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89년 6/7~12일 동안 공주문화원에서 진행된 왕인총의 사계 사진전의 모습이다.
이인면 주봉리에 위치한 음식점 주봉마을우렁촌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2011 계룡산 산신제 셋째날 충청도 설위설경 (27)
1968년 공주영명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이다. 1967년 제13회 백제문화제를 위해 공주영명고등학교 학생들이 참여한 백제문화제의 모습이다.
이준원 전 공주시장이 재직 중이던 2013년 3월부터 5월까지의 시정활동이 담긴 사진앨범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제2차 발굴 현장으로 가기 위해 나룻배에 탑승한 연세대학교 박대선 총장 일행의 모습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금성동에 위치한 고마나루돌쌈밥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1956년 공주고등학교 선도부의 모습이다. 선도부원은 학생들이 학생답게 생활할 수 있도록 계도하였고, 각종 교칙위반과 지각 단속 등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었다. 그들은 완장과 혁대를 착용하고 위세를 떨쳤다.
2013년 찾아가는 백제문화학교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모습이다.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전야제 행사로 진행된 축제의 밤 현장에서 어린아이들이 강강술래를 하고 있다.
가카라소중학교 학생들의 환영식으로 '가카라소란'춤을 공연하였다.
1977년 계룡국민학교 제55회 졸업 기념 사진첩에 실린 6학년 3반 학생들과 담임선생님의 단체사진이다. 학교 건물 앞에서 촬영하였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91년 귀산국민학교 내에 있는 사택이 포크레인으로 헐리고 있다.
보물 제478호로 지정된 갑사 동종의 모습이다. 갑사 동종은 갑사 내 종각에 위치한 조선시대 종이다. 일제강점기 공출로 인해 징발되었다가 어렵사리 원 위치로 돌아온 일화가 담긴 동종이다.
공주새마을운동 - 승지4-H구락부 건물(2)
관골의 변화⑦ 이 집은 오래 전부터 비어 있었다. 헐리기 직전이다.
공주새마을운동 - 수도신품종 지역 적응시험(2)
1957학년도 공주사대 졸업생 중 일부가 벚꽃이 만개한 중동성당 인근 공원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공주문화원에서 진행된 한길 응용미술 전시회의 테이프커팅식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