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일반검색

검색안내

검색결과 : 114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 주제분류  지리,환경
      • 1913년(추정) 창벽 사진엽서
        1913년(추정) 창벽 사진엽서
        1913년 공주~대전 간 도로 개수 공사를 기념하여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앞면에 ‘忠淸南道公州大田間改修道路蒼壁全景’ 문구와 반포면 마암리에 위치한 창벽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다.
        • 등록번호 : 500012041
        • 생산일자 : 1913(추정)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기타
      • 1913년(추정) 창벽 사진엽서
        1913년(추정) 창벽 사진엽서
        1913년 공주~대전 간 도로 개수 공사를 기념하여 발행한 사진엽서이다. 앞면에 ‘忠淸南道公州大田間改修道路蒼壁全景’ 문구와 반포면 마암리에 위치한 창벽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다.
    • 1913년(추정) 창벽 사진엽서
      • 500012041
        1913년(추정) 창벽 사진엽서
      • 1930년대 초반, 현재의 공주중앙공원 모습이 담김 사진그림엽서
        1930년대 초반, 현재의 공주중앙공원 모습이 담김 사진그림엽서
        1930년대 초반의 봄, 오늘날 공주 3.1 중앙공원에서 촬영한 사진을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에서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하여 발행한 자료이다. 공주 원도심에서 꽃놀이 명소로 꼽히는 앵산공원과 멀리 봉황산 아래 도청을 비롯한 시가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10545
        • 생산일자 : 000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30년대 초반, 현재의 공주중앙공원 모습이 담김 사진그림엽서
        1930년대 초반, 현재의 공주중앙공원 모습이 담김 사진그림엽서
        1930년대 초반의 봄, 오늘날 공주 3.1 중앙공원에서 촬영한 사진을 삼전옥하당(森田玉河堂)에서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하여 발행한 자료이다. 공주 원도심에서 꽃놀이 명소로 꼽히는 앵산공원과 멀리 봉황산 아래 도청을 비롯한 시가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1930년대 초반, 현재의 공주중앙공원 모습이 담김 사진그림엽서
      • 500010545
        1930년대 초반, 현재의 공주중앙공원 모습이 담김 사진그림엽서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등록번호 : 500010507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500010507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하나였다. 이곳과 함께 공북루 앞에서 나룻배를 타고 강을 오갔다. 이후 앞서 언급한 금강 목교가 1915년 가설되어 이곳에서의…
        • 등록번호 : 500010499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하나였다. 이곳과 함께 공북루 앞에서 나룻배를 타고 강을 오갔다. 이후 앞서 언급한 금강 목교가 1915년 가설되어 이곳에서의…
    •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 500010499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 1919년 1:50,000 공주지도
        1919년 1:50,000 공주지도
        1914년 측량 후 1919년 제1회 수정측량을 통해 조선총독부 육지측량부에서 제작 및 발행한 공주 1:50,000 지도이다. 금강수계가 채색이 가미되어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으며, 공주 원도심 일대에 빼곡하게 밀집한 관청시설과 건물군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강을 오가는 각 나루터의 유무도 표시하여 사람들이 강을 오가는 길목도 표시했다. 더불어…
        • 등록번호 : 600000835
        • 생산일자 : 1923.09.3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19년 1:50,000 공주지도
        1919년 1:50,000 공주지도
        1914년 측량 후 1919년 제1회 수정측량을 통해 조선총독부 육지측량부에서 제작 및 발행한 공주 1:50,000 지도이다. 금강수계가 채색이 가미되어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으며, 공주 원도심 일대에 빼곡하게 밀집한 관청시설과 건물군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강을 오가는 각 나루터의 유무도 표시하여 사람들이 강을 오가는 길목도 표시했다. 더불어…
    • 1919년 1:50,000 공주지도
      • 600000835
        1919년 1:50,000 공주지도
      • 1:400,000 충청남도약도
        1:400,000 충청남도약도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1:400,000 축척의 지도이다. 충청남도 관할구역의 범위가 도서지역까지 자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재판소 주제지와 군청의 위치, 우편국과 경찰서 위치까지 자세히 기록되어있다.
        • 등록번호 : 600000830
        • 생산일자 : 1917.00.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400,000 충청남도약도
        1:400,000 충청남도약도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1:400,000 축척의 지도이다. 충청남도 관할구역의 범위가 도서지역까지 자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재판소 주제지와 군청의 위치, 우편국과 경찰서 위치까지 자세히 기록되어있다.
    • 1:400,000 충청남도약도
      • 600000830
        1:400,000 충청남도약도
      • 1921년 공주지도
        1921년 공주지도
        충청남도 공주군의 행정구역과 인접한 충북, 경북, 전북의 일부 지역 등이 인쇄된 지도이다. 1921년 1월 15일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에서 발행했으며, 가격은 30전이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8253700000
        • 등록번호 : 600000745
        • 생산일자 : 1921.01.15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21년 공주지도
        1921년 공주지도
        충청남도 공주군의 행정구역과 인접한 충북, 경북, 전북의 일부 지역 등이 인쇄된 지도이다. 1921년 1월 15일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에서 발행했으며, 가격은 30전이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8253700000
    • 1921년 공주지도
      • 600000745
        1921년 공주지도
      •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나루의 풍경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나루의 풍경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는 500007868과 동일한 자료이다.
        • 등록번호 : 500009311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나루의 풍경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나루의 풍경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는 500007868과 동일한 자료이다.
    •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나루의 풍경
      • 500009311
        일제강점기 공주 금강나루의 풍경
      • 조선철도선로안내: 부강-공주간 정기연락선
        조선철도선로안내: 부강-공주간 정기연락선
        1911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발행한에 수록된 부강에서 공주를 오가는 연락선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 등록번호 : 200052551
        • 생산일자 : 1911.00.00
        •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조선철도선로안내: 부강-공주간 정기연락선
        조선철도선로안내: 부강-공주간 정기연락선
        1911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발행한에 수록된 부강에서 공주를 오가는 연락선의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 조선철도선로안내: 부강-공주간 정기연락선
      • 200052551
        조선철도선로안내: 부강-공주간 정기연락선
      •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
        1912년 Fleming H.Revell이 저술한 에 수록된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이다. 본 자료는 현재의 영명학교가 위치한 곳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선교사 가옥의 모습도 함께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 등록번호 : 200052548
        • 생산일자 : 1912.00.00
        •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
        1912년 Fleming H.Revell이 저술한 에 수록된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이다. 본 자료는 현재의 영명학교가 위치한 곳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선교사 가옥의 모습도 함께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
      • 200052548
        공주 감리교 본부 전경
      • 1910년대 부여부근의 백제유적도
        1910년대 부여부근의 백제유적도
        1916년 3월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고적조사도보에 수록된 부여 부근의 백제유적분포도이다.
        • 등록번호 : 600000740
        • 생산일자 : 1916.03.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10년대 부여부근의 백제유적도
        1910년대 부여부근의 백제유적도
        1916년 3월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고적조사도보에 수록된 부여 부근의 백제유적분포도이다.
    • 1910년대 부여부근의 백제유적도
      • 600000740
        1910년대 부여부근의 백제유적도
      • 1916년 공산성 고적조사지도
        1916년 공산성 고적조사지도
        1916년 3월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고적조사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부근의 지도이다. 본 지도는 1913년 이전의 측량자료에 기초하여 제작한 지도로 추정된다. 공주시가지의 우편국의 위치가 1913년 반죽동으로 이전하기 전의 위치로 수록되어 있기에 본 지도는 고적조사도보가 편찬된 1916년보다 이전의 자료로 볼 수 있다.
        • 등록번호 : 600000739
        • 생산일자 : 1916.03.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16년 공산성 고적조사지도
        1916년 공산성 고적조사지도
        1916년 3월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고적조사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부근의 지도이다. 본 지도는 1913년 이전의 측량자료에 기초하여 제작한 지도로 추정된다. 공주시가지의 우편국의 위치가 1913년 반죽동으로 이전하기 전의 위치로 수록되어 있기에 본 지도는 고적조사도보가 편찬된 1916년보다 이전의 자료로 볼 수 있다.
    • 1916년 공산성 고적조사지도
      • 600000739
        1916년 공산성 고적조사지도
      • 1911년 공주지도
        1911년 공주지도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공주시내와 주요도로망이 담겨있는 지도이다.
        • 등록번호 : 600000731
        • 생산일자 : 1911.05.11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11년 공주지도
        1911년 공주지도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공주시내와 주요도로망이 담겨있는 지도이다.
    • 1911년 공주지도
      • 600000731
        1911년 공주지도
      • 공산성에서 바라본 1910년대 공주 시가지 엽서
        공산성에서 바라본 1910년대 공주 시가지 엽서
        공주에서는 시가지 정비계획에 따라 신작로를 새로 내고, 충남행정의 수부지로서 공주지방법원과 우편국, 경찰서 등 새로운 관공서가 들어섰다. 또 금강과 이어지는 제민천 하류를 개간하여 저습지의 활용도를 높였다. 먼저, 차와 사람이 안전하게 다닐 수 있는 도로가 확장되었다.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제민천 제방을 정비하였고, 자주 범람하던 하류는 매립하여 시장을…
        • 등록번호 : 500008895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공산성에서 바라본 1910년대 공주 시가지 엽서
        공산성에서 바라본 1910년대 공주 시가지 엽서
        공주에서는 시가지 정비계획에 따라 신작로를 새로 내고, 충남행정의 수부지로서 공주지방법원과 우편국, 경찰서 등 새로운 관공서가 들어섰다. 또 금강과 이어지는 제민천 하류를 개간하여 저습지의 활용도를 높였다. 먼저, 차와 사람이 안전하게 다닐 수 있는 도로가 확장되었다.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제민천 제방을 정비하였고, 자주 범람하던 하류는 매립하여 시장을…
    • 공산성에서 바라본 1910년대 공주 시가지 엽서
      • 500008895
        공산성에서 바라본 1910년대 공주 시가지 엽서
      •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500007856의 복본이다.
        • 등록번호 : 500008248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500007856의 복본이다.
    •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 500008248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파노라마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파노라마 엽서
        선교사 가옥 부근에서 내려다 본 북쪽 공주 시가지의 모습이다. 공주지방법원과 앵산공원을 중심으로 하얀 벚꽃이 피었으며, 특히 공산성으로 가는 옛 길을 따라 벚꽃터널이 조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현 공주역사영상관의 전신으로 1923년 건립된 충남금융조합연합회관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중엽 이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 등록번호 : 500008247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파노라마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파노라마 엽서
        선교사 가옥 부근에서 내려다 본 북쪽 공주 시가지의 모습이다. 공주지방법원과 앵산공원을 중심으로 하얀 벚꽃이 피었으며, 특히 공산성으로 가는 옛 길을 따라 벚꽃터널이 조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현 공주역사영상관의 전신으로 1923년 건립된 충남금융조합연합회관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중엽 이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파노라마 엽서
      • 500008247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파노라마 엽서
      • 공산성에서 바라본 1900년대 공주부
        공산성에서 바라본 1900년대 공주부
        대한제국시기인 1909년 공주 시가지 모습으로 공산성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근대적인 관공서가 들어서기 전의 모습으로 시가지 정비가 이뤄지지 않았으며, 충청감영의 옛 건물로 포정사나 선화당, 객사, 향옥 등 조선시대 지방치소로서의 모습이 남아있다. 또한 공산성에서 중동으로 이어지는 대로가 일찍부터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엽서 속 모습은…
        • 등록번호 : 500008246
        • 생산일자 : 1909.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공산성에서 바라본 1900년대 공주부
        공산성에서 바라본 1900년대 공주부
        대한제국시기인 1909년 공주 시가지 모습으로 공산성에서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근대적인 관공서가 들어서기 전의 모습으로 시가지 정비가 이뤄지지 않았으며, 충청감영의 옛 건물로 포정사나 선화당, 객사, 향옥 등 조선시대 지방치소로서의 모습이 남아있다. 또한 공산성에서 중동으로 이어지는 대로가 일찍부터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엽서 속 모습은…
    • 공산성에서 바라본 1900년대 공주부
      • 500008246
        공산성에서 바라본 1900년대 공주부
      • 일제강점기 유성천에서 바라본 계룡산 풍경 엽서
        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300049
        • 등록번호 : 500008209
        • 생산일자 : 1926.10.21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산>계룡산
      • 일제강점기 유성천에서 바라본 계룡산 풍경 엽서
        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300049
      • 500008209
        일제강점기 유성천에서 바라본 계룡산 풍경 엽서
      • 일제강점기 부강의 금강변 풍경 엽서
        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160170
        • 등록번호 : 500008208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일제강점기 부강의 금강변 풍경 엽서
        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160170
      • 500008208
        일제강점기 부강의 금강변 풍경 엽서
      •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산성 방향인 북쪽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현재 중동 큰사거리 부근에 충청병영의 군영지인 우영(右營)이 있던 장소를 희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조선후기 공주목은 공주진영이 설립되어 충청우영으로서 1895년(고종 32) 폐지될 때까지 중요한 군사기능을 했다. 한편 멀리 공산성의 쌍수정을 비롯하여 진남루 부근 옛…
        • 등록번호 : 500008204
        • 생산일자 : 190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산성 방향인 북쪽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현재 중동 큰사거리 부근에 충청병영의 군영지인 우영(右營)이 있던 장소를 희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조선후기 공주목은 공주진영이 설립되어 충청우영으로서 1895년(고종 32) 폐지될 때까지 중요한 군사기능을 했다. 한편 멀리 공산성의 쌍수정을 비롯하여 진남루 부근 옛…
    •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
      • 500008204
        앵산공원에서 바라본 공산성과 시가지 엽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