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80년대 충청남도 농촌진흥청에서 발행한 생산증진을 장려하는 내용의 안내서이다. 생산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 상세히 적은 내용의 '농사삐라'를 정기적으로 발행하여 농업종사자에게 배부하였다. 논에 비료 주는 방법을 개선하여 미곡증수비약운동으로 이어지도록 안내하고…
http://archives.saemaul.com/jsp/common/ebook.jsp?id=15382
소화19년(1944), 3월 임시자금규정법 및 조선총독부령에 의거하여 발행된 금3원권의 애국채권이다. 앞면에는 발행근거가 뒷면에는 5원과 3원의 경우 각 등급에 따른 내용, 주의사항 등이 기재되어 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공주회 전국집회 가라쓰대회 식순이 기록되어 있다. 당시 공주회 가라츠대회는 2009년 10월 18일 가라츠로얄호텔에서 열렸으며, 공주향토문화연구회 회장이었던 윤여헌 교수를 비롯해 조병진, 김남식이 참석하였다. 이 메모는 윤여헌이 이…
일제강점기 조치원에서 공주를 오가는 길목에 위치한 나루터로, 조선시대부터 전라도에서 한양가는 삼남대로 길목에 있는 장기대나루 북단이다. 장기대나루는 옥룡동에서 금강을 건너 시목동(감나무골)로 연결되었던 나루로 장기진(杖基津)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시대 죄인의 목을 장대에…
국립공주대학교 의과대학 건립 서명부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대원암 산신각에 소장된 '산신각중창기'에 관한 것이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1'에 관한 것이다. 본 자료는 보물 제269호로 지정되어 있다. 묘볍연화경은 천태종의 근본경전으로 화엄종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불교경전이다. 연도를 측정할 만한 기록이 없으나 글씨 풍이…
1927년도 반포공립보통학교 임월수 학생의 통신부이다. 통신부는 일제강점기 성적통지표를 일컫는 말로, 성적표, 근태표, 신체검사, 통신문 등이 적혀 있고, 축일과 제일, 주의사항 등이 인쇄되어 있다.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현재 3.1중앙공원의 4.19학생혁명기념탑 위치에 세워져 있던 충혼비이다. 이 충혼비는 일제 육군대장 가나야 한조(金谷範三)이 건립한 것으로 이곳에서 공주군 의용소방대 발대식 등 굴직한 일제의 행사가 자주 이뤄졌다.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에 대한 세부행사추진계획과 신설종목, 연혁, 세부행사별 시행계획과 배치도를 수록함
김주백(金柱白)이 윤여헌 교수에게 보내는 서신이다. 김주백은 '엄자릉(嚴子陵)', '퇴암(退庵)'이 남인 말을 모아 병언해설집(屛語解說輯)을 집필하고 있는데, 윤여헌에게 교정 및 발간축사 집필을 요청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인 대정 6년 조선총독부에서 공주감옥 수인으로 이을규씨를 임명했다는 것을 증빙하는 임명장이다.
윤여헌이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어떤 저작물을 쓸 때 주로 참고한 문헌이 나열된 것이다.
연도미상의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 우석(愚石) 김기창(金基昌), 화당(和堂) 김재배(金栽培)에 관한 원고이다. 각각의 연혁을 담고 있으며, 제목 옆에는 '향토출신근대서화가'라는 윤교수님의 자필메모가 쓰여져있다.
윤여헌이 오노(大野)에게 보내는 편지의 초안문이다. 오노의 안부를 물으면서 건강해지기를 바란다고 안부를 묻고 있다. 또한 공주로타리클럽의 방문회장 최현수 씨를 소개하는 내용도 일부 있다.
1999학년도 제1차(1학기) 자체학술연구비 지원대상자 확정통보 및 추가 공모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