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효포국민학교 학생들이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옆 비석거리에서 찍은 단체사진이다. 효포국민학교는 1946년에 계룡초등학교 효포분교로 설립되었다가 1949년 9월에 효포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96년에 효포초등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15년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철도국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갑사와 금강 그리고 조선의 풍속을 사진으로 보여주는 부분이다. 본 자료에는 갑사와 금강을 충청도 부근의 명소로 소개하고 있다.
제23회 백제문화제 사진이다. 오픈카를 타고 공주문화원과 공주우체국 사이 길을 행진하는 백제의 장군과 군사들의 퍼레이드 모습이다. 많은 사람들이 길거리에서 퍼레이드를 관람하고 있으며, 메가폰을 들고 행진을 안내하고 있는 남성의 모습도 보인다.
동학사에 위치한 돌계단 모습이다.
1988년 계룡국민학교 운동장에서 열린 가을운동회 모습이다. 엄마와 함께 달리기 경기에 참여하기 위해 학생들이 줄을 서있다.
윤영태 선생이 공주고보 졸업을 기면하여 친구 박병옥씨와 공산성 웅심각, 즉 지금의 광복루에서 촬영한 기념사진이다.
1966년에 열린 제12회 백제문화제 성화봉송 모습이다. 1966년 10월 6일 12시 계룡산에서 채화된 성화는 김의창 충남도지사에 의해 공산성 쌍수광장에 있는 성화대에 점화되었다.
화마루공소 구술조사 사례자 최인철의 1976년 결혼식(혼배미사)기념 단체사진이다. 결혼식은 중동성당의 예배당에서 가족과 친지들이 모인 가운데 이루어졌다. 오른쪽 앞에서 두번째 열 가장 마지막에 서 있는 남성이 태극기를 들고 사진 촬영을 한 모습이 인상적이다.
2013년 찾아가는 백제문화학교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모습이다.
제46회 유구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1962년 유구국민학교 교사 뒷편의 양지쪽으로 상반신을 내밀고 있는 학생들의 모습이다.
일본 사가현 아리타 텐구다니가마터유적이다.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시대 도공들과 이삼평이 자기를 구워왔던 가마터이다. 현재 계단시 가마터로 재현해 놓은 모습이다.
1984년 6월 정안초등학교 교내 각종 환경정비작업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화단의 시설물을 설치하고, 교문 철문을 교체하는 등 각종 시설정비가 이뤄졌다.
1980년대 공주사범대학 본교사 앞에서 사진을 찍은 신임교원과 역사과 대학원생의 모습이다. 뒷 배경이 되는 건물은 현재는 공주대학교 교양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물로, 옛 충남도청 자리에서 1969년 신관동으로 이전한 공주사대가 당시 신축한 건물이다. 출입구에는…
1999년 갑사 창건 1580년만에 진행된 개산대제의 모습이다.
유구읍 백교리에 위치한 청수회관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제1회 공주학연구원 자료공모전의 시상식 진행사진이다. 수상자 12명을 대상으로 공주학연구원장님과 자료실장님의 시상이 진행되었다. 공주학연구원에서는 개인과 단체가 소장하고 있는 공주와 관련된 옛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통하여 공주시의 옛 모습과 변화과정을 되돌아보고자하는…
유구 자카드섬유 마케팅센터 내부에 있는 다양한 생산제품들이 전시 및 판매되고 있다.
2014년 60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