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서류1 : 회의안내(대학 상징물 현상공모 마감에 따른 토의)
윤여헌이 자필로 쓴 메모이다. 앞면에 손경선 내과 전화번호가 적혀있고, 뒷면에 통풍 발병과 재발의 내력이 메모되어 있다. 윤여헌 교수가 자신이 앓았던 통풍과 관련해 발병부터 치료까지 그 이력을 간략하게 메모한 것으로 보인다.
공주영명중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1953년 납부금 영수증이다. 영수증에 의하면 9월의 납부금으로, 일금 이만오천원을 청구하였다. 자료 하단에는 영수받은 학생의 성명이 적혀 있다.
1954년 공주 계룡면에서 발행한 전기분의 임야세 납입고지서 및 영수증이다. 일금 이십사원을 12월 5일까지 면사무소에 납부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임야세는 22원, 공부가세로 22원을 청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1953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제1기분 부가세 영수증으로, 일금 육십원을 영수하였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부가세 외에 조세 비목을 적는 란에는 '군경원호금'이라고 추가로 작성한 내용이 있다.
1992년도 7월 월례회의자료(6차)
수부(受附)와 등기 목적, 원인일, 권리자의 성명과 주소 등이 기재되어 있다. 등기제에 의하면 소유자 이전 신청을 위해 서류를 작성하고 최종 확인을 위해 등기제를 신청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 등기제 대신 등기신청을 마친 문서라는 뜻으로 '등기필'로 바뀌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쓴 문서로 사회발전의 현실을 주제로 쓴 글의 초안문이다. 문서는 정신적 지지의 상실 / 꿈도 사상도 가치도 상실한 현대인은 현실주의자가 되고 찰나주의자, 실리주의자가 되었다 / 물질만능의 사회 등을 주제로 전개된다.
남궁화가 1985년부터 1988년까지 공주 무릉동 일대에서 쓴 일지이다. 양지사에서 제작한 기성품 일기장에 약 4년간의 일지를 적었는데 1985년 3월 2일부터 시작했고 일지에 날짜가 빠진 날들이 자주 보인다. 서두에는 신문 스크랩을 하였으며, 그 뒤로 하루일과를…
1969년 공주군수가 발행한 김갑순 임야대장등본이다. 당시 김갑순은 690만원 상당의 임야를 소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 무령왕 탄생해협지 역사 문화 포럼의 기록의 교정에 대한 공지문이다. 교정을 부탁하는 글이며, 교정 한 후 8월 3일까지 반송해달라는 내용이다.
이 문서는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쓴 에 대한 논문 초안이다.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사이의 이념 분쟁을 역사적 흐름을 바탕으로 구성하여 기술한 것이다. 이 논문은 이후에 1976년 12월 공주사범대학 논문집 14호에 게재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몇…
1967.07.10, 공주문화원 회의실에서 진행된 제13차 이사회 회의 속기록이다. 회의에서는 제12차 이사회 회의록 채택을 진행했으며, 문화원 운영 상황에 대한 보고와 명예이사장 천흥락씨 공덕비 건립 추진계획 등을 논의했다.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일별 행사계획표를 수록함
선교사 가옥 부근에서 내려다 본 북쪽 공주 시가지의 모습이다. 공주지방법원과 앵산공원을 중심으로 하얀 벚꽃이 피었으며, 특히 공산성으로 가는 옛 길을 따라 벚꽃터널이 조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현 공주역사영상관의 전신으로 1923년 건립된…
윤여헌 교수가 1994년 9월 29일자 서경신문의 기사를 필사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