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학부(복수학과군) 전공배정(안) 회의자료
1989년 공주시 교육청에서 주최한 제5회 학교 간 경기대회에서 귀산국민학교 임재남 학생이 여국4부(높이뛰기)부에서 2위를 기록하여 이를 표창하는 내용의 상장을 받았다.
「함께해요! 희망한국 2006」충청남도 도민화합 걷기대회, 경노효도관광, 효 실천 · 사랑나누기 큰잔치, 중풍예방 매실음료 시음회, 6월 주요사업 추진계획
1911년 공주 산성정 일대의 대로에서 진행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의 모습을 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대로의 끝 부분에 위치한 공산성 쌍수정의 모습과 함께 당시 산성정에 위치한 석유창고의 모습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錦町)에 있는 일본 주류 판매점의 모습이다. 간판에는 '삿포로, 아사히'맥주를 취급한다는 팻말도 부착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금정은 1914년 군면통폐합에 따라 만들어진 욱정과 본정, 산성정, 대화정, 상반정과 함께 6개 정(町) 중의 하나로 지금의…
1912년 앵산공원 부지에 있는 미국인 선교사가옥과 그들이 건립한 현재의 영명학교 부지의 모습이다. 충남도청 앞 관아대로만 지붕이 다른 일제식 건물이 들어서 있을 뿐, 공주시가지는 그 구획이 아직 정비되지 않은 모습이다. 또한 제민천 하류도 본래의 자연적인 저습지…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조선조 공신 관련 메모이다. 위성공신, 익사공신, 정운공신, 형난공신까지 각 공신록에 책록된 대표 수공자들과 인원이 기재되어 있으며 개요가 약술되어 있다. 마지막 줄에는 이덕형에 대한 간략한 정보가 약술되어 있다.
2006년 2월 13일에 공주시에서 진행한 백제무령왕 동상 건립 자문위원회 회의 자료이다. 회의 일시, 장소, 자문 의견 내용, 추진 일정, 무령왕 동상 조감도, 기타 동상 조감도가 실려있다.
목차
1. 공주고등학교 야구부 팀 소개서
2. 지도자 및 선수 현황
3. 야구부 현황 및 진학 상황
4. 평소 훈련 계획
5. 체전 대비훈련 계획서
6. 2007년도 야구부 출전 결과
7. 2007년도 예산 및 집행현황
일본국 관서지방의 지도이다. 관서지방 중 돗토리현, 효고현, 교토부, 오사카부, 시가현, 나라현, 미에현, 기후현을 나타내고 있다.
1931년도 반포공립보통학교 제6학년 임월수 학생의 통신부이다. 통신부는 일제강점기 성적통지표를 일컫는 말로, 성적표, 근태표, 신체검사, 통신문 등이 적혀 있고, 축일과 제일, 주의사항 등이 인쇄되어 있다. 맨 마지막 페이지에는 보통학교 수료연한 6개년 중 제5학년의…
국민학교 1급 정교사 과정을 이수했음을 증명하는 교육연수 이수증이다. 우측 상단에 이수자의 사진이 부착되어 있고 본적, 성명을 비롯한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본문으로 이수자의 현재자격, 연수종별, 이수과정, 연수기간, 이수시간이 기록되어 있다. 하단에…
충남 학도호국단에서 실시한 간부학생해양훈련 과정을 수료한 영명중학교 학생이 충청남도 학도호국단장으로부터 받은 수료증이다. 정부 수립 이후 국가는 학생들을 통제하고 동원을 용이하도록 중학교 이상 학교에 학도호국단을 창설되었다.
2005년 2월 16일 유보근이 윤여헌에게 책을 복사하여 보낸 관련 자료이다. 유보근은 윤여헌이 백제신문에 마곡사편으로 낸 칼럼을 보고 마곡사 탑사기록을 복사하여 보낸다는 메시지를 함께 기재하여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마곡사 자료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고려…
새마을지도자 중앙협의회 이사회 회의자료
기증자가 1983년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에 근무하면서 작성한 교무수첩이다. 담당 수업을 들어가는 반 학급 학생의 성적과 수행평가 점수 등이 적혀있고, 교무회의 중 나온 중요 내용을 필기한 부분도 눈에 띈다. 또한 본 자료의 내용으로 보아 당시에는 사대부중과 사대부고…
1957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정(定)기분 대지세(垈地稅) 영수증으로, 일금 삼백구십삼원을 영수하였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날짜,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이인국민학교에서 발급한 상장이다. '6년간 정근하였음으로 표창한다'는 내용이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개교하였다. 1917년 4월 1일에 이인공립보통학교로 인가받았고, 1938년 4월 1일 이인공립심상소학교로 개명하였다. 1941년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