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분류
-
-
- 개인 16523
-
![]() |
제목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학생들의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 (12) 범위와내용공주에서 처음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에 참여하였던 공주사대부고팀의 행렬 모습이다. 공주세무서에서 공주사대부고로 가는 반죽동 공주세무서 앞 길이다. 현재 봉황로로 이름 붙여진 곳이다. 당시 가장행렬의 행렬길은 공주고-중동사거리-제세당 한약방-공주세무서-공주사대부고로 이어졌다고 한다. 또한 도로포장을 위하여 자갈 등을 깔아놓은 길이 일부 있어서… 등록번호200053133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
![]() |
제목 정화회 도장 2 범위와내용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子師範學校同窓會貞和會' 라고 새겨져 있다. 등록번호600000927 생산일자미상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
![]() |
제목 새 천년을 향한 공주정신(公州精神)과 문화창달(文化創達) 범위와내용I. 공주의 역사와 문화 ① 선사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원재) 백제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원재) ② 신라통일시대의 공주와 역사와 문화(윤용혁) 고려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윤용혁) ③조선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기준) 일제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기준) II. 공주의 정신 ① 충효정신(민동근) ② 양반정신(민동근) ③… 등록번호100019538 생산일자2000.04.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총론(혼합)
|
![]() |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8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
![]() |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바라본 1910년대 전반기 충남도청 부근 시가지이다. 공주 봉황산 아래 조선시대에 조성된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이어주는 도로로 변화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를수록 대로 주변에는 상가와 여관 등 일제식 가옥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1910년경 민가는 여전히 남루한 초가지붕을 유지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5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0814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의 모습이 담긴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 주변으로 여러 기의 초가집이 밀집하여 마을의 군집을 이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성문 밖 강변에도 2채 정도의 초가집이 위치했다. 본 자료에서는 1915년 가설되는 금강 목교가 보이지 않는 점에 비춰보았을 때, 늦어도 1910~15년 사이로 보여진다. 등록번호50000824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 |
범위와내용1912년 앵산공원 부지에 있는 미국인 선교사가옥과 그들이 건립한 현재의 영명학교 부지의 모습이다. 충남도청 앞 관아대로만 지붕이 다른 일제식 건물이 들어서 있을 뿐, 공주시가지는 그 구획이 아직 정비되지 않은 모습이다. 또한 제민천 하류도 본래의 자연적인 저습지 형상을 보인다. 이 엽서 속 공주모습은 1912년 미북감리회 Fleming H.Reve가 지은… 등록번호500007859 생산일자1913.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 |
제목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범위와내용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州)'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41 생산일자1925.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 |
범위와내용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등록번호50000874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제목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츠대회(公州会 全國大会 唐津大会) 식순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쓰대회 식순이 기록되어 있다. 당시 공주회 가라츠대회는 2009년 10월 18일 가라츠로얄호텔에서 열렸으며, 공주향토문화연구회 회장이었던 윤여헌 교수를 비롯해 조병진, 김남식이 참석하였다. 이 메모는 윤여헌이 이 행사에 참여하면서 행사에서 있었던 일련의 행사내용을 메모한 것이다. 메모에 따르면 당일… 등록번호500011678 생산일자2009.10.18.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州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이 담겨 있다. 제1장에 간담회 진행 순서로 1부 및 2부로 나뉘어 있다. 제2장에는 간담회 진행 방향에 대한 의견서가 일본어로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65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1913년 공주~대전 간 도로 개수 공사를 기념하여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앞면에 ‘忠淸南道公州大田間改修道路蒼壁全景’ 문구와 반포면 마암리에 위치한 창벽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2041 생산일자1913(추정)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기타
|
![]() |
범위와내용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등록번호50000874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
제목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98 생산일자1911.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마곡사
|
![]() |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州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 초안이다. 유사한 내용이 기재된 것으로 보아 문서번호 500011651 메모를 작성하기 위해 먼저 작성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앞쪽에 '스케줄'이라고만 적혀있고 뒷면에는 간담회 순서라고 서두 제목만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165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 |
범위와내용중동성당의 마리아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등록번호200053194 생산일자1979.01.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 |
범위와내용중동성당에서 촬영한 기증자의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등록번호200053193 생산일자1978.01.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 |
범위와내용중동성당 마리아상 앞에서 기증자와 친구들의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등록번호200053192 생산일자1978.01.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 |
범위와내용중동성당 건물의 전경 모습이다. 본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쓰였던 교육관 건물의 모습이 보인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등록번호200053195 생산일자1981.12.23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
![]() |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학생들의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 (12) 공주에서 처음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에 참여하였던 공주사대부고팀의 행렬 모습이다. 공주세무서에서 공주사대부고로 가는 반죽동 공주세무서 앞 길이다. 현재 봉황로로 이름 붙여진 곳이다. 당시 가장행렬의 행렬길은… |
![]() |
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子師範學校同窓會貞和會' 라고 새겨져 있다. |
![]() |
새 천년을 향한 공주정신(公州精神)과 문화창달(文化創達) I. 공주의 역사와 문화 ① 선사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원재) 백제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원재) ② 신라통일시대의 공주와 역사와 문화(윤용혁) 고려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윤용혁) ③조선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
![]() |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
![]() |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바라본 1910년대 전반기 충남도청 부근 시가지이다. 공주 봉황산 아래 조선시대에 조성된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이어주는 도로로 변화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를수록… |
![]() |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
![]() |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의 모습이 담긴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 주변으로 여러 기의 초가집이 밀집하여 마을의 군집을 이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성문 밖 강변에도 2채 정도의 초가집이 위치했다. 본 자료에서는… |
![]() |
1912년 앵산공원 부지에 있는 미국인 선교사가옥과 그들이 건립한 현재의 영명학교 부지의 모습이다. 충남도청 앞 관아대로만 지붕이 다른 일제식 건물이 들어서 있을 뿐, 공주시가지는 그 구획이 아직 정비되지 않은 모습이다. 또한 제민천… |
![]() |
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州)'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
![]() |
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
![]() |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츠대회(公州会 全國大会 唐津大会) 식순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쓰대회 식순이 기록되어 있다. 당시 공주회 가라츠대회는 2009년 10월 18일 가라츠로얄호텔에서 열렸으며, 공주향토문화연구회 회장이었던 윤여헌 교수를 비롯해 조병진, 김남식이… |
![]()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州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이 담겨 있다. 제1장에 간담회 진행 순서로 1부 및 2부로 나뉘어 있다. 제2장에는 간담회 진행 방향에 대한 의견서가 일본어로… |
![]() |
1913년 공주~대전 간 도로 개수 공사를 기념하여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앞면에 ‘忠淸南道公州大田間改修道路蒼壁全景’ 문구와 반포면 마암리에 위치한 창벽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다. |
![]() |
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
![]() |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
![]() |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州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 초안이다. 유사한 내용이 기재된 것으로 보아 문서번호 500011651 메모를 작성하기 위해 먼저 작성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
![]() |
중동성당의 마리아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
![]() |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기증자의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
![]() |
중동성당 마리아상 앞에서 기증자와 친구들의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
![]() |
중동성당 건물의 전경 모습이다. 본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쓰였던 교육관 건물의 모습이 보인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
200053133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학생들의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 (12) |
|
600000927 정화회 도장 2 |
|
100019538 새 천년을 향한 공주정신(公州精神)과 문화창달(文化創達) |
|
500008185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
|
500007858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1 |
|
500008147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
500008244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풍경 엽서 |
|
500007859 일제강점기 공주부 시가지 전경 2 |
|
500010541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
|
500008742 이종욱 시권(李宗郁試卷) '但見溯水' |
|
500011678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츠대회(公州会 全國大会 唐津大会) 식순 |
|
500011651 공주회 회원과의 간담회 관련 메모 |
|
500012041 1913년(추정) 창벽 사진엽서 |
|
500008741 이종욱 시권(李宗郁試卷) '書義 德無常師' |
|
500010598; 500010598; 500010598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
|
500011652 공주회 회원과의 간담회 관련 메모 초안 |
|
200053194 1979년 중동성당의 마리아상 |
|
200053193 1978년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사진(2) |
|
200053192 1978년 중동성당에서 촬영한 사진(1) |
|
200053195 1981년 중동성당 전경 |
제목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학생들의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 (12)
범위와내용공주에서 처음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가장행렬에 참여하였던 공주사대부고팀의 행렬 모습이다. 공주세무서에서 공주사대부고로 가는 반죽동 공주세무서 앞 길이다. 현재 봉황로로 이름 붙여진 곳이다. 당시 가장행렬의 행렬길은 공주고-중동사거리-제세당 한약방-공주세무서-공주사대부고로 이어졌다고 한다. 또한 도로포장을 위하여 자갈 등을 깔아놓은 길이 일부 있어서…
등록번호200053133
생산일자1966.10.07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지역개발,관광>관광>백제문화제
제목 정화회 도장 2
범위와내용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子師範學校同窓會貞和會' 라고 새겨져 있다.
등록번호600000927
생산일자미상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제목 새 천년을 향한 공주정신(公州精神)과 문화창달(文化創達)
범위와내용I. 공주의 역사와 문화 ① 선사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원재) 백제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원재) ② 신라통일시대의 공주와 역사와 문화(윤용혁) 고려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윤용혁) ③조선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기준) 일제시대의 공주의 역사와 문화(유기준) II. 공주의 정신 ① 충효정신(민동근) ② 양반정신(민동근) ③…
등록번호100019538
생산일자2000.04.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총론(혼합)
범위와내용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818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금강
범위와내용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바라본 1910년대 전반기 충남도청 부근 시가지이다. 공주 봉황산 아래 조선시대에 조성된 충청감영과 공주목을 잇는 관아대로는 충남도청과 공주군청을 이어주는 도로로 변화했다. 그리고 시간이 점차 흐를수록 대로 주변에는 상가와 여관 등 일제식 가옥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1910년경 민가는 여전히 남루한 초가지붕을 유지하고 있다.
등록번호50000785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등록번호50000814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의 모습이 담긴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 주변으로 여러 기의 초가집이 밀집하여 마을의 군집을 이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성문 밖 강변에도 2채 정도의 초가집이 위치했다. 본 자료에서는 1915년 가설되는 금강 목교가 보이지 않는 점에 비춰보았을 때, 늦어도 1910~15년 사이로 보여진다.
등록번호50000824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범위와내용1912년 앵산공원 부지에 있는 미국인 선교사가옥과 그들이 건립한 현재의 영명학교 부지의 모습이다. 충남도청 앞 관아대로만 지붕이 다른 일제식 건물이 들어서 있을 뿐, 공주시가지는 그 구획이 아직 정비되지 않은 모습이다. 또한 제민천 하류도 본래의 자연적인 저습지 형상을 보인다. 이 엽서 속 공주모습은 1912년 미북감리회 Fleming H.Reve가 지은…
등록번호500007859
생산일자1913.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제목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범위와내용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州)'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41
생산일자1925.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범위와내용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등록번호50000874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제목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츠대회(公州会 全國大会 唐津大会) 식순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쓰대회 식순이 기록되어 있다. 당시 공주회 가라츠대회는 2009년 10월 18일 가라츠로얄호텔에서 열렸으며, 공주향토문화연구회 회장이었던 윤여헌 교수를 비롯해 조병진, 김남식이 참석하였다. 이 메모는 윤여헌이 이 행사에 참여하면서 행사에서 있었던 일련의 행사내용을 메모한 것이다. 메모에 따르면 당일…
등록번호500011678
생산일자2009.10.18.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州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이 담겨 있다. 제1장에 간담회 진행 순서로 1부 및 2부로 나뉘어 있다. 제2장에는 간담회 진행 방향에 대한 의견서가 일본어로 기록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165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1913년 공주~대전 간 도로 개수 공사를 기념하여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앞면에 ‘忠淸南道公州大田間改修道路蒼壁全景’ 문구와 반포면 마암리에 위치한 창벽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2041
생산일자1913(추정)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강,하천>기타
범위와내용公州에 사는 이종욱이 22세 때 작성한 시권과 名紙
등록번호500008741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제목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98
생산일자1911.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마곡사
범위와내용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일본에서 조직된 공주회(公州會) 회원과 공주에서 있었던 간담회 일정 초안이다. 유사한 내용이 기재된 것으로 보아 문서번호 500011651 메모를 작성하기 위해 먼저 작성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앞쪽에 '스케줄'이라고만 적혀있고 뒷면에는 간담회 순서라고 서두 제목만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1652
생산일자미상
형태문서류>메모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범위와내용중동성당의 마리아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등록번호200053194
생산일자1979.01.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범위와내용중동성당에서 촬영한 기증자의 사진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1937년에 사제관,…
등록번호200053193
생산일자1978.01.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범위와내용중동성당 마리아상 앞에서 기증자와 친구들의 모습이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1936년에 새로 준공하여…
등록번호200053192
생산일자1978.01.19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
범위와내용중동성당 건물의 전경 모습이다. 본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쓰였던 교육관 건물의 모습이 보인다. 중동성당의 본래 이름은 공주성당(公州聖堂)이다. 공주본당은 1897년에 현재의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공주 지역 최초의 천주교 성당으로 설립되었다. 기와집과 초가집을 개조하여 12칸의 성당건물과 사제관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1934년에 최종철 신부가 신축공사에 착공하고…
등록번호200053195
생산일자1981.12.23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중동성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