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일반검색

검색안내

검색결과 : 118
  • 형태분류  박물류
  • 시대분류  현대
  • 출처분류  개인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우성면 죽당리 금강변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우성면 죽당리 금강변의 모습이다. 당시 금강 둔치에 쌓인 모래사장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600000647
        • 생산일자 : 1989.08.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우성면 죽당리 금강변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우성면 죽당리 금강변의 모습이다. 당시 금강 둔치에 쌓인 모래사장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600000647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우성면 죽당리 금강변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태봉동 건지산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태봉동 건지산 일원의 항공사진이다.
        • 등록번호 : 600000646
        • 생산일자 : 1989.08.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태봉동 건지산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태봉동 건지산 일원의 항공사진이다.
      • 600000646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태봉동 건지산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이인면 신흥리 귀양봉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이인면 신흥리의 귀양봉 일원의 모습이다. 당시 금강의 수려한 모습을 함께 확인할 수 있으며, 숭선군 묘역의 위치도 본 자료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600000643
        • 생산일자 : 1989.08.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이인면 신흥리 귀양봉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이인면 신흥리의 귀양봉 일원의 모습이다. 당시 금강의 수려한 모습을 함께 확인할 수 있으며, 숭선군 묘역의 위치도 본 자료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 600000643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이인면 신흥리 귀양봉 일원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이인면 구암리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이인면 구암리 일원의 항공사진이다. 사진의 하단부에 드러난 당시 이인면사무소 소재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600000641
        • 생산일자 : 1989.08.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이인면 구암리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이인면 구암리 일원의 항공사진이다. 사진의 하단부에 드러난 당시 이인면사무소 소재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600000641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이인면 구암리 일원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일원의 항공사진이다. 본 자료를 통해 당시 금강에 쌓인 모래사장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600000640
        • 생산일자 : 1989.08.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일원의 항공사진이다. 본 자료를 통해 당시 금강에 쌓인 모래사장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600000640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일원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이인면 초봉리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이인면 초봉리 일원의 항공사진이다.
        • 등록번호 : 600000639
        • 생산일자 : 1989.08.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이인면 초봉리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이인면 초봉리 일원의 항공사진이다.
      • 600000639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이인면 초봉리 일원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운곡리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운곡리 일원의 모습이다. 사진 우측편에 금강의 모습이 살짝 드러난다.
        • 등록번호 : 600000638
        • 생산일자 : 1989.08.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운곡리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운곡리 일원의 모습이다. 사진 우측편에 금강의 모습이 살짝 드러난다.
      • 600000638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운곡리 일원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이인면 달산리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이인면 달산리와 이인면 읍내의 항공사진이다. 부여로 향하는 40번 국도의 모습이 잘 드러나며 사진 하단으로 보이는 이인면 읍내의 모습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600000634
        • 생산일자 : 1989.08.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이인면 달산리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이인면 달산리와 이인면 읍내의 항공사진이다. 부여로 향하는 40번 국도의 모습이 잘 드러나며 사진 하단으로 보이는 이인면 읍내의 모습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 600000634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이인면 달산리 일원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정치리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정치리 일원의 모습이다. 사진 하단부로 당시 탄천면 읍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600000632
        • 생산일자 : 1989.08.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정치리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정치리 일원의 모습이다. 사진 하단부로 당시 탄천면 읍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600000632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정치리 일원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가척리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가척리 일원의 항공사진이다.
        • 등록번호 : 600000620
        • 생산일자 : 1989.08.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가척리 일원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가척리 일원의 항공사진이다.
      • 600000620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가척리 일원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금강-자성천 합수부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오두재 부근의 항공촬영사진이다. 본 사진은 청양군 쪽의 자성천이 금강과 합수되는 곳의 모습이다. 금강에 쌓인 모래사장의 모습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600000619
        • 생산일자 : 1989.08.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금강-자성천 합수부
        1989년 당시 국립지리원에서 촬영한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오두재 부근의 항공촬영사진이다. 본 사진은 청양군 쪽의 자성천이 금강과 합수되는 곳의 모습이다. 금강에 쌓인 모래사장의 모습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 600000619
        1989년 항공촬영사진 -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금강-자성천 합수부
      • 기억 속 바나나 빵집
        기억 속 바나나 빵집
        2021년 10월 20일 공주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공주학 구술총서 제2집 '처음 뵙겠습니다! 청춘공주' 144쪽에 실린 삽화이다. 공주대학교 근처에 있었던 음악다방 상록원을 상상하여 그린 것이다.
        • 등록번호 : 600000924
        • 생산일자 : 2021
        • 형태 : 박물류>그림
        • 주제 : 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기억 속 바나나 빵집
        기억 속 바나나 빵집
        2021년 10월 20일 공주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공주학 구술총서 제2집 '처음 뵙겠습니다! 청춘공주' 144쪽에 실린 삽화이다. 공주대학교 근처에 있었던 음악다방 상록원을 상상하여 그린 것이다.
    • 기억 속 바나나 빵집
      • 600000924
        기억 속 바나나 빵집
      • 기억 속 상록원의 모습
        기억 속 상록원의 모습
        2021년 10월 20일 공주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공주학 구술총서 제2집 '처음 뵙겠습니다! 청춘공주' 81쪽에 실린 삽화이다. 공주사대부고 앞에 있던 바나나 빵집을 상상하여 그린 것이다.
        • 등록번호 : 600000923
        • 생산일자 : 2021
        • 형태 : 박물류>그림
        • 주제 : 역사,유적,인물>역사>현대
      • 기억 속 상록원의 모습
        기억 속 상록원의 모습
        2021년 10월 20일 공주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공주학 구술총서 제2집 '처음 뵙겠습니다! 청춘공주' 81쪽에 실린 삽화이다. 공주사대부고 앞에 있던 바나나 빵집을 상상하여 그린 것이다.
    • 기억 속 상록원의 모습
      • 600000923
        기억 속 상록원의 모습
      • 금강경탑다라니(金剛經塔陀羅尼) 본문과 봉투
        금강경탑다라니(金剛經塔陀羅尼) 본문과 봉투
        불교의 경전인 금강경(金剛經)의 원문 글자를 불탑의 형식으로 새겨넣은 경탑(經塔) 불화(佛畵)다.
        • 등록번호 : 600000921
        • 생산일자 : 미상
        • 형태 : 박물류>그림
        • 주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금강경탑다라니(金剛經塔陀羅尼) 본문과 봉투
        금강경탑다라니(金剛經塔陀羅尼) 본문과 봉투
        불교의 경전인 금강경(金剛經)의 원문 글자를 불탑의 형식으로 새겨넣은 경탑(經塔) 불화(佛畵)다.
    • 금강경탑다라니(金剛經塔陀羅尼) 본문과 봉투
      • 600000921
        금강경탑다라니(金剛經塔陀羅尼) 본문과 봉투
      • 행서 필적 두 통
        행서 필적 두 통
        윤여헌 교수가 소장하고 있던 행초서의 필적 두 통이다.
        • 등록번호 : 600000920
        • 생산일자 : 미상
        • 형태 : 박물류>서예, 탁본
        • 주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행서 필적 두 통
        행서 필적 두 통
        윤여헌 교수가 소장하고 있던 행초서의 필적 두 통이다.
    • 행서 필적 두 통
      • 600000920
        행서 필적 두 통
      • 서예 작품(고도 공주의 새로운 이해)
        서예 작품(고도 공주의 새로운 이해)
        서예 작품이며, 그 내용 '고도 공주의 새로운 이해'로서 다섯장 모두 동일하나 서체는 예서와 해서, 행서로 다양하다.
        • 등록번호 : 600000919
        • 생산일자 : 미상
        • 형태 : 박물류>서예, 탁본
        • 주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서예 작품(고도 공주의 새로운 이해)
        서예 작품(고도 공주의 새로운 이해)
        서예 작품이며, 그 내용 '고도 공주의 새로운 이해'로서 다섯장 모두 동일하나 서체는 예서와 해서, 행서로 다양하다.
    • 서예 작품(고도 공주의 새로운 이해)
      • 600000919
        서예 작품(고도 공주의 새로운 이해)
      • 전각 견본
        전각 견본
        윤여헌 교수가 일부 각주를 달아둔 7개 6종(우측 상단 2개 중복)의 전각 견본이다.
        • 등록번호 : 600000918
        • 생산일자 : 미상
        • 형태 : 박물류>서예, 탁본
        • 주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전각 견본
        전각 견본
        윤여헌 교수가 일부 각주를 달아둔 7개 6종(우측 상단 2개 중복)의 전각 견본이다.
    • 전각 견본
      • 600000918
        전각 견본
      • 서예 작품(광초)
        서예 작품(광초)
        신원미상의 필자가 휘호한 초서 작품이며, 그 중에서 흘림의 정도가 심한 광초(狂草) 작품이다.
        • 등록번호 : 600000917
        • 생산일자 : 미상
        • 형태 : 박물류>서예, 탁본
        • 주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서예 작품(광초)
        서예 작품(광초)
        신원미상의 필자가 휘호한 초서 작품이며, 그 중에서 흘림의 정도가 심한 광초(狂草) 작품이다.
    • 서예 작품(광초)
      • 600000917
        서예 작품(광초)
      • 시전지판(詩箋紙板) 탁본
        시전지판(詩箋紙板) 탁본
        윤여헌 교수가 건탁식으로 탁인한 시전지판의 탁본이다. 좌편에는 화병 속 국화와 운문이, 우편에는 전각과 시문이 새겨져있으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風雲千載會
        바람과 구름이 천년만에 만나다. (임금과 신하가 조화를 이루는 모습)

        天地一家春
        하늘과 땅이 한가득 봄이로다.
        • 등록번호 : 600000916
        • 생산일자 : 미상
        • 형태 : 박물류>서예, 탁본
        • 주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시전지판(詩箋紙板) 탁본
        시전지판(詩箋紙板) 탁본
        윤여헌 교수가 건탁식으로 탁인한 시전지판의 탁본이다. 좌편에는 화병 속 국화와 운문이, 우편에는 전각과 시문이 새겨져있으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風雲千載會
        바람과 구름이 천년만에 만나다. (임금과 신하가 조화를 이루는 모습)

        天地一家春
        하늘과 땅이 한가득 봄이로다.
    • 시전지판(詩箋紙板) 탁본
      • 600000916
        시전지판(詩箋紙板) 탁본
      • 서예 작품(난재유림역자향)
        서예 작품(난재유림역자향)
        송강 지명연 씨가 임진년(2012년 추정) 새해에 휘호한 작품으로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歲在壬辰 吉祥如意
        임진년의 해, 생각한 것이 모두 길하고 상서롭기를

        蘭在幽林亦自香
        그윽한 숲 속의 난초는 또한 스스로 향기를 낸다. (or 홀로 향기롭다.)
        • 등록번호 : 600000915
        • 생산일자 : 2012
        • 형태 : 박물류>서예, 탁본
        • 주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서예 작품(난재유림역자향)
        서예 작품(난재유림역자향)
        송강 지명연 씨가 임진년(2012년 추정) 새해에 휘호한 작품으로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歲在壬辰 吉祥如意
        임진년의 해, 생각한 것이 모두 길하고 상서롭기를

        蘭在幽林亦自香
        그윽한 숲 속의 난초는 또한 스스로 향기를 낸다. (or 홀로 향기롭다.)
    • 서예 작품(난재유림역자향)
      • 600000915
        서예 작품(난재유림역자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