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윤여헌 교수의 일본 유학을 기념하여 김기평 등 여러 학생과 주변 인물들이 송별사를 적은 수첩이다. 수첩의 앞 부분만 송별사가 적혀있고 나머지는 모두 공백인데, 일기장으로 사용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전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1989년 공주문화원에서 진행한 내 고장 사랑 및 경노효친사상선양 백일장의 심사발표에 따라 입선자 발표와 시상식을 개최하는 것을 알리는 공문과 대상자 명단이다.
교재용으로 작성된 문서이다. 한국에 대한 설명이 적혀있다.

목차
1. 절
2. 음식
3. 통화
4. 언어
5. 건축(단청)
6. 건축(곡선미)
7. 한국의이름
1975.09.29부터 6일간 공주문화원에서 진행한 요리 및 분식대강습회 안내문이다. 혼분식과 감자요리가 장려된 당대의 문화가 반영된 요리교실이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나아가 전면에는 '미원'의 광고가 수록되어 있다.
수촌리 출토 토기의 현황과 계통-한성지역 백제토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신희권)에 대한 토론문
2010년 4월 8일 공주시청 부시장실에서 개최한 공주시 향토문화유적보호위원회 회의 안내 공문이다.회의자료가 첨부되어있다.
1966.03.30, 공주군청 군수실에서 진행된 제6차 공주문화원 이사회 회의 속기록이다. 총 9명의 이사진이 참석한 회의에서는 문화원 청사 신축공사에 다액을 기부한 천흥락씨에 대한 기념사업에 관한 사항이 논의되었다.
충청남도에서 주관하는 제 26회 백제문화제 대한 개선기본계획안과 백제왕제, 삼충제, 궁녀제, 삼산제에 대한 세부시행계획과 배치도를 수록함
1965년 정안국민학교 제6학년 강성만 학생의 학업우수를 표창하는 상장이다.
전국남녀궁도대회 상장
1910년대 후반경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 부근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이다. 한 사내가 낚시하는 모습과 강 중간에 떠있는 나룻배, 멀리 목교와 함께 연미산도 보인다.
1. 원사 전경 / 2. 원사 평면도 / 3. 본원 사업지표 및 운영방침 / 4. 본원 기구 및 사업체계 / 5. 본원연혁 / 6. 본원 시설상황 / 1966년도 사업계획
2001년 11월 16일 충청남도테니스협회가 주최한 제12회 충청남도지사기 테니스대회에서 공주고등학교가 남자고등부 단체 2위를 차지하여 받은 상장이다.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953년 공주군 계룡면 유평리 이장이 발행한 납입고지서 및 영수증이다. 고지서에 의하면 7월 10일까지 면사무소에 공주중고등학교 재건회비로 일금 사십환을 납부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고지서 및 영수증 모두 우측에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과 납부비목을 기재하는…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976년 제36회 공주군 추계 친목배구대회 진행을 알리는 초청장이다. 당시 배구대회는 제1회 김종필기 쟁탈 배구대회를 겸하여 진행되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이다. 메모의 서두 부분에 "우라마루(浦丸) 회장 이하 일본인 모두에게"라고 쓰여 있는데, 어떤 행사의 인사말로 추정된다. 작년에 공주측에서 일본을 방문했다는 말과 함께, 일본서기를 근거로 공주지명, 백제역사 등 공주에 대해 소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