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 2009년도 9월 무령왕네트워크 총회 회의자료

    2009.9.15. 무령왕네트워크 총회 회의자료로 1.제8회 무령왕축제 참가 2.운영위원회 모임 3.오사카 왓소축제 및 자매도시(모리야마) 방문 4.가라츠 음식축제 5.공주회 총회 6.백제문화제 가라츠 방문단 7.임원 개선 8.시청지원금 지출 내역(상반기)로 구성되어…

  • 무령왕 교류 진서정 실행위원 공주시 방문 : 무령왕 생탄 기념비 건립 협의사항(안)

    2005년 2월 28일에 진행한 무령왕 교류 진서정 실행위원 공주시 방문 관련 문서이다. 일시, 장소, 참석인원, 주요 협의 사항, 무령왕기념비 문안이 적혀있다.

  • 역사콘텐츠를 활용한 한·일 시민 교류

    웅진문화 제32집 문화 논단 부문에 수록된 공주대학교 명예교수인 윤용혁 님의 글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1.백제를 키워드로 하는 공주시의 국제교류 2.가라츠(唐津)-공주 '무령왕 교류'는 역사 콘텐츠의 힘 3.야마구치(山口)의 백제 임성태자 전승은 사실인가 4.…

  • 2011년 한일교류사진전을 관람한 야마구치 쓰르요씨

    규슈 나고야성 박물관에서 개최한 '무령왕릉 발굴 40주년 기념 강연' 부대행사로 진행된 '한일교류사진전'을 관람한 후 백제문화제 홍보대사인 이가와 유카씨와 야마구치 쓰르요씨가 함께 촬영하였다.

  • 2010년 공주회 회원들의 공주 나들이 3

    공주회원들이 공주를 방문하여, 공주향토문화연구회와 간담회를 가졌다. '공주회'는 일제강점기 공주에서 학교를 다녔거나 살았던 사람들로 공주를 잊지 못해 결성한 단체이다. 현재는 연로하여 회원 수가 점차 감소하여 2016년 4월 19일에 해산했다.

  • 2010년 공주회 회원들의 공주 나들이 2

    공주회원들이 공주를 방문하여, 공주향토문화연구회와 간담회를 가졌다. '공주회'는 일제강점기 공주에서 학교를 다녔거나 살았던 사람들로 공주를 잊지 못해 결성한 단체이다. 현재는 연로하여 회원 수가 점차 감소하여 2016년 4월 19일에 해산했다.

  • 2010년 공주회 회원들의 공주 나들이 1

    공주회원들이 공주를 방문하여, 공주향토문화연구회와 간담회를 가졌다. '공주회'는 일제강점기 공주에서 학교를 다녔거나 살았던 사람들로 공주를 잊지 못해 결성한 단체이다. 현재는 연로하여 회원 수가 점차 감소하여 2016년 4월 19일에 해산했다.

  • 2008년 아메미야 히로스케 유물 3

    아메미야 히로스케씨의 아들인 아메미야 나오유키 교수가 공주를 방문, 윤여헌 회장을 비롯한 관계자들과 오찬을 마치고 기념촬영하였다. 아버지 아메미야씨는 유물 기증 후 병환으로 작고했다. 아들 나오유키 교수는 윤여헌 회장과 함께 찍은 부친의 사진을 받고 무척 기뻐했다.…

  • 2008년 아메미야 히로스케 유물 2

    아메미야 히로스케씨가 소장유물을 기증할 뜻을 밝히면서 공주향토문화 연구회 윤여헌 회장에게 유물을 설명하고 있다.

  • 2008년 아메미야 히로스케 유물 1 기증식

    공주에서 태어나 유년시절을 보낸 일본인들이 공주를 그리워하며 만든 모임인 공주회 중, 아메미야 히로스케 씨가 소장 유물을 충청남도에 기증, 이완구 도지사와 기증협약서에 서명 후 악수하는 장면이다.

  • 2012년 국제심포지움 3 심포지움 이후

    오사카부 가시와라 시민문화회관에서 곤지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와 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가 공동개최한 '백제왕족곤지도래1550주년기념국제심포지움'을 마치고 촬영한 사진이다. 좌측으로부터 정영일 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장, 이창선 공주시의회부의장, 주류성출판사 최병식 대표,…

  • 2012년 국제심포지움 2 발표모습

    오사카부 가시와라 시민문화회관에서 곤지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와 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가 공동개최한 '백제왕족곤지도래1550주년기념국제심포지움'에서 공주대학교 서정석 교수가 곤지왕시대 전후의 백제횡혈식석실분'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