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 공주새마을운동 – 젖소사양시범농가(1)

    공주새마을운동 – 젖소사양시범농가(1)

  • 공주새마을운동 – 젖소사양시범농가(2)

    공주새마을운동 – 젖소사양시범농가(2)

  • 공주새마을운동 – 젖소사양시범농가(3)

    공주새마을운동 – 젖소사양시범농가(3)

  • 공주새마을운동 – 젖소사양시범농가(4)

    공주새마을운동 – 젖소사양시범농가(4)

  • 공주사범대학 졸업생 12

    1964년 공주사대 졸업생 중 일부가 공산성 진남루로 올라가는 길목의 젓소 농가에서 진남루 방향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 1984년 쌍신동 농가의 소쟁기 갈이

    1984년 현재의 쌍신동 밭에서 소 쟁기갈이가 한창인 모습이다. 자료제공자는 해당 사진에 '노익장'이라는 제목을 붙였다. 농부 뒷편으로 김강교의 모습 일부가 보인다.

  • 1984년 금강 둔치의 단무지 재배 및 수확 모습 1

    1984년 금강둔치가 개발되기 전, 둔치에서 재배한 단무지용 무 수확이 한창인 모습이다. 허리 아픈 것도 잊은 채 속이 잘 든 무를 뽑아 차곡차곡 망에 넣노라면 하루가 금새 저문다. 단무지 밭 뒤로 연미산과 차량이 쌍방통행하는 금강교의 모습이 보인다.

  • 1983년 유구읍 벼 건조 및 포장 작업

    1983년 현재의 유구읍 구계리 도로가에서는 수확한 벼를 건조하는 작업을 마치고 자루 포대에 포장하는 작업이 한창이다.

  • 1984년 금강 둔치의 단무지 재배 및 수확 모습 2

    1984년 금강둔치가 개발되기 전, 둔치에서 재배한 단무지용 무 수확이 한창인 모습이다. 허리 아픈 것도 잊은 채 속이 잘 든를 무 뽑아 차곡차곡 망에 넣노라면 하루가 금새 저문다. 망에 담긴 무는 트랙터로 모아 한꺼번에 이동시킨다. 자료 좌측으로는 신관동에 새롭게…

  • 1984년 오곡동 벼 수확 후의 모습

    1984년 오곡동에서는 벼 수확이 끝난 후 비닐로 피목하여 벼를 말리는 작업이 한창이다.

  • 1980년대 유구읍 농약 살포 시범 사진

    1980년대 유구읍 만천리에서는 트랙터를 이용하여 논밭에 농약을 살포하는 것을 시범으로 보였다. 일정 거리마다 논에는 각 면의 농촌지도자회에서 제작한 해충을 박멸할 것을 권하는 플랜카드가 세워져 있다.

  • 1984년 우성면 농가의 모습

    1984년 현재의 공주시 우성면 상서리 농가의 모습으로, 산골짜기 내의 마을에서는 풀을 뜯기기 위해 소를 방목하였다. 자료제공자는 해당 사진에 '평온'이라는 제목을 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