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 굿과 민간신앙 - 천존탑

    우리나라 산에는 돌로 쌓은 탑을 흔히 볼 수 있다. 돌을 쌓고 소원을 빌면 이뤄진다는 속설이 있는데, 굿당에는 탑을 높게 쌓아 시각적인 효과까지 취하려는 의미가 있다.

  • 굿과 민간신앙 - 천제신도

    무속도에 그려진 천제신의 모습이다.

  • 굿과 민간신앙 - 용왕신도

    굿당 부엌에 모셔진 용왕도와 정화수의 모습이다.

  • 굿과 민간신앙 - 장수의 상징인 실타래

    굿을 마치고 계룡산의 소나무에 실타래를 걸어 놓았다. 실타래는 길이가 길어서 '장수'를 의미한다. 굿을 한 사람의 병이 깊어서 '병굿'을 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 굿과 민간신앙 - 망자 한풀이 천

    굿에서 망자가 생전에 맺힌 한을 풀어주는 흰 천이다. 나비모양으로 곱게 접었다가 무당이 천을 흔들어 한을 풀어준다. 굿이 끝나면 속옷과 양말을 함께 태워 액을 멀리 보낸다.

  • 굿과 민간신앙 - 백호기

    오방기 중 서쪽의 백호 그림이다.

  • 굿과 민간신앙 - 설위설경 2

    굿에 사용하는 설위설경은 악귀를 물리치는 전법이다.

  • 굿과 민간신앙 - 설위설경 1

    악귀를 물리치기 위한 설위설경의 모습으로 이는 충청도 굿의 특징을 보여준다.

  • 굿과 민간신앙 - 박수무당

    계룡산 주변 굿당에서 굿의 시작에 앞서 촬영한 박수무당의 모습이다. 뒷 배경의 모습은 종이를 오려 악귀를 물리치는 설위설경의 모습이다.

  • 굿과 민간신앙 - 굿당 내부의 모습

    우리나라 무속에는 불교의 미륵신앙이 합성된 성향을 보인다. 사진 속 굿당도 머리에 갓을 쓴 미륵불을 모신 것이 특징이다.

  • 굿과 민간신앙 - 토굴의 미륵신

    계룡산 부근에는 은퇴한 스님이 인가를 매입하여 토굴로 사용하는 일이 존재한다. 스님이 입적하면 무속인이 그 곳을 매입하여 미륵불 등을 모시고 암자를 형식으로 굿당을 운영하는 경우가 있다.

  • 굿과 민간신앙 - 굿당의 산왕신

    계룡산 양화리와 하대리 등에는 수많은 굿당이 밀집해있다. 1975년과 1982년 두 차례의 정비작업으로 많은 수의 신흥종교 집단이 퇴출되었다. 그 후 1990년대 후반, 계룡산에는 서서히 상업적 성격의 굿당이 들어서 한 집 건너 굿당이 들어서 성업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