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 1993-1996년 취락재 수입지출부

    남궁화가 1993년부터 1996년 9월 27일까지 쓴 가계부이다. 1993년 체신부에서 제작한 일지를 가계부로 사용하였으며, 표지에는 '취락재 수지기록(聚樂齋 收支記錄)'이라 씌여 있다. 또한 후반부에는 매덕논 도조수입내역과 1994년부터 1996년까지 개 4마리를…

  • 1985-1992년 취락재 수입지출부

    남궁화가 1985년부터 1992년까지 쓴 가계부이다. 표지에는 '취락재 수입지출부'라고 쓰여 있는데, 취락재는 남궁화가 장년기에 들어 서울에 거주하며 붙인 당호명이다.

  • 작업인부 판공비 영수 내역 3

    기증자가 작업인부에게 지급한 판공비와 각종 물건의 가계부로 추정된다.

  • 마곡국민학교 학생들의 가계부 지도

    마곡국민학생들이 자매부락인 춤다리마을 내 가정을 방문하여 부녀자들에게 가계부를 지도하는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국민학생들의 가계부지도는 새마을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으로 보인다.

  • 이문호의 1989년 가계부

    학생용 노트에 1989년의 가계부를 기록하였다. 첫 장에 '89 가계부, 이문호'라고 적고, 이후 가계부공모전에 제출하기 위해서 '접수번호67'이라고 적었다. 본문을 보면 날짜, 적요, 수입, 지출, 잔액으로 양식을 만들어 기록하였다.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 이문호의 1991년 가계부

    농업협동조합에서 제작한 '1991년 가계부'이다. 본문의 양식은 '저축추진중앙위원회'에서 제작한 것과 같다.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일별로 수입과 지출내역을 정리하였다. 수입은 농작물수확이 주가 되고 지출은 차비와 자녀들 용돈, 비료 등이 있다. 이문호가…

  • 이문호의 1992년 가계부

    저축추진중앙위원회에서 제작한 1991년 가계부를 1992년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정해진 양식에 맞춰서 기록하였다.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 자녀들 용돈와 학비, 차비, 진료비 등의 사용내역이 있다. 이문호가 온양에 거주하고 있을 당시 기록한 것이다.

  • 이문호의 1993년 가계부

    저축추진중앙위원회에서 제작한 1991년 가계부를 1993년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일별로 수입과 지출을 나누어 93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기록하였다. 수입은 현금, 현물, 저축, 차 4가지로 구분하고, 지출은 세금, 식비, 교육비 등 21가지로 구분하여…

  • 이문호의 1994년 가계부

    농협에서 제작한 '1994년 가계부'로 저축추진중앙위원회에서 발행한 것과 양식이 같다.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수입과 지출 내역을 일별로 정리하고 일주일 단위로 항목을 구체적으로 나누어 통계를 냈다. 주 수입원은 월급이고, 지출은 자녀들 학비와 용돈, 각종…

  • 이문호의 1995년 가계부

    국민은행에서 제작한 '1993년도 가계부'를 수정하여 '1995년 2호 가계부'로 사용하였다. 본문의 농협, 저축추진중앙위원회에서 발행한 책자와 같은 양식이다.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기록으로 일별로 수입과 지출내역을 기록하고, 일주일 단위로 그 항목을…

  • 이문호의 1996년 가계부

    저축추진중앙위원회에서 제작한 '1996년 가계부'이다. 1월 1일부터 12월31일 동안의 수입, 지출내역을 기록하였다. 주수입원은 월급이고 지출은 자녀들의 학비과 용돈, 차비, 공과금 등이 있다. 이문호가 유구에 거주하고 있을 당시 기록한 것이다.

  • 이문호의 1997년 가계부 (2)

    일반노트에 기록한 것으로 표지에 '가계부'. '1997년 10월 28일~2000년 5월8일'이 적혀있다. 본문은 날짜와 수입, 지출 내역을 일별로 정리하였다. 이문호가 유구에 거주하고 있을 당시 기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