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일반검색

검색안내

검색결과 : 237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형태분류  문서류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속 소학교 전경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속 소학교 전경
        1938년 개교한 공주여사범 부속 소학교의 학사 풍경을 기반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여사범 부속 소학교는 1941년 공주여사범 부속 국민학교로 개칭한 후 오늘날 공주교대부초로 이어지는 학교이다.
        • 등록번호 : 500008134
        • 생산일자 : 1938.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속 소학교 전경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속 소학교 전경
        1938년 개교한 공주여사범 부속 소학교의 학사 풍경을 기반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여사범 부속 소학교는 1941년 공주여사범 부속 국민학교로 개칭한 후 오늘날 공주교대부초로 이어지는 학교이다.
    •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속 소학교 전경
      • 500008134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속 소학교 전경
      •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지금의 공산성 공산정 부근에서 동쪽을 바라본 모습으로,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와 금강이 보인다. 공북루 밖에 있던 민가는 사라지고, 전답이 개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8131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지금의 공산성 공산정 부근에서 동쪽을 바라본 모습으로,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와 금강이 보인다. 공북루 밖에 있던 민가는 사라지고, 전답이 개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 500008131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 등록번호 : 500008130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 500008130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 일제강점기 제민천 공주교 엽서
        일제강점기 제민천 공주교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앞 욱정거리(現 감영길)에서 제민천을 가로지르는 공주교의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당시 도청 길목에 있는 욱교(旭橋)가 붕괴되었는데, 이듬해 6월 콘크리트 시멘트 재질의 다리로 바꾸며 그 이름도 공주교(公州橋)로 개칭했다. 현재 이 다리는 옛 백제의 왕실사찰인 대통사지 부근에 있어 대통교(大通橋)로 불린다.
        • 등록번호 : 500008129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제민천 공주교 엽서
        일제강점기 제민천 공주교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앞 욱정거리(現 감영길)에서 제민천을 가로지르는 공주교의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당시 도청 길목에 있는 욱교(旭橋)가 붕괴되었는데, 이듬해 6월 콘크리트 시멘트 재질의 다리로 바꾸며 그 이름도 공주교(公州橋)로 개칭했다. 현재 이 다리는 옛 백제의 왕실사찰인 대통사지 부근에 있어 대통교(大通橋)로 불린다.
    • 일제강점기 제민천 공주교 엽서
      • 500008129
        일제강점기 제민천 공주교 엽서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계룡산 갑사 대적전과 부도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계룡산 갑사 대적전과 부도
        갑사의 비로자나불과 아미타불, 석가모니불의 삼신불을 모시는 대적전(大寂殿)과 보물 제257호로 지정된 갑사 부도의 모습이다. 엽서 속 설명에는 계룡산 갑사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있는데, '산 전체가 기암괴석으로 겹겹이 둘러싸여 높이가 약 850m이다. 봄에는 진달래, 가을에는 단풍을 보러 온 나들이객이 적지 않다. 삼한시대 3대 사찰인 갑사는 가장 영험하고…
        • 등록번호 : 500008128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갑사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계룡산 갑사 대적전과 부도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계룡산 갑사 대적전과 부도
        갑사의 비로자나불과 아미타불, 석가모니불의 삼신불을 모시는 대적전(大寂殿)과 보물 제257호로 지정된 갑사 부도의 모습이다. 엽서 속 설명에는 계룡산 갑사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있는데, '산 전체가 기암괴석으로 겹겹이 둘러싸여 높이가 약 850m이다. 봄에는 진달래, 가을에는 단풍을 보러 온 나들이객이 적지 않다. 삼한시대 3대 사찰인 갑사는 가장 영험하고…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계룡산 갑사 대적전과 부도
      • 500008128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계룡산 갑사 대적전과 부도
      • 공주경찰서 엽서
        공주경찰서 엽서
        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양측으로 작은 게시판 2기가 세워져 있다. 또, 우측으로 망루역할을 위한 높은 사다리도 세워져있다.
        • 등록번호 : 500008102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공주경찰서 엽서
        공주경찰서 엽서
        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양측으로 작은 게시판 2기가 세워져 있다. 또, 우측으로 망루역할을 위한 높은 사다리도 세워져있다.
    • 공주경찰서 엽서
      • 500008102
        공주경찰서 엽서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초혼사 엽서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초혼사 엽서
        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위치한 초혼사의 모습이다. 초혼사는 일제를 위해 죽은 이를 위해 설치한 시설로 초혼제를 열었다. 실제로 1926년 매일신보에 따르면 10월 21일 충남의 순직경관을 위한 초혼제를 앵산공원 초혼각에서 거행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기모노를 차려입은 사람 앞에 두 손을 모으고 차렷 자세로 주눅든 조선인 아이의 모습이…
        • 등록번호 : 500008101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초혼사 엽서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초혼사 엽서
        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위치한 초혼사의 모습이다. 초혼사는 일제를 위해 죽은 이를 위해 설치한 시설로 초혼제를 열었다. 실제로 1926년 매일신보에 따르면 10월 21일 충남의 순직경관을 위한 초혼제를 앵산공원 초혼각에서 거행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기모노를 차려입은 사람 앞에 두 손을 모으고 차렷 자세로 주눅든 조선인 아이의 모습이…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초혼사 엽서
      • 500008101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초혼사 엽서
      • 일제강점기 공주 앵산공원 대신궁
        일제강점기 공주 앵산공원 대신궁
        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1920년대 초까지 있었던 일제의 대신궁이다. 일제는 조선에 거주하던 일본인을 위해 곳곳의 사적지를 공원화하면서 그곳에 신사를 건립했다. 공주에서는 공산성을 산성공원이라 격하시키고, 미국 선교사가 세운 영명학교 인근을 앵산공원으로 지정했다. 특히 앵산공원에는 초혼사(초혼각)과 대신궁을 함께 세웠다.
        • 등록번호 : 500008098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 앵산공원 대신궁
        일제강점기 공주 앵산공원 대신궁
        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1920년대 초까지 있었던 일제의 대신궁이다. 일제는 조선에 거주하던 일본인을 위해 곳곳의 사적지를 공원화하면서 그곳에 신사를 건립했다. 공주에서는 공산성을 산성공원이라 격하시키고, 미국 선교사가 세운 영명학교 인근을 앵산공원으로 지정했다. 특히 앵산공원에는 초혼사(초혼각)과 대신궁을 함께 세웠다.
    • 일제강점기 공주 앵산공원 대신궁
      • 500008098
        일제강점기 공주 앵산공원 대신궁
      •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터널 엽서 1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터널 엽서 1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등록번호 : 500008097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터널 엽서 1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터널 엽서 1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터널 엽서 1
      • 500008097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터널 엽서 1
      • 일제강점기 정수장 배수탑 엽서
        일제강점기 정수장 배수탑 엽서
        현재의 공주고등학교 뒤편 옛 충령탑 부근에 위치한 정수장 배수탑의 모습이다. 공주의 상수도시설은 1923년 완공되어 동년 4월 1일부터 급수를 시작했다. 그러나 수돗물을 이요하는 사람은 대부분 일본인이었고, 조선인은 5명 중 1명 정도만 집에서 식수를 공급받았다. 정수장에서는 수원지에서 물을 끌어와 정수하였는데, 비가 많이 오면 탁수로 인해 식수난을 격었던…
        • 등록번호 : 500008095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정수장 배수탑 엽서
        일제강점기 정수장 배수탑 엽서
        현재의 공주고등학교 뒤편 옛 충령탑 부근에 위치한 정수장 배수탑의 모습이다. 공주의 상수도시설은 1923년 완공되어 동년 4월 1일부터 급수를 시작했다. 그러나 수돗물을 이요하는 사람은 대부분 일본인이었고, 조선인은 5명 중 1명 정도만 집에서 식수를 공급받았다. 정수장에서는 수원지에서 물을 끌어와 정수하였는데, 비가 많이 오면 탁수로 인해 식수난을 격었던…
    • 일제강점기 정수장 배수탑 엽서
      • 500008095
        일제강점기 정수장 배수탑 엽서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박물관 선화당 건물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박물관 선화당 건물
        엽서 속 선화당은 본래 충남도청 청사의 본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다.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한 후 앵산공원으로 이건되어 백제박물관으로 사용되었다. 이 엽서는 1930년대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된 것이다.
        • 등록번호 : 500008094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박물관 선화당 건물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박물관 선화당 건물
        엽서 속 선화당은 본래 충남도청 청사의 본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이다.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한 후 앵산공원으로 이건되어 백제박물관으로 사용되었다. 이 엽서는 1930년대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중 하나로 발행된 것이다.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박물관 선화당 건물
      • 500008094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박물관 선화당 건물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공주공립고등여학교가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 부지로 이전했을 당시의 모습이다. 1933년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하자 보상책으로 도청건물을 활용한 공주농업고등학교가 개교되었다. 이후, 실습지의 부족으로 당시 상반정(現 봉황동)에서 폐교된 도립사범학교 건물을 사용하던 공주공립고등여학교와 교사를 맞바꿔 1934년부터 1949까지 이곳에서 교육이 이뤄졌다. 한편,…
        • 등록번호 : 500008093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공주공립고등여학교가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 부지로 이전했을 당시의 모습이다. 1933년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하자 보상책으로 도청건물을 활용한 공주농업고등학교가 개교되었다. 이후, 실습지의 부족으로 당시 상반정(現 봉황동)에서 폐교된 도립사범학교 건물을 사용하던 공주공립고등여학교와 교사를 맞바꿔 1934년부터 1949까지 이곳에서 교육이 이뤄졌다. 한편,…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 500008093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관립여자사범학교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관립여자사범학교
        현 공주교육대학교의 전신인 공주여자사범학교의 모습이다. 1938년 일락산 자락에 세워졌다. 본 자료는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이다.
        • 등록번호 : 500008092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관립여자사범학교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관립여자사범학교
        현 공주교육대학교의 전신인 공주여자사범학교의 모습이다. 1938년 일락산 자락에 세워졌다. 본 자료는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이다.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관립여자사범학교
      • 500008092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관립여자사범학교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농업학교의 풍경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농업학교의 풍경
        1933년 충남도청 내 건물에서 개교한 공주공립농업학교가 학생들의 실습교육을 위해 1938년 장기면 신관리 196번지(現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부지)에 이전했을 당시 교사의 모습이다.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로 발행된 이 사진그림엽서 속 모습 그대로 공주공립농업학교는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 등록번호 : 500008091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농업학교의 풍경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농업학교의 풍경
        1933년 충남도청 내 건물에서 개교한 공주공립농업학교가 학생들의 실습교육을 위해 1938년 장기면 신관리 196번지(現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부지)에 이전했을 당시 교사의 모습이다.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로 발행된 이 사진그림엽서 속 모습 그대로 공주공립농업학교는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농업학교의 풍경
      • 500008091
        일제강점기 사적의 공주 엽서 시리즈 - 공주공립농업학교의 풍경
      •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엽서의 상단에 68년 간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사실과 진남루의 규모가 붉은 글씨로 기록되어 있다.
        • 등록번호 : 500007853
        • 생산일자 : 1929.10.15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엽서의 상단에 68년 간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사실과 진남루의 규모가 붉은 글씨로 기록되어 있다.
    •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 500007853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목교 엽서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목교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 목교(木橋)의 모습이다. 공주에서 출발하여 조치원과 청주를 잇는 공청가도(公淸街道)가 만들어지고, 공주와 조치원 사이에 근대적인 신작로가 나면서 금강을 사이에 두고 전막에서 공산성으로 건너는 일이 많아졌다. 그러면서 나룻배 보다는 언제든 쉽게 금강을 건널 수 있도록 다리를 만들기도 하여 나무로 가설한 목교가 설치되었다. 엽서…
        • 등록번호 : 500007852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목교 엽서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목교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공북루와 금강 목교(木橋)의 모습이다. 공주에서 출발하여 조치원과 청주를 잇는 공청가도(公淸街道)가 만들어지고, 공주와 조치원 사이에 근대적인 신작로가 나면서 금강을 사이에 두고 전막에서 공산성으로 건너는 일이 많아졌다. 그러면서 나룻배 보다는 언제든 쉽게 금강을 건널 수 있도록 다리를 만들기도 하여 나무로 가설한 목교가 설치되었다. 엽서…
    •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목교 엽서
      • 500007852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목교 엽서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옛 중군영지와 공북루
        일제강점기 공산성 옛 중군영지와 공북루
        조선후기 충청병영의 중군영지에 해당하는 이곳은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가 있는 장소이다. 1895년 갑오개혁에 따라 전국의 산성과 군영을 폐지하면서 이곳의 군영 관련시설은 점차 없어졌다. 이후 공주 갑부 김갑순에게 불하되면서 민가와 시장이 들어서 성안마을이 형성되었다. 초가지붕이 켜켜이 조성된 마을의 모습이 옛 고성과 일상생활의 대비를 보여준다.
        • 등록번호 : 500007851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옛 중군영지와 공북루
        일제강점기 공산성 옛 중군영지와 공북루
        조선후기 충청병영의 중군영지에 해당하는 이곳은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가 있는 장소이다. 1895년 갑오개혁에 따라 전국의 산성과 군영을 폐지하면서 이곳의 군영 관련시설은 점차 없어졌다. 이후 공주 갑부 김갑순에게 불하되면서 민가와 시장이 들어서 성안마을이 형성되었다. 초가지붕이 켜켜이 조성된 마을의 모습이 옛 고성과 일상생활의 대비를 보여준다.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옛 중군영지와 공북루
      • 500007851
        일제강점기 공산성 옛 중군영지와 공북루
      •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엽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엽서
        지금의 공주문화원 앞에 위치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이다. 이곳능 1923년에 건립되었는데, 공주읍사무소와 미술학원을 거쳐 현재는 공주역사영상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 등록번호 : 500007850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엽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엽서
        지금의 공주문화원 앞에 위치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이다. 이곳능 1923년에 건립되었는데, 공주읍사무소와 미술학원을 거쳐 현재는 공주역사영상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엽서
      • 500007850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엽서
      •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등록번호 : 500007849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성내에 많은 벚나무를 심었는데, 이때 공산성과 가까운 진입로 부근에도 가로수로 벚나무를 식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 500007849
        일제강점기 공주 벚꽃도로 엽서
      •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바라본 공북루 엽서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바라본 공북루 엽서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촬영한 공산성 공북루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엽서의 후면에는 충청남도 공주에서 일본 오사카로 보내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엽서를 보내는 인물이 본 엽서의 사진을 공주의 명소로 설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7847
        • 생산일자 : 1915.04.02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바라본 공북루 엽서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바라본 공북루 엽서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촬영한 공산성 공북루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엽서의 후면에는 충청남도 공주에서 일본 오사카로 보내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엽서를 보내는 인물이 본 엽서의 사진을 공주의 명소로 설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바라본 공북루 엽서
      • 500007847
        일제강점기 금강 위에서 바라본 공북루 엽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