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일반검색

검색안내

검색결과 : 83
  • 주제분류  지리,환경
  • 형태분류  문서류
      •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1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1
        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7857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1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1
        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1
      • 500007857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1
      •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7856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 부근에 설치된 금강 목교의 파노라마 사진그림엽서이다.
    •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 500007856
        일제강점기 공주 목교 전경 엽서 2
      •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7465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금강
      •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 500007465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과 배다리 엽서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과 배다리 엽서
        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2시간씩 연결된 배를 풀어 나룻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다리를 열고 닫았다.
        • 등록번호 : 500007399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과 배다리 엽서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과 배다리 엽서
        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2시간씩 연결된 배를 풀어 나룻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다리를 열고 닫았다.
    •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과 배다리 엽서
      • 500007399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과 배다리 엽서
      •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 등록번호 : 500007377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 500007377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과 배다리의 모습이다. 멀리 쌍신동의 정안천 제방과 연미산 능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주교가 가설된 1920년부터 금강교가 가설되기 전인 1933년 이전의 모습으로 보인다.
        • 등록번호 : 500007376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과 배다리의 모습이다. 멀리 쌍신동의 정안천 제방과 연미산 능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주교가 가설된 1920년부터 금강교가 가설되기 전인 1933년 이전의 모습으로 보인다.
    •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 500007376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 등록번호 : 500007374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 500007374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일제강점기 공주 계룡산 단풍나무 숲길 모습이다. 단풍놀이를 즐기기 위해 계룡산을 찾은 지역유지와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우측의 조선인과 대비를 이루는 점이 인상적이다.
        • 등록번호 : 500007467
        • 생산일자 : 1923.03.25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산>계룡산
      •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일제강점기 공주 계룡산 단풍나무 숲길 모습이다. 단풍놀이를 즐기기 위해 계룡산을 찾은 지역유지와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우측의 조선인과 대비를 이루는 점이 인상적이다.
    •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 500007467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 1995년 제4회 시민에 의한 대기질조사 대전충남지역 대기오염도 측정결과문
        1995년 제4회 시민에 의한 대기질조사 대전충남지역 대기오염도 측정결과문
        1995년 시민에 의한 대기질조사 대전충남지역 대기오염도 측정결과문이다. 참여단체로 천안YMCA,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 공주시민모임한겨레, 대전환경운동연합이 있다. 측정주관은 대전환경운동연합이 했다. 1995년 당시 공주의 이산화질소농도가 측정된 결과문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당시 공주의 도로변 평균 농도는 36.94ppb이다.
        • 등록번호 : 500007316
        • 생산일자 : 1995.01
        • 형태 : 문서류>일반문서
        • 주제 : 지리,환경>환경문제>환경오염문제
      • 1995년 제4회 시민에 의한 대기질조사 대전충남지역 대기오염도 측정결과문
        1995년 제4회 시민에 의한 대기질조사 대전충남지역 대기오염도 측정결과문
        1995년 시민에 의한 대기질조사 대전충남지역 대기오염도 측정결과문이다. 참여단체로 천안YMCA,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 공주시민모임한겨레, 대전환경운동연합이 있다. 측정주관은 대전환경운동연합이 했다. 1995년 당시 공주의 이산화질소농도가 측정된 결과문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당시 공주의 도로변 평균 농도는 36.94ppb이다.
    • 1995년 제4회 시민에 의한 대기질조사 대전충남지역 대기오염도 측정결과문
      • 500007316
        1995년 제4회 시민에 의한 대기질조사 대전충남지역 대기오염도 측정결과문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등록번호 : 500010506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500010506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등록번호 : 500008147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500008147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 등록번호 : 500010505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 500010505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1910년대 말, 앵산공원에서 공주시가지의 봉황산 방향을 바라본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의 중앙에 충남도청 포정사의 모습과 함께 당시의 욱정거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13과 파노라마 형식의 사진그림엽서로 추정되고, 500008147의 복본이다.
        • 등록번호 : 500008755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1910년대 말, 앵산공원에서 공주시가지의 봉황산 방향을 바라본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의 중앙에 충남도청 포정사의 모습과 함께 당시의 욱정거리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13과 파노라마 형식의 사진그림엽서로 추정되고, 500008147의 복본이다.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500008755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에서 바라본 제민천 범람 모습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에서 바라본 제민천 범람 모습
        1917년 무렵 홍수로 제민천 하류가 물에 잠겼을 때, 금강의 나룻배가 드나들던 모습으로 추정되는 사진그림엽서이다. 엽서 왼쪽 정지산과 오른쪽에 공산성, 하얀색의 석유창고를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8106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에서 바라본 제민천 범람 모습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에서 바라본 제민천 범람 모습
        1917년 무렵 홍수로 제민천 하류가 물에 잠겼을 때, 금강의 나룻배가 드나들던 모습으로 추정되는 사진그림엽서이다. 엽서 왼쪽 정지산과 오른쪽에 공산성, 하얀색의 석유창고를 확인할 수 있다.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에서 바라본 제민천 범람 모습
      • 500008106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에서 바라본 제민천 범람 모습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등록번호 : 500008113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50000811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3
        1910년대 말,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 등록번호 : 500008111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3
        1910년대 말,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3
      • 500008111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3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2
        1910년대 말,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 등록번호 : 500008112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2
        1910년대 말,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2
      • 500008112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2
      •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2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2
        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 등록번호 : 500008122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산>계룡산
      •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2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2
        이 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중 하나이다. 계룡산의 맑고 깨끗한 계곡을 배경으로 지팡이를 들고 등산한 사람의 모습이다. 그 중 일부는 원판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함께 가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물의 복장이 말끔한 양복이나 제복차림을 한 것으로 보아 지역유지나 관인 또는 군인인 듯 하며, 간간히 두건을 쓰고 허림한 차림을 한 조선인 짐꾼도…
    •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2
      • 500008122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2
      •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민가 뒤 왼쪽부터 취원루로 추정되는 누정과 일제가 세운 초혼각(초혼사)를 비롯하여 미국인 선교사가 설립한 영명학교와…
        • 등록번호 : 500008117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민가 뒤 왼쪽부터 취원루로 추정되는 누정과 일제가 세운 초혼각(초혼사)를 비롯하여 미국인 선교사가 설립한 영명학교와…
    •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 500008117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5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5
        일제강점기 계룡산 연천봉 자락에 위치한 연천사(蓮天寺)로 지금의 등운암이다. 조선시대에는 정씨(鄭氏)의 왕기(王氣)를 누른다는 뜻의 압정사(壓鄭寺)라 불렸다. 이 사진그림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인데, 엽서 속 인물은 본 사진을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추가 삽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 등록번호 : 500008124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산>계룡산
      •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5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5
        일제강점기 계룡산 연천봉 자락에 위치한 연천사(蓮天寺)로 지금의 등운암이다. 조선시대에는 정씨(鄭氏)의 왕기(王氣)를 누른다는 뜻의 압정사(壓鄭寺)라 불렸다. 이 사진그림엽서는 계룡산의 절승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인데, 엽서 속 인물은 본 사진을 촬영 후 후편집을 통해 채색과 추가 삽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5
      • 500008124
        일제강점기 계룡산의 절승 엽서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