이다.

등록번호|200059698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출토 유물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금학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등록번호|200059697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금학동고분군 7호묘 전경으로 2004년 4월 10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68호로 지정되었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등록번호|200059696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석재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사진 속 돌은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으로 1976년 6월 9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6호로 지정되었다. 이 곳에는 조선 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가 신도안을 도읍 후보지로 결정하여 도로 건설 공사를 하기 위해 석재 등을 운반해 놓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등록번호|200059695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1)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돌을 이용한 모자이크로 발바닥을 형상화한 작품 전시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9694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전경이다. 신관캠퍼스 주변 시가지도 함께 보인다.

등록번호|200059693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수촌리토성 발굴조사지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의당면 수촌리에 있는 수촌리 토성 발굴조사지 전경이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등록번호|200059692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영명여학당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영명여학당 전경으로, 영명여학당은 미국인 선교사 사애리시가 설립하였다.

등록번호|200059691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1930년대 공주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1930년대 공주 시가지 전경이다.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흰색 동그라미 부분은 충남 도청 본관 건물이다.

등록번호|200059690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솟대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도심에 위치한 솟대 모습이다. 솟대는 민간신앙 목적으로 또는 경사가 있을 때 축하의 뜻으로 세우는 긴 대이다. 사진 속 솟대에 세워진 지역이나 위치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등록번호|200059689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신관주공4단지아파트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곰나루아파트 102동에서 신관주공4단지아파트 방향으로 찍은 전경이다. 사진 좌측에는 곰나루아파트 101동, 102동이보이고 우측에는 신관주공4단지아파트가 보인다.

등록번호|200059688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백제문화제 (10)

범위와내용|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2001년 10월에 개최한 제47회 백제문화제 축제 전 중동사거리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9687

생산일자|2001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총류>시,군지

  • 개인

제목| 논문집 제02집(論文集 第二輯)

범위와내용|권두언 인문, 사회과학편 시의 시각표상의 연구 - 이원구 한국민요의 분석적 고찰 - 임헌도 W.B. Yeats 論 - 김사목 민주교육의 기본과제와 programed Learning의 의의 - 이창우 공주사범대학생의 Frustration - 정한택 학업성취도의 누가예언에 관한 연구 - 윤석병 자연과학편 적분기하학에 있어서의 poincare의 공식의 확장에…

등록번호|100019553

생산일자|1964.11.20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대학교

  • 개인

제목| 백제의 조각과 미술(百濟의 彫刻과 美術)

범위와내용|발간사 서문 집필자 화보 제1장 백제 미술문화의 형성 배경 제2장 백제의 조각 제3장 백제조각의 후대 계승 제4장 백제미술의 특성·1 제5장 백제미술의 특성·2 제6장 백제조각의 미의식과 그 현대적 계승

등록번호|100019552

생산일자|1991.12.2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개인

제목| 백제불교사상연구(百濟佛敎思想硏究)

범위와내용|I. 백제의 불교사상 II. 백제의 승직제도 III. 위덕왕 당시의 불교 IV. 백제 사문들의 전문수업 V. 미륵사상 VI. 관음사상 VII. 청관음경신앙과 그 일본전수 VIII. 묘견신앙과 그 일본전수 IX. 임성태자와 아좌태자 X. 달솔일라와 상인일라 XI. 일본에 비쳐진 백제불교

등록번호|100019551

생산일자|1985.07.10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백제시대

  • 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