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계룡국민학교에서 발행한 사친회비 영수증이다. 일금 60환을 사친회비 4월분으로 청구하였다. 계룡국민학교 35회 졸업생인 진경희님에게 단기 4285년 5월 18일에 발행하였다.
제24회총회 야마구치에서 개최
공주여행기
외신왕래(선배, 동기부터) - 윤 여헌씨, 권 인선씨, 나 정희씨, 이 화영씨
동·서·남·북
헤이세이 23년도 결산보고서
공주회 회칙
역원명부
편집후기
회원명부 25년 1월 현재
1953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제1기분 가호세 영수증으로, 일금 일백일십원을 영수하였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가옥세로 일금 55원, 공부가세로 일금 55원이 각각 청구되었다.
공자탄강2485년(1934) 5월, 공부자성적도속수오륜행실중간연원유림향약본소에서 발급한 褒彰完議. 충남유사와 여러 선비들이 烈行으로 천거한 공주군 牛城面 安陽里 안동김씨 形淳의 딸은 李珏(李彦世의 7세손, 통정 柱一의 손자, 학생 時懋의 아들)의 처로 20세에 남편이…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958년 반포국민학교에서 1학년 1반 김회천 학생에게 수여한 학업우수상장으로, 학업이 우수하고 품행이 단정하여 이를 표창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대정 12년(1923년), 공주면에서 발행한 가옥세 납세고지서와 영수증이다. 공주면 본정에 거주하는 이동우(李東宇)씨에게 발행된 문서로, 오늘날 없어진 가옥세는 가옥의 소유자에게 부과하던 지방세로 매년 5월과 11월에 납부하도록 고지서를 발행했다가 1961년 12월,…
1970년 10월 개최될 제31회 공주 관내 친목배구대회의 개최요강이다. 제30회 친목배구대회 개최요강에 수정하여 31회 개최요강 초안을 작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에는 개최요강과 함께 배구대회의 임원진 명단과 참가신청서 양식이 수록되어있다.
2005년 10월 27일 충청남도역사문화원장에게 받은 위촉장이다. 윤여헌을 2005년도 충청남도 비지정동산문화재 실태조사 사업의 자문위원으로 위촉한다는 내용이다.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주민이 보관하고 있던 문서로, 2006년 대전지방보훈청에서 발행한 안내문이다. 안내문에 의하면, 국가유공자로 선정된 자료제공자에게 국가유공자 훈장을 수령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공주군농회에서 잠업을 통해 생산한 산물을 수매하기 위해 발급한 전표이다.
2010 계룡산 산신제 민요한마당 사진첩
1967.10.02, 공주문화원 회의실에서 진행한 제14차 이사회 회의 속기록이다. 당시 회의 의제로 제13차 이사회 회의록을 채택하였고, 1967년도 추가경정 예산안에 대한 심의 등을 진행했다.
1955년 공주중학교 재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으로, 11,12월에 걸친 2개월분의 재건기성회비 일금 일천이백환을 청구 및 영수하는 문서이다. 한국저축은행공주지부에서 영수하였으며, 학생의 학년과 반, 성명이 좌측에 기재되어 있고, 상단에는 '공중'이라는 표시가 있다.…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1주년 기념집 - 두드림조 작품내용(교원양성제도의 변화)
영명중학교 납부금 장부로 1961년도 내역이 기록되어 있다. 학년, 반별로 구분하고 수업료와 사친회비, 학도호국단비 납부내역을 기록하였다.
1985.03.05,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한 제51차 정기총회 회의록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회의를 통해 1984년도 사업실적 및 세입세출 결산안 심의를 진행했고, 나아가 1985년도 사업계획과 예산안 심의도 병행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고대 한일관계와 관련된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쇼토쿠 태자, 요메이 덴노, 긴메이 덴노의 출생에 관한 작은 메모, 그리고 일본의 불교수용에 대한 메모가 담겨 있다. 한편, 메모지로 사용된 종이는 A4이면지로 공주로타리클럽에서…
1958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전(全)기분 가옥세 등의 영수증이다. 일금 사백구십육원을 가옥세 및 동부과세로 영수하고 있는데, 가옥세 이백사십팔원과 동부과세 이백사십팔원이 각각 그 내역이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