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 고대 동아시아에 있어 무령왕 관계사료

    고대 동아시아에 있어 무령왕'을 주제로 한 관계사료 모음이다. 1. 삼국사기 25권 백제본기2 무령왕 / 2. 양서 54권 제이전 신라조 / 3. 무령왕묘지석 / 4. 삼국사기 4권 신라본기4 지증마립간 / 5. 삼국사기 신라본기4 지증마립간 4년(503년) 10월조…

  • 박재용의 「6세기 고대 일본 백제계 도왜인(渡倭人)과 불교 」에 대한 정재윤의 토론문

    백제문화 국제학술회의(5~6세기 동아시아속의 백제와 왜)에서 박재용의 「6세기 고대 일본 백제계 도왜인(渡倭人)과 불교 」에 대한 정재윤의 토론문이다.

  • 무령왕, 동아시아 평화 교류에서의 꿈 : 교류 20년의 기록(2002-2021)

    목차
    제1장 교류 20년, 발굴 50년, 갱위강국 1500년
    제2장 무령왕 기념비를 세우다
    제3장 가라츠와의 교류 행사
    제4장 백제문화제와 무령왕 교류
    제5장 확산되는 국제 교류
    제6장 백제 계승으로서의 조선통신사
    제7장 무령왕, 교류 20년의 기록

  • 무령왕, 동아시아 평화 교류에서의 꿈 : 교류 20년의 기록(2002-2021)

    목차
    제1장 교류 20년, 발굴 50년, 갱위강국 1500년
    제2장 무령왕 기념비를 세우다
    제3장 가라츠와의 교류 행사
    제4장 백제문화제와 무령왕 교류
    제5장 확산되는 국제 교류
    제6장 백제 계승으로서의 조선통신사
    제7장 무령왕, 교류 20년의 기록

  • 제57회 백제문화제 국제학술대회

    2011.10.4.~10.5. 공주대학교 산학연구관에서 열린 학술대회이다. 주제는 '동아시아 불교문화와 백제'로 모시는글, 행사순서, 오시는길, 연락처로 구성되어 있다.

  • 국제학술대회 백제 기악과 미마지

    2012.10.5. 주최, 장소 공주대학교 산학연구관이다. 58회 백제문화제을 맞아 백제문화의 국제성과 선진성 재조명,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기초 다지기에 목적이다. 백제사 연구사와 중국, 일본 학자가 참여하여 백제의 기악문화 및 교류관계 고찰. 모시는 글,…

  • 무령왕 시대의 동아시아 세계

    날짜미상의 제60회 백제문화제 기념 특별전이다. 백제 웅진시기 무령왕 시대 중심 고대 한중일 문물교류 조망, 무령왕릉 출토품 및 유물 전시 내용을 담고있다. 특별전을 열며, 한중일 출토 잔과 받침으로로 구성되어 있다. 1부 백제, 바닷길을 열다! 2부 동아시아…

  • 백제의 관

    2010.9.18.~10.17 전시, 장소는 국립공주박물관 기획전시실이다. 2010세계대백제전을 맞이해 백제의 관과 관장식을 통한 백제 문화의 아름다움 전파를 위한 목적이다. 고대의 관, 백제의 관, 백제의 관장식, 백제 관과 고대 동아시아의 관문화 총 4파트로…

  • 백제문화를 통해 본 고대 동아시아 세계

    2002년 5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공주대학교 연구관 강당에서 진행한 '백제문화를 통해 본 고대동아시아 세계' 국제학술심포지운 안내 팜플렛이다. 초청 인사말, 날짜별 프로그램 소개가 국문, 영문으로 수록되어있다.

  • 진묘수 : 고대 동아시아 무덤의 수호신

    목차
    발간사
    고대 동아시아 진묘수의 출현과 전개
    중국 중고시기 북방지역 진묘물의 조합
    중국 남조진묘수 고찰
    고구려 고분벽화의 진묘수와 문지기
    백제 무령왕릉 출토 진묘수의 재인식과 향후 연구방향

  • 5~6세기 동아시아속의 백제와 왜

    1. 기조강연
    2.학술발표

  • 제57회 백제문화제 국제학술대회 동아시아불교문화와 백제

    기조발표 - 동아시아 불교문화의 흐름과 백제불교/3 , 제 1주제 - 백제불교술략 / 15, 제2주제 - 고대 동아시아 불교와 왕권 / 35, 제 3주제 - 6세기 동아시아 지역의 불교 확산 과정에 대한 재검토 , 제 4주제 - 백제와 일본 비조 . 나량 불교 문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