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60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전(全)기분 대지세(垈地稅)영수증이다. 일금 칠백칠십일원을 청구하였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영명중학교 납부금 장부로 1961년도 내역이 기록되어 있다. 학년, 반별로 구분하고 수업료와 사친회비, 학도호국단비 납부내역을 기록하였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도서목록이다.
1964~1966년 공주문화원은 전국 최초로 자립된 문화원 청사 건축을 진행했다. 그리고 마침내 1966.06.08 성대한 준공식을 거행했다. 본 자료는 해당 준공식에 들어간 비용을 기록한 명세서이다.
이은석(李殷奭)이 수강하였던 공주라디오기술학원의 수강료납입영수증이다. 학원비는 600원이다. 수업료 및 실습비 모두 5회분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토사 관련 메모이다. 직전의 기록이 있는듯 하나, 이 메모에서는 일련번호 3번의 일부가 누락된 상태에서 본문 내용의 기재가 시작되고 있다. 기재된 메모사항은

3. 인조 파천과 관련된 전설
4. 향토문화 활동 가운데 어려운 점
5.…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행사종목별 평가 , 홍보 및 시설장비와 행정 협조사항에 대한 평가 및 발전방안 , 행사추진 조직 구성에 대한 내용 수록함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계룡국민학교 제52회 졸업생인 민대순님의 6학년 학교생활통지표 및 수료증서이다. 앞면의 결재란을 보아, 일정기간에 작성하여 가정으로 발송하고 회신받은 것을 알 수 있다. 교과학습발달 및 행동발달과 특별활동, 신체검사, 출결상황과 가정통신이 기재되어있다. 수료증에는…
제34권 제17호 공주중동교회 소식지
1970.11.06일자로 임기가 만료되는 공주문화원 이사와 감사에 대한 유임 서면결의 안내 통지문과 결의서이다.
1969.10.07, 공주문화원에서 주최한 시국대강연회의 초청장이다. 본 강연회는 공주사범대학 대강당에서 진행되었으며, 조국의 근대화와 관련한 주제를 바탕으로 강의가 이뤄졌다.
1997년 공주대학교 컴퓨터 동아리 Soft의 전시회 방명록이다.
윤여헌 교수의 조카인 윤홍식이 윤여헌 교수에게 전해올린 네번째 친필 문안 서신이며, 웅진문화 제13집을 발행하였다는 사실과 더불어 윤여헌 교수의 옥고(玉稿)를 비롯하여 서동설화 연구, 문관(文冠) 등에 대하여 작성한 논단에 큰 존경을 품는다는 뜻을 밝혔다. 더불어…
1961년 반포국민학교에서 6학년 2반 임상윤 학생에게 수여한 상장으로, 6개년간 정근하여 이를 표창한다는 내용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십곡병화제(十曲屛畵題)에 대한 메모이다. 첫번째 쪽에는 원문이 3수까지 기재되어 있으며, 두번째 쪽에서는 1수부터 9수까지 기재되어 있다. 각 원문을 기록하며, 한자의 뜻과 의미를 부기하였다.
1995년 누마즈시에 방문했을 때 조선통신사가 숙박했던 세이켄지를 방문했던 기록이다. 高山樗牛기념비가 있는 것을 보고 관련이 있는 것인지 의아해 하기도 했으며 동시에 그를 소개하면서 '세이켄지의 종소리'라는 작품을 언급한다.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안내문, 일정표, 상세 식순과 함께 행사별안내와 대회임원, 집행부서를 소개하고 부여 고적 및 행사안내도를 수록함
1960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가수영수증이다. 자료 가장 우측에는 단기로 날짜가 적혀있고, 영수받는 인물의 성명과 주소를 적는 란이있다. 중앙의 금액 영수란에는 에는 금액을 기재하고, 독촉수수료 및 세금을 상세히 적을 수 있는 칸을 만들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