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분류
-
-
- 개인 16559
-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향교부설 양사재에 관한 자료이다. 윤여헌 교수의 친필메모가 쓰여져 있다. 등록번호50001140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2009년에 작성된 이다. 명사와 함께하는 토요문화산책 1~3과 여름방학 특별공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명사와 함께하는 토요문화산책 1은 앞장이 소실되어 주제와 강연개요등을 알 수 없다. 홍보실적, 성과, 검토사항과 사진으로 유추함으로써는 어린이날 관련 주제를 다루고 있다. 토요문화산책2는 연극배우 박정자 강연회 결과보고로 강연개요, 홍보실적, 성과,… 등록번호500011401 생산일자2009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2012년 윤여헌 교수가 국가기록원으로부터 지방기록물 연구와 보존 기여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을 받게 되었다는 보도자료 원문이다. 이외에 윤여헌 교수의 이력과 향토사학자로서의 삶, 나태주 공주문화원장이 인터뷰한 자료도 있다. 등록번호500011399 생산일자201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古筠(고균) 金玉均(김옥균) 先生(선생) 관련 자료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고균 김옥균 관련 원고이다.. 김옥균의 출생년월일, 생가, 묘소에 관한 자료와 생가지, 생가지 관리상황, 김옥균 선생의 일대기, 갑신정변의 역사적 의의로 구성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39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대통교에 관한 원고이다. 대통교의 역사에 대해 다루고있다. 등록번호50001139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산지에 관한 원고이다. 공산지의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 다루고있다. 등록번호50001139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역사기행-제민천교영세비(濟民川橋永世碑), 제민천교명비(濟民川橋銘碑)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제민천교영세비와 제민천교명비의 특징과 연혁에 관한 원고이다. 등록번호50001139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산성에 관한 원고로, 공산성의 역사와 특징에 관해 정리하였다. 등록번호50001139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충청감영에서 공주목에 견역청을 설치해 운영했다는 원고이다. 견역청의 운영실태에 대해서도 다루고있다. 등록번호50001139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지방의 지방세 징수에 관해 발견된 문헌인 견역청절목과 민역청절목에 대해 다룬 원고이다. 민역청의 역사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39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역사기행-고마나루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고마나루(곰나루)에 관한 원고이다. 고마나루의 역사와 전설에 관해 다루며, 곰토템사상과 곰사당의 뜻에 대해 밝히고있다. 등록번호50001139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역사기행-공주 출신 서예가 :석연 이경재, 송재 조동욱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출신 서예가 석연(石淵) 이경배(李慶培), 송재(松齎) 조동욱(趙東旭)의 연혁에 관한 원고이다. 등록번호50001138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역사기행-향토 출신 근대서화가 (2) :김기창, 김재석, 구종서, 이팔찬 등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향토출신 서화가에 관한 원고이다. 운보(雲甫) 김기창(金基昶), 봉계(鳳溪) 김재석(金在奭), 구종서(具宗書), 이팔찬(李八燦), 기타(석일화, 창석, 승헌 신찬우, 운제 이공원)의 연혁에 대해 다루고 있다. 등록번호50001138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역사기행-향토 출신 근대서화가 (1): 청전 이상범, 우석 김기창, 화당 김재배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 우석(愚石) 김기창(金基昌), 화당(和堂) 김재배(金栽培)에 관한 원고이다. 각각의 연혁을 담고 있으며, 제목 옆에는 '향토출신근대서화가'라는 윤교수님의 자필메모가 쓰여져있다. 등록번호50001138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박문수 집터에 관한 원고이다. 공주군지(1957년 간) 공신조에 '공주읍 교동에서 거주하였다'라는 기록과 현 교동(校洞) 지번52와, 지번62-1의 2필지로 박문수 집터를 추정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38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공산성내 유적>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산성 내 유적들에 관한 원고이다. 왕궁지, 임류각지(臨流閣址), 광복루, 공북루, 쌍수정, 사적비, 진남루, 영은사에 관한 자료가 실려있다. 등록번호50001138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동계(洞契)에 관한 원고이다. 조선조의 특징과 동계의 사회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38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대통사지에 설립되려 하는 한옥촌 설립을 반대하고자 반대촉구를 호소하는 호소문이다. 대통사의 위치가 확인되었지만 유적이 매몰되고 한옥건축물이 들어설 예정이라는 사실을 알리며 대통사지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중요성으로 1.삼국시대 사찰 중 이름,연대,장소를 알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사찰이다. 2.국가사찰로서 당시의 백제불교를 이해하는 핵심자료이다.… 등록번호50001138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웅진시민신문 윤여헌 칼럼 :공주의 문화유산 <12> '무릉동'을 빛낸 사람들 범위와내용1997.6.13.발간된 웅진시민신문에 실린 윤여헌 교수의 투고문을 인쇄한 것이다. 무릉동출신으로 고장을 빛낸 박동진명창, 퇴석 김인겸, 송재 조동욱에 대해 다루고 있다. 마지막장에 친필메모가 수록되어있다. 등록번호500011382 생산일자1997.6.13.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제목 웅진시민신문 윤여헌 칼럼 :공주의 문화유산 <13> 이인찰방역(利仁察訪驛)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웅진시민신문에 실린 윤여헌 교수의 투고문을 인쇄한 것이다. 이인찰방역(利仁察訪驛)의 역사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등록번호50001138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연도미상의 공주향교부설 양사재에 관한 자료이다. 윤여헌 교수의 친필메모가 쓰여져 있다. |
![]() |
2009년에 작성된 이다. 명사와 함께하는 토요문화산책 1~3과 여름방학 특별공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명사와 함께하는 토요문화산책 1은 앞장이 소실되어 주제와 강연개요등을 알 수 없다. 홍보실적, 성과, 검토사항과 사진으로… |
![]() |
2012년 윤여헌 교수가 국가기록원으로부터 지방기록물 연구와 보존 기여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을 받게 되었다는 보도자료 원문이다. 이외에 윤여헌 교수의 이력과 향토사학자로서의 삶, 나태주 공주문화원장이 인터뷰한 자료도 있다. |
![]() |
연도미상의 고균 김옥균 관련 원고이다.. 김옥균의 출생년월일, 생가, 묘소에 관한 자료와 생가지, 생가지 관리상황, 김옥균 선생의 일대기, 갑신정변의 역사적 의의로 구성되어 있다. |
![]() |
연도미상의 대통교에 관한 원고이다. 대통교의 역사에 대해 다루고있다. |
![]() |
연도미상의 공산지에 관한 원고이다. 공산지의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 다루고있다. |
![]() |
역사기행-제민천교영세비(濟民川橋永世碑), 제민천교명비(濟民川橋銘碑) 연도미상의 제민천교영세비와 제민천교명비의 특징과 연혁에 관한 원고이다. |
![]() |
연도미상의 공산성에 관한 원고로, 공산성의 역사와 특징에 관해 정리하였다. |
![]() |
연도미상의 충청감영에서 공주목에 견역청을 설치해 운영했다는 원고이다. 견역청의 운영실태에 대해서도 다루고있다. |
![]() |
연도미상의 공주지방의 지방세 징수에 관해 발견된 문헌인 견역청절목과 민역청절목에 대해 다룬 원고이다. 민역청의 역사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
![]() |
연도미상의 고마나루(곰나루)에 관한 원고이다. 고마나루의 역사와 전설에 관해 다루며, 곰토템사상과 곰사당의 뜻에 대해 밝히고있다. |
![]() |
역사기행-공주 출신 서예가 :석연 이경재, 송재 조동욱 연도미상의 공주출신 서예가 석연(石淵) 이경배(李慶培), 송재(松齎) 조동욱(趙東旭)의 연혁에 관한 원고이다. |
![]() |
역사기행-향토 출신 근대서화가 (2) :김기창, 김재석, 구종서, 이팔찬 등 연도미상의 향토출신 서화가에 관한 원고이다. 운보(雲甫) 김기창(金基昶), 봉계(鳳溪) 김재석(金在奭), 구종서(具宗書), 이팔찬(李八燦), 기타(석일화, 창석, 승헌 신찬우, 운제 이공원)의 연혁에 대해 다루고 있다. |
![]() |
역사기행-향토 출신 근대서화가 (1): 청전 이상범, 우석 김기창, 화당 김재배 연도미상의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 우석(愚石) 김기창(金基昌), 화당(和堂) 김재배(金栽培)에 관한 원고이다. 각각의 연혁을 담고 있으며, 제목 옆에는 '향토출신근대서화가'라는 윤교수님의 자필메모가 쓰여져있다. |
![]() |
연도미상의 박문수 집터에 관한 원고이다. 공주군지(1957년 간) 공신조에 '공주읍 교동에서 거주하였다'라는 기록과 현 교동(校洞) 지번52와, 지번62-1의 2필지로 박문수 집터를 추정하고 있다. |
![]() |
연도미상의 공산성 내 유적들에 관한 원고이다. 왕궁지, 임류각지(臨流閣址), 광복루, 공북루, 쌍수정, 사적비, 진남루, 영은사에 관한 자료가 실려있다. |
![]() |
연도미상의 동계(洞契)에 관한 원고이다. 조선조의 특징과 동계의 사회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 |
대통사지에 설립되려 하는 한옥촌 설립을 반대하고자 반대촉구를 호소하는 호소문이다. 대통사의 위치가 확인되었지만 유적이 매몰되고 한옥건축물이 들어설 예정이라는 사실을 알리며 대통사지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중요성으로… |
![]() |
웅진시민신문 윤여헌 칼럼 :공주의 문화유산 <12> '무릉동'을 빛낸 사람들 1997.6.13.발간된 웅진시민신문에 실린 윤여헌 교수의 투고문을 인쇄한 것이다. 무릉동출신으로 고장을 빛낸 박동진명창, 퇴석 김인겸, 송재 조동욱에 대해 다루고 있다. 마지막장에 친필메모가 수록되어있다. |
![]() |
웅진시민신문 윤여헌 칼럼 :공주의 문화유산 <13> 이인찰방역(利仁察訪驛) 연도미상의 웅진시민신문에 실린 윤여헌 교수의 투고문을 인쇄한 것이다. 이인찰방역(利仁察訪驛)의 역사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
500011402 공주향교부설양사재(公州鄕校附設養士齎)에 관하여 |
|
500011401 명사와 함께하는 토요문화산책 결과보고서 |
|
500011399 윤어헌 회장 '대통령' 표창 보도자료 기안문 외 |
|
500011398 古筠(고균) 金玉均(김옥균) 先生(선생) 관련 자료 |
|
500011397 역사기행-대통교(大通橋) |
|
500011396 역사기행-공산지(公山誌) |
|
500011395 역사기행-제민천교영세비(濟民川橋永世碑), 제민천교명비(濟民川橋銘碑) |
|
500011394 역사기행-역사속의 공산성 |
|
500011392 역사기행-공주목(公州牧) 견역청 |
|
500011391 역사기행-공주목 민역청(民役廳) |
|
500011390 역사기행-고마나루 |
|
500011389 역사기행-공주 출신 서예가 :석연 이경재, 송재 조동욱 |
|
500011386 역사기행-어사 박문수(朴文秀)의 집터 |
|
500011385 <공산성내 유적> |
|
500011384 공주지방의 동계(洞契)에 관한 연구 |
|
500011383 대통사지의 한옥촌 설립 반대를 촉구하는 호소문 |
|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향교부설 양사재에 관한 자료이다. 윤여헌 교수의 친필메모가 쓰여져 있다.
등록번호50001140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2009년에 작성된 이다. 명사와 함께하는 토요문화산책 1~3과 여름방학 특별공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명사와 함께하는 토요문화산책 1은 앞장이 소실되어 주제와 강연개요등을 알 수 없다. 홍보실적, 성과, 검토사항과 사진으로 유추함으로써는 어린이날 관련 주제를 다루고 있다. 토요문화산책2는 연극배우 박정자 강연회 결과보고로 강연개요, 홍보실적, 성과,…
등록번호500011401
생산일자2009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2012년 윤여헌 교수가 국가기록원으로부터 지방기록물 연구와 보존 기여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을 받게 되었다는 보도자료 원문이다. 이외에 윤여헌 교수의 이력과 향토사학자로서의 삶, 나태주 공주문화원장이 인터뷰한 자료도 있다.
등록번호500011399
생산일자2012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古筠(고균) 金玉均(김옥균) 先生(선생) 관련 자료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고균 김옥균 관련 원고이다.. 김옥균의 출생년월일, 생가, 묘소에 관한 자료와 생가지, 생가지 관리상황, 김옥균 선생의 일대기, 갑신정변의 역사적 의의로 구성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39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대통교에 관한 원고이다. 대통교의 역사에 대해 다루고있다.
등록번호50001139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산지에 관한 원고이다. 공산지의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 다루고있다.
등록번호50001139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역사기행-제민천교영세비(濟民川橋永世碑), 제민천교명비(濟民川橋銘碑)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제민천교영세비와 제민천교명비의 특징과 연혁에 관한 원고이다.
등록번호50001139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산성에 관한 원고로, 공산성의 역사와 특징에 관해 정리하였다.
등록번호50001139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충청감영에서 공주목에 견역청을 설치해 운영했다는 원고이다. 견역청의 운영실태에 대해서도 다루고있다.
등록번호50001139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지방의 지방세 징수에 관해 발견된 문헌인 견역청절목과 민역청절목에 대해 다룬 원고이다. 민역청의 역사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39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역사기행-고마나루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고마나루(곰나루)에 관한 원고이다. 고마나루의 역사와 전설에 관해 다루며, 곰토템사상과 곰사당의 뜻에 대해 밝히고있다.
등록번호500011390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역사기행-공주 출신 서예가 :석연 이경재, 송재 조동욱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주출신 서예가 석연(石淵) 이경배(李慶培), 송재(松齎) 조동욱(趙東旭)의 연혁에 관한 원고이다.
등록번호500011389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역사기행-향토 출신 근대서화가 (2) :김기창, 김재석, 구종서, 이팔찬 등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향토출신 서화가에 관한 원고이다. 운보(雲甫) 김기창(金基昶), 봉계(鳳溪) 김재석(金在奭), 구종서(具宗書), 이팔찬(李八燦), 기타(석일화, 창석, 승헌 신찬우, 운제 이공원)의 연혁에 대해 다루고 있다.
등록번호500011388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역사기행-향토 출신 근대서화가 (1): 청전 이상범, 우석 김기창, 화당 김재배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 우석(愚石) 김기창(金基昌), 화당(和堂) 김재배(金栽培)에 관한 원고이다. 각각의 연혁을 담고 있으며, 제목 옆에는 '향토출신근대서화가'라는 윤교수님의 자필메모가 쓰여져있다.
등록번호500011387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박문수 집터에 관한 원고이다. 공주군지(1957년 간) 공신조에 '공주읍 교동에서 거주하였다'라는 기록과 현 교동(校洞) 지번52와, 지번62-1의 2필지로 박문수 집터를 추정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386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공산성내 유적>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공산성 내 유적들에 관한 원고이다. 왕궁지, 임류각지(臨流閣址), 광복루, 공북루, 쌍수정, 사적비, 진남루, 영은사에 관한 자료가 실려있다.
등록번호500011385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동계(洞契)에 관한 원고이다. 조선조의 특징과 동계의 사회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11384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대통사지에 설립되려 하는 한옥촌 설립을 반대하고자 반대촉구를 호소하는 호소문이다. 대통사의 위치가 확인되었지만 유적이 매몰되고 한옥건축물이 들어설 예정이라는 사실을 알리며 대통사지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중요성으로 1.삼국시대 사찰 중 이름,연대,장소를 알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사찰이다. 2.국가사찰로서 당시의 백제불교를 이해하는 핵심자료이다.…
등록번호500011383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웅진시민신문 윤여헌 칼럼 :공주의 문화유산 <12> '무릉동'을 빛낸 사람들
범위와내용1997.6.13.발간된 웅진시민신문에 실린 윤여헌 교수의 투고문을 인쇄한 것이다. 무릉동출신으로 고장을 빛낸 박동진명창, 퇴석 김인겸, 송재 조동욱에 대해 다루고 있다. 마지막장에 친필메모가 수록되어있다.
등록번호500011382
생산일자1997.6.13.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제목 웅진시민신문 윤여헌 칼럼 :공주의 문화유산 <13> 이인찰방역(利仁察訪驛)
범위와내용연도미상의 웅진시민신문에 실린 윤여헌 교수의 투고문을 인쇄한 것이다. 이인찰방역(利仁察訪驛)의 역사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등록번호50001138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