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일반검색

검색안내

검색결과 : 47
  • 출처분류  기관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 형태분류  문서류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로 들어가는 배다리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7541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로 들어가는 배다리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 500007541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강선대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강선대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내 강선대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7540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강선대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강선대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내 강선대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강선대
      • 500007540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강선대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부도군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부도군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내 부도군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7539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부도군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부도군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내 부도군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부도군
      • 500007539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부도군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산성공원 진남루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산성공원 진남루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공주 공산성 진남루를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일제는 사적지로서의 공산성을 격하시키기 위하여 벚나무를 식재하고 공원화를 꾀했다. 산성의 남문인 진남루 부근에도 많은 벚나무를 심었다. 그러면서 공산성에서 산성공원으로 이름을 개칭했다. 이처럼 공산성을 산성공원으로 격하하면서도 조선총독부박물관에 쌍수산성주필사적…
        • 등록번호 : 500007538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산성공원 진남루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산성공원 진남루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공주 공산성 진남루를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일제는 사적지로서의 공산성을 격하시키기 위하여 벚나무를 식재하고 공원화를 꾀했다. 산성의 남문인 진남루 부근에도 많은 벚나무를 심었다. 그러면서 공산성에서 산성공원으로 이름을 개칭했다. 이처럼 공산성을 산성공원으로 격하하면서도 조선총독부박물관에 쌍수산성주필사적…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산성공원 진남루
      • 500007538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산성공원 진남루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 금강교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 금강교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1930년대 금강교의 모습이다. 충남도청 대전 이전의 보상책으로 1933년 11월 공주사람들이 그토록 바라던 금강교가 완공되었다. 폭 6m, 길이 약 500m 규모로 1년 6개월여의 공사기간이 소요되었다. 금강교 준공식에는 약 700여 명의 손님을 비롯해 많은 공주사람들이 모였다. 당시 주민이 자발적으로 기금을…
        • 등록번호 : 500007537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 금강교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 금강교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1930년대 금강교의 모습이다. 충남도청 대전 이전의 보상책으로 1933년 11월 공주사람들이 그토록 바라던 금강교가 완공되었다. 폭 6m, 길이 약 500m 규모로 1년 6개월여의 공사기간이 소요되었다. 금강교 준공식에는 약 700여 명의 손님을 비롯해 많은 공주사람들이 모였다. 당시 주민이 자발적으로 기금을…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 금강교
      • 500007537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 금강교
      • 공산성 쌍수정에서 바라본 옛 중군영지
        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90086
        • 등록번호 : 500007862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공산성 쌍수정에서 바라본 옛 중군영지
        http://kutsukake.nichibun.ac.jp/CHO/detail.html?id=90086
      • 500007862
        공산성 쌍수정에서 바라본 옛 중군영지
      •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일제강점기 공주 계룡면 중장리 일대에서 진행된 배급표이다. 내부에는 당시 사람들의 인장이 찍혀있다.
        • 등록번호 : 500007514
        • 생산일자 : 1943.00.00
        • 형태 : 문서류>문서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일제강점기 공주 계룡면 중장리 일대에서 진행된 배급표이다. 내부에는 당시 사람들의 인장이 찍혀있다.
    •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 500007514
        일제강점기 중장리 배급대장
      • 일제강점기 개축된 배다리 엽서
        일제강점기 개축된 배다리 엽서
        1930년대 초반 개축공사가 이뤄진 후의 공주 금강 배다리의 모습이다. 1930년 9월 다리 북단 초입부에 터닦이 토목공사와 함께 야간 통행의 편의를 위해 가로등이 설치되었다. 배다리는 20여 척의 많은 배를 묶어 연결한 것으로 유빙으로 파괴된 배를 수리하거나, 홍수나 유빙으로 배가 유실될 것을 우려해 개방하는 비용까지 그 유지비가 상당했다. 이 배다리는…
        • 등록번호 : 500007480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일제강점기 개축된 배다리 엽서
        일제강점기 개축된 배다리 엽서
        1930년대 초반 개축공사가 이뤄진 후의 공주 금강 배다리의 모습이다. 1930년 9월 다리 북단 초입부에 터닦이 토목공사와 함께 야간 통행의 편의를 위해 가로등이 설치되었다. 배다리는 20여 척의 많은 배를 묶어 연결한 것으로 유빙으로 파괴된 배를 수리하거나, 홍수나 유빙으로 배가 유실될 것을 우려해 개방하는 비용까지 그 유지비가 상당했다. 이 배다리는…
    • 일제강점기 개축된 배다리 엽서
      • 500007480
        일제강점기 개축된 배다리 엽서
      •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
        일제강점기 공주 지방법원에 만개한 벚꽃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법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 등록번호 : 500007466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
        일제강점기 공주 지방법원에 만개한 벚꽃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법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
      • 500007466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
      •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터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와 지금의 전막부근을 오가는 나루터는 흔히 산성나루로 불렸는데, 엽서 속에서는 '쌍수산성 제2도장(渡場)'이라 표기하여 공산성에는 여러 개의 나루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7464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터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와 지금의 전막부근을 오가는 나루터는 흔히 산성나루로 불렸는데, 엽서 속에서는 '쌍수산성 제2도장(渡場)'이라 표기하여 공산성에는 여러 개의 나루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 500007464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 등록번호 : 500007463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 500007463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공산성 내 위치한 쌍수정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과 밑에 위치한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 등록번호 : 500007462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공산성 내 위치한 쌍수정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과 밑에 위치한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500007462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일제강점기인 대정 6년 조선총독부에서 공주감옥 수인으로 이을규씨를 임명했다는 것을 증빙하는 임명장이다.
        • 등록번호 : 500007458
        • 생산일자 : 1917.02.01
        • 형태 : 문서류>일반문서
        • 주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일제강점기인 대정 6년 조선총독부에서 공주감옥 수인으로 이을규씨를 임명했다는 것을 증빙하는 임명장이다.
    •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 500007458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 충남도청 내외삼문과 선화당 엽서
        충남도청 내외삼문과 선화당 엽서
        조선후기 충청감영시절에 건축한 외삼문과 내삼문, 선화당으로 충남도청 외삼문 밖에서 충남도지사의 근무지인 선화당을 바라본 모습이다. 선화당 중앙에 걸린 '충청남도(忠淸南道)' 현판이 온전하게 보인다. 300여년 옛 충청감영시절을 엿볼 수 있는 대문기둥의 낡은 주련 사이사이에 이질적인 유등과 출입문, 창문 등이 어우러져 있다.
        • 등록번호 : 500008104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기타
      • 충남도청 내외삼문과 선화당 엽서
        충남도청 내외삼문과 선화당 엽서
        조선후기 충청감영시절에 건축한 외삼문과 내삼문, 선화당으로 충남도청 외삼문 밖에서 충남도지사의 근무지인 선화당을 바라본 모습이다. 선화당 중앙에 걸린 '충청남도(忠淸南道)' 현판이 온전하게 보인다. 300여년 옛 충청감영시절을 엿볼 수 있는 대문기둥의 낡은 주련 사이사이에 이질적인 유등과 출입문, 창문 등이 어우러져 있다.
    • 충남도청 내외삼문과 선화당 엽서
      • 500008104
        충남도청 내외삼문과 선화당 엽서
      •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충남도청의 정문인 포정사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문루 2층의 창호지가 유리로 바뀌었으며, 문루와 연결된 담장도 기와와 돌이 조화를 이루던 전통식 담장에서 일제식 널빤지를 이용한 벽으로 바뀌었다. 이는 500007866과 비교하면 그 특징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 등록번호 : 500008103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기타
      •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충남도청의 정문인 포정사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문루 2층의 창호지가 유리로 바뀌었으며, 문루와 연결된 담장도 기와와 돌이 조화를 이루던 전통식 담장에서 일제식 널빤지를 이용한 벽으로 바뀌었다. 이는 500007866과 비교하면 그 특징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 500008103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엽서
        공주우편국 앞에서 서쪽의 봉황산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도청과 가깝고 근처에 법원이나 경찰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등 주요기관이 있어 우편국 앞은 인파로 붐볐다. 한편 1920년대 조선노동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범사회적인 노동운동이 발생했을 때, 공주우편국에서도 동맹파업이 전개되었다. 1928년 2월 일본인 우편국원이 조선인 우편국원에게…
        • 등록번호 : 500008115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엽서
        공주우편국 앞에서 서쪽의 봉황산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도청과 가깝고 근처에 법원이나 경찰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등 주요기관이 있어 우편국 앞은 인파로 붐볐다. 한편 1920년대 조선노동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범사회적인 노동운동이 발생했을 때, 공주우편국에서도 동맹파업이 전개되었다. 1928년 2월 일본인 우편국원이 조선인 우편국원에게…
    •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엽서
      • 500008115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엽서
      • 일제강점기 웅심각 엽서
        일제강점기 웅심각 엽서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 등록번호 : 500008109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웅심각 엽서
        일제강점기 웅심각 엽서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 일제강점기 웅심각 엽서
      • 500008109
        일제강점기 웅심각 엽서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과 거목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과 거목 엽서
        공산성의 쌍수정은 조선 16대 국왕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공주로 피난 햇을 때, 나무에 기대어 난의 평정소식을 들었다는 유지를 기념하기 위해 1734년(영조 10) 충청도관찰사 이수항이 건립한 누정이다. 엽서 속 모습은 오늘날과 다르게 쌍수정 아래 사적비각 쪽에서 누정으로 올라갔으며, 쌍수정 우측의 느티나무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거목이다.
        • 등록번호 : 500008108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과 거목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과 거목 엽서
        공산성의 쌍수정은 조선 16대 국왕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공주로 피난 햇을 때, 나무에 기대어 난의 평정소식을 들었다는 유지를 기념하기 위해 1734년(영조 10) 충청도관찰사 이수항이 건립한 누정이다. 엽서 속 모습은 오늘날과 다르게 쌍수정 아래 사적비각 쪽에서 누정으로 올라갔으며, 쌍수정 우측의 느티나무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거목이다.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과 거목 엽서
      • 500008108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과 거목 엽서
      •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정문 앞에 만개한 벚꽃의 풍경을 기반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방법원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본 자료는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당시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 등록번호 : 500008114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정문 앞에 만개한 벚꽃의 풍경을 기반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방법원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본 자료는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당시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
      • 500008114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
      •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의 여름철 산록이 우거진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당시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 등록번호 : 500008107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의 여름철 산록이 우거진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당시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 500008107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