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충청남도 교육위원회 교육감으로부터 받은 표창장이다. 학교교육에 헌신하고 타의 모범이 되었음을 표창한다는 내용이다.
1985.11.30,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한 제52차 임시총회 회의록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총회를 통해 1985년도 제1차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 심의가 진행되었고, 임원 임기만료에 따른 새로운 임원 선출도 이뤄졌다.
수료증(2)
백제문화선양위원회위원장의 주재로 제 42회 백제문화제의 종합평가 보고 , 예산전용 승인건 , 예산결산 승인건에 대해 토의한 회의록 / 회의요약 , 부여군백제문화선양위원회 명단 수록
1982년 충청남도 교육위원회에서 주최한 교육감기 쟁탈 1차 평가전에서 공주금학국민학교 선수들이 여국 연식정구부문 단체2위를 기록하여 받은 상장이다.
남궁화가 1990년 6월 15일부터 1992년 8월 20일까지 공주 무릉동 일대에서 작성한 일지이다. 기성품 일기장을 활용해 일지를 기록하였고, 하루의 일과를 번호를 붙여 개조식으로 작성하였다. 이동동선과 시간, 승차권 등 하루동정을 자세하게 기록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계룡면 향지리 주민이 보관하던 동토문이다. 동토, 혹은 동티는 예부터 금기된 행위를 하여 귀신이 노하여 받는 재앙을 일컫는데, 민간에서는 동토가 나서 생긴 병을 치유하기 위해 금기된 행위를 한 원인을 파악하여, 재앙을 준 귀신을 멀리 쫓아내야한다고 믿었다. 이를 위해…
윤여헌 교수가 백제사논총 111 페이지를 일부 요약한 기록이다. 수원사지와 즈믄산(천산 혹은 주미산)에 대한 내용을 시작으로 당나라 군대를 방어하는 데에 백강이 활용되었다는 내용과 더불어 각 지역에 연관된 강이 병기되어 있다.
정석모 전 장관이 교편을 잡고 있을 때 보관한 자료로서, 계룡국민학교에서 단기 4279년 7월 12일에 발행한 성적통지표이다. 교장 및 담임선생님 밑으로 학생의 학년과 이름이 나와있다. 과목별 성적과 출결일수 등이 세로로 기재되어 있다. 자료 왼쪽으로는 1학년…
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는 석가불과 약사불, 아미타불이 모셔진 대웅보전과 비로자나불이 모셔진 대광보전이 존재한다. 대광보전 마당에는 라마교 양식의 풍마동이 올려진 5층석탑이 세워져 있는데, 현재는 일제강점기 때보다 탑의 위치가 희지천 쪽으로 남진했음을 알 수 있다.
명함(30)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여자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7년 9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갑사구곡에 대한 메모이다. 주요내용으로

' 구곡시의 효시는 송나라의 주자가 읊은 무이구곡가에서 유래하였는데 무이산의 원림을 경영하면서 읊은 시문에서 유래하였다. 율곡 선생은 고산구곡, 퇴계선생은 도산십곡, 우암 선생은 화양구곡이…
일제강점기 범람한 제민천 하류에서 바라본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범람지 위쪽으로 공주 갑부 김갑순이 건립한 사설시장과 봉황산 아래 공주지방법원을 비록하여 시가지의 모습이 잘 보인다. 무엇보다 금강이 범람하여 강물이 산성정의 시장 근처까지 차올라 배가 드나드는 모습을 볼…
1955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납세고지서이다. 전표에 의하면 발행연도 및 납세자의 성명, 리(里)가 적혀있고, 다음칸에 조세명인 '갑종제1종토지수득세'가 인쇄되어 있다. 이하로 납부해야할 정조(正租)을 기입하는 란이 있다. 계룡면 유평1리 진상옥 님에게 청구된…
1938년 정안공립보통학교부설 문천간이학교에 재학한 기증자의 형이 1학년 과정을 마쳤다는 수업증서이다.
1954년 공주군 국민학교 육상경기대회에서 유구국민학교 여자부 선수들이 3위를 거두어 이를 표창하는 내용의 상장이다.
高山樗牛의 '세이켄지의 종소리'라는 글이다. 1901(메이지 34)년에 발표되었다. 구자체, 구가나, 역사적가나표기법으로 작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같은 해 8월에 발표된 6개의 시가가 같이 실려 있다. 이 '무제집'이라 이름 붙여진 시가군 또한 高山樗牛의 것인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