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2001년 공주고등학교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졸업식 장면을 촬영하였다. 학생이 졸업장을 받은 후 교사와 악수를 하고 있으며, 뒤쪽에 학생들이 이를 지켜보고 있다.
1983년 2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77년~1980년 시기의 공주고등학교 수학여행 관련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학생들과 교사 유병학의 모습이다. 사진 속 왼쪽에서 두 번째 인물이 유병학이다.
동원직물 색동직조기.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색동을 짜는 곳이다.
공주새마을운동 - 공주군 위향모범청년 화합 전진대회(7)
1964.07.26, 공주문화원 주최로 우성저수지 일원에서 진행된 제1회 공주낚시대회의 모습이다. 당시 1인당 100원의 회비를 납부하면 대회 참여가 가능했으며 중식도 제공되었다. 본 자료는 이관용 문화원장이 행사장에서 주민과 악수를 주고받는 모습이다.
공주새마을운동 – 야외교육활동(12)
1977년 계룡국민학교 제55회 졸업 기념 사진첩이다. 이 해는 계룡초등학교에서 졸업앨범을 발행하지 않고, 사진첩으로 대신했다고 한다. 사진첩에는 '졸업기념, 제55회, 1977.2' 등이 적혀 있고, 모교전경 및 교직원 일동, 반별 사진이 실려 있다.
1980년 발행된 공주 관광 안내 책자에 수록된 갑사 철당간지주의 모습이다.
1964년 공주중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학생들의 시가행진 장면이다. 사진 속에는 1961년 5.16군사혁명의 구호인 '합심하여 이룬 혁명 단결하여 완수하자'라는 표어를 들고 공주 중동큰사거리를 지나고 있는 모습이다. 사거리 중앙에는 전국반동사상계몽기간 및 간첩자수기간과…
공주새마을운동 – 야외교육활동(24)
1988년 우성초등학교 제58회 졸업앨범에 수록된 가을운동회의 모습이다. 본 자료는 차전놀이에 출전한 재학생의 모습이다.
1974년 공주사범대학 역사교육과 졸업생의 모습이다. 본교 사학과와 역사교육과의 교수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공주공립고등여학교 학생들의 기숙사 생활 모습이다. 공주여자고등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의 공주공립고등여학교로 설립인가 되었다. 같은 해 5월에 공주공립심상소학교에서 개교하고 입학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졸업생은 일본인 32명, 한국인 13명으로 1932년 3월에…
1960학년도 공주사대 재학생 중 일부가 공산성으로 벚꽃놀이를 나온 모습이다.
1980년대 반포국민학교 학생들은 근로의 날을 맞아 학교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학교 주변을 정화하고 정돈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공산성 금서루에서 펼쳐지는 명사와 함께하는 금강 달빛별빛이야기에 손님으로 초대된 시인 도종환이 관객과 함께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공주문화원 야간무도회의 모습이다. 무도회가 언제 어디에서이루어진 것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제민천변에 위치한 공제의원은 1935년 건립되었으며 한때 ‘양의원’으로 불리기도 했다. 다시 공주금융조합건물로 사용되다가 2002년까지 ‘예술가의 정원’이란 화실로 운영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