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일반검색

검색안내

검색결과 : 237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 형태분류  문서류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일제강점기 금제불상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에서 출토된 금제불상 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7521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일제강점기 금제불상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에서 출토된 금제불상 엽서이다.
      • 500007521
        일제강점기 금제불상 엽서
      • 일제강점기 백제 자기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부근에서 출토된 백제자기의 모습이다.
        • 등록번호 : 500007520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일제강점기 백제 자기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부근에서 출토된 백제자기의 모습이다.
      • 500007520
        일제강점기 백제 자기 엽서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의 윗편에 공산성과 쌍수정에 대한 설명이 쓰여있다. 설명에 의하면 '쌍수정은 조선개국 233(1625)년 인조가 한양의 난리(이괄의 난)를 피해 와서 난이 진압된 후, 왕이 머물던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웠다'고 표시되어 있다.
        • 등록번호 : 500007867
        • 생산일자 : 1929.1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의 윗편에 공산성과 쌍수정에 대한 설명이 쓰여있다. 설명에 의하면 '쌍수정은 조선개국 233(1625)년 인조가 한양의 난리(이괄의 난)를 피해 와서 난이 진압된 후, 왕이 머물던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웠다'고 표시되어 있다.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500007867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1911년 경술국치 1주년을 기념하여 발행된 시정기념 엽서 중 하나로 포정사 문루에 일장기가 나란히 걸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 등록번호 : 500007866
        • 생산일자 : 1911.08.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1911년 경술국치 1주년을 기념하여 발행된 시정기념 엽서 중 하나로 포정사 문루에 일장기가 나란히 걸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 500007866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에서 진행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 엽서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에서 진행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 엽서
        1911년 4월 3일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 일대에서 진행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 모습이다. 좌측의 동산은 현재의 영명중고등학교 부근 유관순 열사 동상이 위치한 곳으로, 나무를 심는 인부의 모습과 함께 취원루로 추정되는 누각의 지붕도 확인할 수 있다. 일제는 신무일왕 탄신을 기념하기 위해 해마다 전국 각지에서 식목사업을 벌였는데, 공주에서도 각…
        • 등록번호 : 500007863
        • 생산일자 : 1911.04.03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에서 진행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 엽서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에서 진행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 엽서
        1911년 4월 3일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 일대에서 진행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 모습이다. 좌측의 동산은 현재의 영명중고등학교 부근 유관순 열사 동상이 위치한 곳으로, 나무를 심는 인부의 모습과 함께 취원루로 추정되는 누각의 지붕도 확인할 수 있다. 일제는 신무일왕 탄신을 기념하기 위해 해마다 전국 각지에서 식목사업을 벌였는데, 공주에서도 각…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에서 진행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 엽서
      • 500007863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에서 진행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 엽서
      • 공산성 쌍수정에서 바라본 옛 중군영지
        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90086
        • 등록번호 : 500007862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공산성 쌍수정에서 바라본 옛 중군영지
        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90086
      • 500007862
        공산성 쌍수정에서 바라본 옛 중군영지
      • 일제강점기 공주 사곡면 마곡사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사곡면 마곡사 엽서
        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는 석가불과 약사불, 아미타불이 모셔진 대웅보전과 비로자나불이 모셔진 대광보전이 존재한다. 대광보전 마당에는 라마교 양식의 풍마동이 올려진 5층석탑이 세워져 있는데, 현재는 일제강점기 때보다 탑의 위치가 희지천 쪽으로 남진했음을 알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7861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일제강점기 공주 사곡면 마곡사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사곡면 마곡사 엽서
        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는 석가불과 약사불, 아미타불이 모셔진 대웅보전과 비로자나불이 모셔진 대광보전이 존재한다. 대광보전 마당에는 라마교 양식의 풍마동이 올려진 5층석탑이 세워져 있는데, 현재는 일제강점기 때보다 탑의 위치가 희지천 쪽으로 남진했음을 알 수 있다.
    • 일제강점기 공주 사곡면 마곡사 엽서
      • 500007861
        일제강점기 공주 사곡면 마곡사 엽서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인부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수원광교박물관 측에서 제공하는 500007462와 동일한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7860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인부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는 수원광교박물관 측에서 제공하는 500007462와 동일한 사진그림엽서이다.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500007860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일제강점기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 엽서
        일제강점기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 엽서
        일제강점기 대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와당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7519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일제강점기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 엽서
        일제강점기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 엽서
        일제강점기 대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와당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 일제강점기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 엽서
      • 500007519
        일제강점기 대통사지 출토 백제 와당 엽서
      •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연도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연도
        송산리고분군 제6호 무덤의 입구 연도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점에 비춰볼 때,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7518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연도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연도
        송산리고분군 제6호 무덤의 입구 연도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점에 비춰볼 때,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연도
      • 500007518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연도
      • 일제강점기 석불광배 엽서
        일제강점기 석불광배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금학동 일원에서 출토된 석불광배의 모습이다.
        • 등록번호 : 500007517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일제강점기 석불광배 엽서
        일제강점기 석불광배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금학동 일원에서 출토된 석불광배의 모습이다.
    • 일제강점기 석불광배 엽서
      • 500007517
        일제강점기 석불광배 엽서
      •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백호 벽화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백호 벽화
        송산리고분군 제6호 고분 서쪽 벽면에 그려진 '백호' 벽화의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것으로 보아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을 알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7516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백호 벽화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백호 벽화
        송산리고분군 제6호 고분 서쪽 벽면에 그려진 '백호' 벽화의 모습이다. 송산리 6호분은 전축분의 형태로 그 입구와 무덤길의 모습이 타 백제계 무덤과 다르다. 또한 6호분이 1932년 공주고등보통학교 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에 의해 발굴된 것으로 보아 이 엽서는 1932년 이후에 발행된 것을 알 수 있다.
    •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백호 벽화
      • 500007516
        일제강점기 송산리 6호분 백호 벽화
      • 일제강점기 공주 유물 엽서(봉투)
        일제강점기 공주 유물 엽서(봉투)
        1930년대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구도-공주 유물전' 엽서 시리즈의 봉투이다. 반죽동 대통사지와 송산리고분군 등 공주 곳곳에 있는 백제 유적의 유물 10점에 대한 사진그림엽서로 구성되어 있다. 봉투에는 송산리 6호분의 서벽에 그려진 '백호' 무늬를 비롯하여 백제 와당문이 그려져 있다.
        • 등록번호 : 500007515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총론(혼합)
      • 일제강점기 공주 유물 엽서(봉투)
        일제강점기 공주 유물 엽서(봉투)
        1930년대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구도-공주 유물전' 엽서 시리즈의 봉투이다. 반죽동 대통사지와 송산리고분군 등 공주 곳곳에 있는 백제 유적의 유물 10점에 대한 사진그림엽서로 구성되어 있다. 봉투에는 송산리 6호분의 서벽에 그려진 '백호' 무늬를 비롯하여 백제 와당문이 그려져 있다.
    • 일제강점기 공주 유물 엽서(봉투)
      • 500007515
        일제강점기 공주 유물 엽서(봉투)
      •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일제강점기 공주 계룡면 중장리 일대에서 진행된 배급표이다. 내부에는 당시 사람들의 인장이 찍혀있다.
        • 등록번호 : 500007514
        • 생산일자 : 1943.00.00
        • 형태 : 문서류>문서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일제강점기 공주 계룡면 중장리 일대에서 진행된 배급표이다. 내부에는 당시 사람들의 인장이 찍혀있다.
    •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 500007514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 공주공립중학교 양준호 제작 주소록
        공주공립중학교 양준호 제작 주소록
        일제강점기 공주공립중학교에 재학하던 양준호라는 사람이 제작한 주소록이다.
        • 등록번호 : 500007513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문서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공주공립중학교 양준호 제작 주소록
        공주공립중학교 양준호 제작 주소록
        일제강점기 공주공립중학교에 재학하던 양준호라는 사람이 제작한 주소록이다.
    • 공주공립중학교 양준호 제작 주소록
      • 500007513
        공주공립중학교 양준호 제작 주소록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현재 3.1중앙공원의 4.19학생혁명기념탑 위치에 세워져 있던 충혼비이다. 이 충혼비는 일제 육군대장 가나야 한조(金谷範三)이 건립한 것으로 이곳에서 공주군 의용소방대 발대식 등 굴직한 일제의 행사가 자주 이뤄졌다.
        • 등록번호 : 500007485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현재 3.1중앙공원의 4.19학생혁명기념탑 위치에 세워져 있던 충혼비이다. 이 충혼비는 일제 육군대장 가나야 한조(金谷範三)이 건립한 것으로 이곳에서 공주군 의용소방대 발대식 등 굴직한 일제의 행사가 자주 이뤄졌다.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 500007485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이후 폐지되었다. 500007447 엽서와 복본으로 추정되나 구체적인 발행처를 알 수 없는 차이가 존재한다.
        • 등록번호 : 500007484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이후 폐지되었다. 500007447 엽서와 복본으로 추정되나 구체적인 발행처를 알 수 없는 차이가 존재한다.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 500007484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 일제강점기 풍속 엽서 - 소 발굽 교체 모습
        일제강점기 풍속 엽서 - 소 발굽 교체 모습
        1910년대 초반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의 풍속을 정비하던 과정에서 발행하게된 조선의 풍속 엽서시리즈 중 하나이다. 본 자료는 소의 발굽 정비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7483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풍속 엽서 - 소 발굽 교체 모습
        일제강점기 풍속 엽서 - 소 발굽 교체 모습
        1910년대 초반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의 풍속을 정비하던 과정에서 발행하게된 조선의 풍속 엽서시리즈 중 하나이다. 본 자료는 소의 발굽 정비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 일제강점기 풍속 엽서 - 소 발굽 교체 모습
      • 500007483
        일제강점기 풍속 엽서 - 소 발굽 교체 모습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산성공원 진남루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산성공원 진남루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진남루 배경사진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7482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산성공원 진남루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산성공원 진남루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진남루 배경사진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산성공원 진남루
      • 500007482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산성공원 진남루
      • 일제강점기 개축된 배다리 엽서
        일제강점기 개축된 배다리 엽서
        1930년대 초반 개축공사가 이뤄진 후의 공주 금강 배다리의 모습이다. 1930년 9월 다리 북단 초입부에 터닦이 토목공사와 함께 야간 통행의 편의를 위해 가로등이 설치되었다. 배다리는 20여 척의 많은 배를 묶어 연결한 것으로 유빙으로 파괴된 배를 수리하거나, 홍수나 유빙으로 배가 유실될 것을 우려해 개방하는 비용까지 그 유지비가 상당했다. 이 배다리는…
        • 등록번호 : 500007480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일제강점기 개축된 배다리 엽서
        일제강점기 개축된 배다리 엽서
        1930년대 초반 개축공사가 이뤄진 후의 공주 금강 배다리의 모습이다. 1930년 9월 다리 북단 초입부에 터닦이 토목공사와 함께 야간 통행의 편의를 위해 가로등이 설치되었다. 배다리는 20여 척의 많은 배를 묶어 연결한 것으로 유빙으로 파괴된 배를 수리하거나, 홍수나 유빙으로 배가 유실될 것을 우려해 개방하는 비용까지 그 유지비가 상당했다. 이 배다리는…
    • 일제강점기 개축된 배다리 엽서
      • 500007480
        일제강점기 개축된 배다리 엽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