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엽서 속 선화당은 본래 충남도청 청사의 본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다.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한 후 앵산공원으로 이건되어 백제박물관으로 사용되었다. 이 엽서는 1930년대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된 것이다.
상기 2006.6. 공문인 '향토문화유적보호위원회 회의 개최 알림'의 붙임문서인 '陶祖 李參平(도조 이삼평) 제전비 건립계획'이다. 사업목적, 비 규모 및 설치위치(안), 기대효과, 이삼평에 대한 참고자료와 이삼평도공 비문에 들어갈 내용과 묘사도가 있다. 같은 철에…
공주공립중학교의 본관 건물이다. 1938년 제3차 교육령에 따라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는 공주공립중학교로 명칭이 바뀌었다. 본 자료는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로 발행된 것이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마곡사 고방에 소장된 '조선충청남도공주군마곡사헌답기'에 관한 것이다.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각 종목에 대한 예산 산출과 부대사업 일람표를 수록함
일본 규슈지역의 간략한 지도이다.
성령기도회 명단으로, 신도들의 성명 및 세례명, 전화번호 등이 인쇄되어 있다.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1주년 기념집 - 곰나라조 인터뷰(남승현)
1955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제1기분 가옥세 영수증으로, 일금 이백이십원을 영수하였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가옥세로 일금 11원, 부가세로 일금 11원이 각각 청구되었다.
2013년 9월 2일 민속학자 심우성이 윤여헌 교수에게 보내는 안부편지이다. 심우성은 편지에서 제주를 떠나 서울에 자리를 잡았다는 근황을 전하며, 자신이 출간한 이라는 책을 동봉하여 보낸다고 적었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여자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9년 10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소화 16년 3월 20일에 계룡공립국민학교에서 발행한 민병영 님의 상장이다. 2학년과 창씨개명한 성명(평강병영)이 기재되어있으며, 학업에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상과 상품을 수여하여 표창한는 내용이다.
1978년 공주군 교육청에서 우성중학교 신재옥 씨와 오재봉 씨에게 발행한 상장이다. 1978년도 반공교육자료 전시회 TP자료 부문에서 창의성을 발휘해 교육에 효용성이 높은 작품을 출품하여 입상하여 상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윤여헌 교수가 사용한 1982년 데일리 수첩이다. 날짜별로 그날의 일정을 기입하였다. 수첩의 뒷부분 노트 부분에는 한시의 원문과 해석, 역사인물에 대한 이력정보가 다수 기재되어 있다. 품이 굉장히 많으며, 김상숙, 윤문학, 윤용구 등과 같이 역사적 인물에 대한 대략적인…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0주년 기념집 - 구원투수조 인터뷰(문경호)
1958년 충청남도 공주군 반포면 공암리의 서인식 님께 수여한 독농 감상장이다. 다년간 농업에 종사하여 나라에 이바지한 바 그 공적이 뚜렷하여 서울신문사에서 정부수립 10주년 기념행사로 실시한 제1회 전국독농가 표창에 감사장을 드린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이 상장은…
계룡국민학교에서 발행한 사친회비 영수증이다. 납부금 오천원이며, 발행한 연월이 단기로 기록되어 있으나, 종별과 월분 항목은 공란인 상태이다. 담임 란에는 성명대신 도장이 찍혀있다. 계룡초등학교 31회 졸업생인 진영섭 님에게 발행된 영수증인데, 한자로 성명이 잘못…
공주시 '제2의 건국' 범국민추진위원회 제2기 출범'과 함께 '금년도 공주시가 추진해야 할 추진과제를 선정하기 위한' 자리에 초청되어서 인사말 하게 된 윤여헌 교수의 원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