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66.01.29, 공주문화원 회의실에서 진행한 제5차 정기 이사회 회의 속기록이다. 1965년도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결과를 돌아보고 보완점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나아가 1965년도 세입세출 결산서 심의와 1966년도 사업계획서 및 세입세출 예산서 심의도…
1910년대 초반 '조선의 명소(朝鮮名所)'라는 시리즈로 발행된 사진그림엽서 중 계룡산 남매탑을 배경으로 제작한 것이다. 본래 명칭은 청량사지 7층석탑과 5층석탑이며,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사찰지이다. 남매탑 앞에 제복과 양복을 입은 사람과 흰색의 전통 한복 차람의…
오영진이란 인물이 금 60원을 빌리고 반제하는 상호연대보증대부이다. 대출 목적은 상품구입으로 명시되어 있다.
1921년에 작성된 직원명부와 졸업생 인적사항을 조사한 목록이다.
1910년대 말경, 봉황산 아래 위치한 충남도청 중심의 공주 시가지 모습이다. 엽서에는 당대의 인물이 작성한 수비대와 도청, 법원, 이름난 요정 등 주요명소와 함께 '앵산공원에서 공주를 바라보며'라는 친필이 남아있다.
이문호가 2학년 재학 중 받은 품행,학술우수상이다. 학교명은 '新上德巖公立國民學校'로 기대되어있다. 이름은 '密山文鎬'로 기재되어있다.
1962년 공주중학교에서 학생에게 발행한 협동조합출자금 영수증이다. 일금 육천원을 공주중학교 협동조합줄자금으로 영수하고 본영수증과 출자증서와 교환 및 교부하기로 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영수받은 학생의 학년과 반, 번호, 성명은 우측에 세로로 기재되어 있으며 그…
공주 배다리(구 금강교)유적 조사 - 1925년 공주시가도
1996년 5월에 있었던 공주향토문화연구회 안내장이다. 행선지는 6.25 인민군 충남사령부 주둔지(논산 가야곡면)이며, 답사일은 1996년 5월 2일이다. 안내장에는 일시, 행선지, 출발, 회식안내사항이 있다. 또 공지사항으로 1.'웅진문화' 9집 원고모집, 5.2.…
계룡국민학교에서 단기 4288년도 계룡국민학교재건비로 일금 1,400원을 기성회장 예금구좌에 예입하였다는 내용의 영수증이다.
1961년 공주중학교 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서로, 학생회비 일금 일천오백환을 청구 및 영수하는 내용이다. 공주중학교 수입원의 명의로 영수하였으며, 영수받는 학생의 성명과, 반, 번호가 우측에 기재되어 있다. 상단에는 '공중'이라는 표기가 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지명 '박정자'에 관한 메모이다. 1974년 발행된 한국지명총람에서 공주시 반포면에 있는 지명 '박정자'와 그 명칭에 대한 유래, 충주 박씨와 밀양 박씨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편지봉투 및 편지 : 한길례발신, 지인준수신(1)
이문호가 1학년 재학 중에 제1학급 제3학기의 부급장으로서 받은 임명장이다. 학교명은 '新上德巖公立國民學校'로 기대되어있다. 이름은 '密山文鎬'로 기재되어있다.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윗편의…
1961년 공주중학학교에서 발행한 수업료 및 사친회비 영수증서 이다. 일금 사천2백원을 10,11,12월분 수업료 및 사친회비로 징수하였다.
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2015년 3월 3일 예정된 안내문이다. 회의개요, 세부일정이 있고, 붙임자료로 국립공주박물관 운영자문위원회 위원 현황, 오찬장소 등이 기재되어 있다. 당시 운영자문위원으로는 윤여헌 교수를 비롯해 위원장인 이화영 공주대학교 교수, 김종만, 윤용혁, 박영복, 나태주,…
99학년도 대학입시 불참 예정교수 파악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