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도서간행물류
전체 10588건
목차
책머리에 = 5
第1章 熊津城과 公山城
Ⅰ. 百濟 熊津城인 公山城
1. 序言 = 13
2. 熊津城과 公山城 = 15
3. 公山城內 百濟遺蹟 = 22
4. 王城으로서의 熊津城 = 33
5. 結言 = 40
Ⅱ. 公山城內 百濟 推定王宮址
1. 序言 = 41
2. 百濟의…
1953년 개교한 공주사대부중고등학교의 40년 역사를 기술하였다. 1950년대 태동기부터, 전환기, 1960년대의 성장기, 1970년대의 발전기 1980년대의 도약기, 1990년대의 안정기까지 학교의 변천모습과 특정사건, 교육과정의 변화, 당시 촬영한 사진, 학생회,…
https://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4213763&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1967.02.22 기사로 작성된 공주직업소년학교 제1회 졸업식 거행 소식이다.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3796584&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1976년 09.10~17 동안 전국학생새마을 미술작품공모전 입선작 전시회를 서울 신문회관 대화랑에서 진행했는데, 당시 배포한 안내팜플렛이다.
2017 올해의 관광도시 골목길 전문이야기꾼 양성 자료집으로 공주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것이다.
금강문화포럼에서 발행한 우리가 지켜야 할 공주문화 중 이삼평과 한일 도자교류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정기간행물이다.
공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역의 어르신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담아 책으로 발간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자서전이다.
1989년 반포국민학교 제66회 졸업기념앨범이다. 반포초등학교는 반포면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로, 1921년 반포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교육령에 의해 반포국민학교로 개칭하였으며, 오늘날 반포초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상신, 마암, 학봉분교장을 두었으나 상신, 마암분교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