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16523건
  • 출처분류  개인
1972년 공주경찰서장이 계룡면 중장리 주민에게 발행한 표창장

제목| 1972년 공주경찰서장이 계룡면 중장리 주민에게 발행한 표창장

범위와내용|1972년 공주경찰서장의 명의로 공주군 계룡면 중장리 주민에게 발행된 표창장이다. 애국심이 강하고 반공정신이 투철하며 평소 지역사회 발전에 헌신 및 노력하며, 대공업무 수행에 적극 참여하여 승공태세 확립에 헌신함은 물론 이(里)와 동(洞)의 대공요원으로서 주민의 반공 지도 및 계몽활동에 기여한 공로가 커 표창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707

생산일자|1972.10.06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읍면자료>면>계룡

  • 개인
  • 1972년 공주경찰서장의 명의로 공주군 계룡면 중장리 주민에게 발행된 표창장이다. 애국심이 강하고 반공정신이 투철하며 평소 지역사회 발전에 헌신 및 노력하며, 대공업무 수행에 적극 참여하여 승공태세 확립에 헌신함은 물론 이()와 동(洞)의 대공요원으로서 주민의 반공 지도 및 계몽활동에 기여한 공로가 커 표창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조선후기 동계조직과 촌락사회의 변화 -공주 부전대동계를 중심으로-(朝鮮後期 洞契組織과 村落社會의 變化 -公州 浮田大洞契를 中心으로-)

제목| 조선후기 동계조직과 촌락사회의 변화 -공주 부전대동계를 중심으로-(朝鮮後期 洞契組織과 村落社會의 變化 -公州 浮田大洞契를 中心으로-)

범위와내용|I. 머리말 II. 부전대동계의 성립배경 III. 부전대동계의 사족기반과 운영실태 IV. 부전대동계를 통해 본 촌락사회의 변화상 V. 맺음말

등록번호|100019513

생산일자|미상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조선후기 동계조직과 촌락사회의 변화 -공주 부전대동계를 중심으로-(朝鮮後期 洞契組織과 村落社會의 變化 -公 浮田大洞契를 中心으로-)
  • 개인
일제강점기 공주 본정거리의 모습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본정거리의 모습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7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개인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일제강점기 공주 욱정거리의 모습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욱정거리의 모습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관이대로에는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했다.

등록번호|50000817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개인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전경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전경 엽서

범위와내용|공산성에서 금강을 향해 북향으로 지어진 영은사는 1457년(세조 3) 묘은사(妙隱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된 후, 임진왜란 때 승군의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등록번호|50000816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개인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범위와내용|1911년 경술국치 1주년을 기념하여 발행된 시정기념 엽서 중 하나로 포정사 문루에 일장기가 나란히 걸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등록번호|500007866

생산일자|1911.08.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기타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개인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1910년대 말, 앵산공원에서 공주시가지의 봉황산 방향을 바라본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의 중앙에 충남도청 포정사의 모습과 함께 당시의 욱정거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13과 파노라마 형식의 사진그림엽서로 추정되고, 50000814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75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개인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인물이 악수를 하고 있고, 영명실수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공주시가에 일렬로 늘어서 있다. 도장, 유니온 맥주(ユ二オンビール) ,…

등록번호|200059109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 개인
  •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인물이 악수를 하고 있고, 영명실수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공주시가에 일렬로 늘어서 있다. 도장, 유니온 맥주(ユオンビール) , 사쿠라 맥주(サクラビール) 등 몇몇 상점 간판을 확인할 수 있다.
정화회 도장 1

제목| 정화회 도장 1

범위와내용|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師貞和會長印'이 새겨져 있다.

등록번호|600000926

생산일자|미상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 개인
  • 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女師貞和會長印'이 새겨져 있다.
1989년 공주농협주부대학 현판식 모습

제목| 1989년 공주농협주부대학 현판식 모습

범위와내용|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농협건물에 '公州農協主婦大學'현판을 학장과 전무가 대표로 게재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48686

생산일자|1989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평생교육

  • 개인
  • 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농협건물에 '公農協主婦大學'현판을 학장과 전무가 대표로 게재하고 있다.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5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5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71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다.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4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4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70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다.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3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3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9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는데, 학창시절의 시간표를 기재하여 놓았다.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2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2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8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다.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1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1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7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다.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I)

제목|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I)

범위와내용|I. 서언 II. 지방행정에 있어서 서리의 지위 III. 절목제정의 동기 IV. 서리의 수직 V. 임면에 관한 규정(이상전호) VI. 색마련(이하본호) VII. 대소삼등과분배 및 전차과 VIII. 전수전정식 IX. 추마련 X. 결언

등록번호|100019730

생산일자|1978.11.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I(「公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I)
  • 개인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

제목|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

범위와내용|I. 서언 II. 지방행정에 있어서 서리의 지위 III. 절목제정의 동기 IV. 서리의 수직 V. 임면에 관한 규정(이상전호) VI. 색마련(이하본호) VII. 대소삼등과분배 및 전차과 VIII. 전수전정식 IX. 추마련 X. 결언

등록번호|100019729

생산일자|1977.12.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公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
  • 개인
정화회 도장 3

제목| 정화회 도장 3

범위와내용|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子師範學校同窓會' 라고 새겨져 있다.

등록번호|600000928

생산일자|미상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 개인
  • 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女子師範學校同窓會' 라고 새겨져 있다.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6개 정(町) 중의 하나로 지금의 교동과 웅진동 부근이다.

등록번호|50000817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개인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재판소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재판소 엽서

범위와내용|1895년 공주재판소로 출범한 공주지방재판소는 1910년 5월 충남도청 북측의 봉황산 자락에 자료와 같은 모습으로 남향하여 새롭게 신축했다. 서양식 건축구조로 매우 이질적이었던 법원은 1970년대 현대식 건물로 신축되기 전까지 공주의 명소로서 공주지역 학교 졸업앨범에 자주 등장하는 포토존이 되었다. 공주법원은 해당 위치에서 역사를 이어오다가 2012년…

등록번호|50000814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개인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16523건
  • 출처분류  개인
1972년 공주경찰서장이 계룡면 중장리 주민에게 발행한 표창장

1972년 공주경찰서장이 계룡면 중장리 주민에게 발행한 표창장

1972년 공주경찰서장의 명의로 공주군 계룡면 중장리 주민에게 발행된 표창장이다. 애국심이 강하고 반공정신이 투철하며 평소 지역사회 발전에 헌신 및 노력하며, 대공업무 수행에 적극 참여하여 승공태세 확립에 헌신함은 물론 이(里)와…
조선후기 동계조직과 촌락사회의 변화 -공주 부전대동계를 중심으로-(朝鮮後期 洞契組織과 村落社會의 變化 -公州 浮田大洞契를 中心으로-)

조선후기 동계조직과 촌락사회의 변화 -공주 부전대동계를 중심으로-(朝鮮後期 洞契組織과 村落社會의 變化 -公州 浮田大洞契를 中心으로-)

I. 머리말 II. 부전대동계의 성립배경 III. 부전대동계의 사족기반과 운영실태 IV. 부전대동계를 통해 본 촌락사회의 변화상 V. 맺음말
일제강점기 공주 본정거리의 모습

일제강점기 공주 본정거리의 모습

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일제강점기 공주 욱정거리의 모습

일제강점기 공주 욱정거리의 모습

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관이대로에는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했다.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전경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전경 엽서

공산성에서 금강을 향해 북향으로 지어진 영은사는 1457년(세조 3) 묘은사(妙隱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된 후, 임진왜란 때 승군의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1911년 경술국치 1주년을 기념하여 발행된 시정기념 엽서 중 하나로 포정사 문루에 일장기가 나란히 걸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1910년대 말, 앵산공원에서 공주시가지의 봉황산 방향을 바라본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의 중앙에 충남도청 포정사의 모습과 함께 당시의 욱정거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13과…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정화회 도장 1

정화회 도장 1

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師貞和會長印'이 새겨져 있다.
1989년 공주농협주부대학 현판식 모습

1989년 공주농협주부대학 현판식 모습

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농협건물에 '公州農協主婦大學'현판을 학장과 전무가 대표로 게재하고 있다.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5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5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4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4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3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3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2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2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1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1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I)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I)

I. 서언 II. 지방행정에 있어서 서리의 지위 III. 절목제정의 동기 IV. 서리의 수직 V. 임면에 관한 규정(이상전호) VI. 색마련(이하본호) VII. 대소삼등과분배 및 전차과 VIII. 전수전정식 IX. 추마련 X. 결언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

I. 서언 II. 지방행정에 있어서 서리의 지위 III. 절목제정의 동기 IV. 서리의 수직 V. 임면에 관한 규정(이상전호) VI. 색마련(이하본호) VII. 대소삼등과분배 및 전차과 VIII. 전수전정식 IX. 추마련 X. 결언
정화회 도장 3

정화회 도장 3

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子師範學校同窓會' 라고 새겨져 있다.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재판소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재판소 엽서

1895년 공주재판소로 출범한 공주지방재판소는 1910년 5월 충남도청 북측의 봉황산 자락에 자료와 같은 모습으로 남향하여 새롭게 신축했다. 서양식 건축구조로 매우 이질적이었던 법원은 1970년대 현대식 건물로 신축되기 전까지 공주의…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16523건
  • 출처분류  개인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16523건
  • 출처분류  개인

500010707; 500010707; 500010707    1972년 공주경찰서장이 계룡면 중장리 주민에게 발행한 표창장

100019513    조선후기 동계조직과 촌락사회의 변화 -공주 부전대동계를 중심으로-(朝鮮後期 洞契組織과 村落社會의 變化 -公州 浮田大洞契를 中心으로-)

500008177    일제강점기 공주 본정거리의 모습

500008175    일제강점기 공주 욱정거리의 모습

500008162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전경 엽서

500007866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500008755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200059109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600000926    정화회 도장 1

200048686    1989년 공주농협주부대학 현판식 모습

500010571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5

500010570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4

500010569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3

500010568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2

500010567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1

100019730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I)

100019729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

600000928    정화회 도장 3

500008176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500008141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재판소 엽서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广州二代试管哪里做比较好-(微信38332747)-上海私立的试管实验室哪家好-沈阳一代试管哪个医院成功率最高-新加坡市做试管婴儿哪家好-(微信38332747)-澳门做三代试管哪家好kL 검색결과 : 16523건
  • 출처분류  개인

제목| 1972년 공주경찰서장이 계룡면 중장리 주민에게 발행한 표창장

범위와내용|1972년 공주경찰서장의 명의로 공주군 계룡면 중장리 주민에게 발행된 표창장이다. 애국심이 강하고 반공정신이 투철하며 평소 지역사회 발전에 헌신 및 노력하며, 대공업무 수행에 적극 참여하여 승공태세 확립에 헌신함은 물론 이(里)와 동(洞)의 대공요원으로서 주민의 반공 지도 및 계몽활동에 기여한 공로가 커 표창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10707

생산일자|1972.10.06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읍면자료>면>계룡

  • 개인
  • 1972년 공주경찰서장의 명의로 공주군 계룡면 중장리 주민에게 발행된 표창장이다. 애국심이 강하고 반공정신이 투철하며 평소 지역사회 발전에 헌신 및 노력하며, 대공업무 수행에 적극 참여하여 승공태세 확립에 헌신함은 물론 이()와 동(洞)의 대공요원으로서 주민의 반공 지도 및 계몽활동에 기여한 공로가 커 표창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제목| 조선후기 동계조직과 촌락사회의 변화 -공주 부전대동계를 중심으로-(朝鮮後期 洞契組織과 村落社會의 變化 -公州 浮田大洞契를 中心으로-)

범위와내용|I. 머리말 II. 부전대동계의 성립배경 III. 부전대동계의 사족기반과 운영실태 IV. 부전대동계를 통해 본 촌락사회의 변화상 V. 맺음말

등록번호|100019513

생산일자|미상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조선후기 동계조직과 촌락사회의 변화 -공주 부전대동계를 중심으로-(朝鮮後期 洞契組織과 村落社會의 變化 -公 浮田大洞契를 中心으로-)
  • 개인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본정거리의 모습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본정(本町), 즉 지금의 중동 무령로의 옛 모습이다. 공산성에서부터 남북으로 길게 뻗은 대로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나있던 것을 토대로 더욱 확장하여 길 양편으로 여러 상점이 들어섰다. 멀리 공산성 쌍수정이 희미하게 보인다.

등록번호|500008177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개인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욱정거리의 모습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충남도청으로 향하는 욱정거리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관이대로에는 사진관과 인쇄소, 약방, 서점, 양복점, 시계방, 제과점, 도자기점, 잡화점 등 다양한 상점이 즐비했다.

등록번호|50000817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개인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전경 엽서

범위와내용|공산성에서 금강을 향해 북향으로 지어진 영은사는 1457년(세조 3) 묘은사(妙隱寺)라는 이름으로 창건된 후, 임진왜란 때 승군의 거점이 되었던 곳이다.

등록번호|50000816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개인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제목|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범위와내용|1911년 경술국치 1주년을 기념하여 발행된 시정기념 엽서 중 하나로 포정사 문루에 일장기가 나란히 걸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등록번호|500007866

생산일자|1911.08.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기타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개인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1910년대 말, 앵산공원에서 공주시가지의 봉황산 방향을 바라본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의 중앙에 충남도청 포정사의 모습과 함께 당시의 욱정거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13과 파노라마 형식의 사진그림엽서로 추정되고, 500008147의 복본이다.

등록번호|500008755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개인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제목| 1941년 남자 제7회·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공주시가에서 외부인사 환영식

범위와내용|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인물이 악수를 하고 있고, 영명실수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공주시가에 일렬로 늘어서 있다. 도장, 유니온 맥주(ユ二オンビール) ,…

등록번호|200059109

생산일자|194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 개인
  • 1941년 남자 제7회 여자 제5회 영명실수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공주영명실수학교 학생들이 공주시가에서 외부 손님을 위한 환영회 혹은 환송회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중앙 학교측의 대표자와 손님으로 보이는 인물이 악수를 하고 있고, 영명실수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이 공주시가에 일렬로 늘어서 있다. 도장, 유니온 맥주(ユオンビール) , 사쿠라 맥주(サクラビール) 등 몇몇 상점 간판을 확인할 수 있다.

제목| 정화회 도장 1

범위와내용|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師貞和會長印'이 새겨져 있다.

등록번호|600000926

생산일자|미상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 개인
  • 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女師貞和會長印'이 새겨져 있다.

제목| 1989년 공주농협주부대학 현판식 모습

범위와내용|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농협건물에 '公州農協主婦大學'현판을 학장과 전무가 대표로 게재하고 있다.

등록번호|200048686

생산일자|1989년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교육>평생교육

  • 개인
  • 1989년 제1회 공주농협주부대학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농협건물에 '公農協主婦大學'현판을 학장과 전무가 대표로 게재하고 있다.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5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71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4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70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3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9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는데, 학창시절의 시간표를 기재하여 놓았다.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2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8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제목| 1950년대 발행한 일선장병 위문 엽서 1

범위와내용|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등록번호|500010567

생산일자|000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개인
  •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앞면에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표어 혹은 삽화가 기재되어 있고, 뒷면은 일반 엽서처럼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제목|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I)

범위와내용|I. 서언 II. 지방행정에 있어서 서리의 지위 III. 절목제정의 동기 IV. 서리의 수직 V. 임면에 관한 규정(이상전호) VI. 색마련(이하본호) VII. 대소삼등과분배 및 전차과 VIII. 전수전정식 IX. 추마련 X. 결언

등록번호|100019730

생산일자|1978.11.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I(「公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I)
  • 개인

제목|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公州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

범위와내용|I. 서언 II. 지방행정에 있어서 서리의 지위 III. 절목제정의 동기 IV. 서리의 수직 V. 임면에 관한 규정(이상전호) VI. 색마련(이하본호) VII. 대소삼등과분배 및 전차과 VIII. 전수전정식 IX. 추마련 X. 결언

등록번호|100019729

생산일자|1977.12.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공주목 이액견차 임과분등 전수마련절목」해주 I(「公牧 吏額肩次 任窠分等 傳授磨鍊節目」解註 I)
  • 개인

제목| 정화회 도장 3

범위와내용|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子師範學校同窓會' 라고 새겨져 있다.

등록번호|600000928

생산일자|미상

형태|박물류>박물 기타

주제|교육>대학교육>국립>공주교육대학교

  • 개인
  • 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女子師範學校同窓會' 라고 새겨져 있다.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 금정거리의 모습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6개 정(町) 중의 하나로 지금의 교동과 웅진동 부근이다.

등록번호|500008176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지리,환경>위치(영역)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개인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재판소 엽서

범위와내용|1895년 공주재판소로 출범한 공주지방재판소는 1910년 5월 충남도청 북측의 봉황산 자락에 자료와 같은 모습으로 남향하여 새롭게 신축했다. 서양식 건축구조로 매우 이질적이었던 법원은 1970년대 현대식 건물로 신축되기 전까지 공주의 명소로서 공주지역 학교 졸업앨범에 자주 등장하는 포토존이 되었다. 공주법원은 해당 위치에서 역사를 이어오다가 2012년…

등록번호|500008141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
  • 개인
  • 조선공주부백창산양당(朝鮮公府白倉山陽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