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일반검색

검색안내

검색결과 : 92
  • 출처분류  기관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 형태분류  문서류
      •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7465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금강
      •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지금의 금강교 아래 공산성 서쪽 암벽가에 있던 금강나루의 모습이다. 이 부근에서 1915년 이후 목교와 주교가 연이어 가설되는데, 엽서 속 모습은 목교 설치 이전에 나룻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던 시기로 보여진다. 멀리 금강 건너 신관동과 시목동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 500007465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금강나루
      •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터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와 지금의 전막부근을 오가는 나루터는 흔히 산성나루로 불렸는데, 엽서 속에서는 '쌍수산성 제2도장(渡場)'이라 표기하여 공산성에는 여러 개의 나루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7464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터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와 지금의 전막부근을 오가는 나루터는 흔히 산성나루로 불렸는데, 엽서 속에서는 '쌍수산성 제2도장(渡場)'이라 표기하여 공산성에는 여러 개의 나루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 500007464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 등록번호 : 500007463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 500007463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공산성 내 위치한 쌍수정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과 밑에 위치한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 등록번호 : 500007462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공산성 내 위치한 쌍수정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과 밑에 위치한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500007462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일제강점기인 대정 6년 조선총독부에서 공주감옥 수인으로 이을규씨를 임명했다는 것을 증빙하는 임명장이다.
        • 등록번호 : 500007458
        • 생산일자 : 1917.02.01
        • 형태 : 문서류>일반문서
        • 주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일제강점기인 대정 6년 조선총독부에서 공주감옥 수인으로 이을규씨를 임명했다는 것을 증빙하는 임명장이다.
    •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 500007458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등록번호 : 500010506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500010506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 등록번호 : 500010505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 500010505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 충남도청 내외삼문과 선화당 엽서
        충남도청 내외삼문과 선화당 엽서
        조선후기 충청감영시절에 건축한 외삼문과 내삼문, 선화당으로 충남도청 외삼문 밖에서 충남도지사의 근무지인 선화당을 바라본 모습이다. 선화당 중앙에 걸린 '충청남도(忠淸南道)' 현판이 온전하게 보인다. 300여년 옛 충청감영시절을 엿볼 수 있는 대문기둥의 낡은 주련 사이사이에 이질적인 유등과 출입문, 창문 등이 어우러져 있다.
        • 등록번호 : 500008104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기타
      • 충남도청 내외삼문과 선화당 엽서
        충남도청 내외삼문과 선화당 엽서
        조선후기 충청감영시절에 건축한 외삼문과 내삼문, 선화당으로 충남도청 외삼문 밖에서 충남도지사의 근무지인 선화당을 바라본 모습이다. 선화당 중앙에 걸린 '충청남도(忠淸南道)' 현판이 온전하게 보인다. 300여년 옛 충청감영시절을 엿볼 수 있는 대문기둥의 낡은 주련 사이사이에 이질적인 유등과 출입문, 창문 등이 어우러져 있다.
    • 충남도청 내외삼문과 선화당 엽서
      • 500008104
        충남도청 내외삼문과 선화당 엽서
      • 일제강점기 호남철도 노선 엽서
        일제강점기 호남철도 노선 엽서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재임 중이던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때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호남철도 노선도 엽서이다. 공주는 호남선이 부설된 도시는 아니지만 당시 충청남도 지역 정치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던 곳이기 때문에 노선도에서 도시의 규모가 크게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8105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경제,산업>사회기반시설>철도
      • 일제강점기 호남철도 노선 엽서
        일제강점기 호남철도 노선 엽서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재임 중이던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때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호남철도 노선도 엽서이다. 공주는 호남선이 부설된 도시는 아니지만 당시 충청남도 지역 정치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던 곳이기 때문에 노선도에서 도시의 규모가 크게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일제강점기 호남철도 노선 엽서
      • 500008105
        일제강점기 호남철도 노선 엽서
      •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충남도청의 정문인 포정사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문루 2층의 창호지가 유리로 바뀌었으며, 문루와 연결된 담장도 기와와 돌이 조화를 이루던 전통식 담장에서 일제식 널빤지를 이용한 벽으로 바뀌었다. 이는 500007866과 비교하면 그 특징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 등록번호 : 500008103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유교유적>기타
      •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충남도청의 정문인 포정사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문루 2층의 창호지가 유리로 바뀌었으며, 문루와 연결된 담장도 기와와 돌이 조화를 이루던 전통식 담장에서 일제식 널빤지를 이용한 벽으로 바뀌었다. 이는 500007866과 비교하면 그 특징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 500008103
        충남도청 포정사 엽서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에서 바라본 제민천 범람 모습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에서 바라본 제민천 범람 모습
        1917년 무렵 홍수로 제민천 하류가 물에 잠겼을 때, 금강의 나룻배가 드나들던 모습으로 추정되는 사진그림엽서이다. 엽서 왼쪽 정지산과 오른쪽에 공산성, 하얀색의 석유창고를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8106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에서 바라본 제민천 범람 모습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에서 바라본 제민천 범람 모습
        1917년 무렵 홍수로 제민천 하류가 물에 잠겼을 때, 금강의 나룻배가 드나들던 모습으로 추정되는 사진그림엽서이다. 엽서 왼쪽 정지산과 오른쪽에 공산성, 하얀색의 석유창고를 확인할 수 있다.
    •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에서 바라본 제민천 범람 모습
      • 500008106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에서 바라본 제민천 범람 모습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등록번호 : 500008113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50000811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엽서
        공주우편국 앞에서 서쪽의 봉황산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도청과 가깝고 근처에 법원이나 경찰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등 주요기관이 있어 우편국 앞은 인파로 붐볐다. 한편 1920년대 조선노동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범사회적인 노동운동이 발생했을 때, 공주우편국에서도 동맹파업이 전개되었다. 1928년 2월 일본인 우편국원이 조선인 우편국원에게…
        • 등록번호 : 500008115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엽서
        공주우편국 앞에서 서쪽의 봉황산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도청과 가깝고 근처에 법원이나 경찰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 등 주요기관이 있어 우편국 앞은 인파로 붐볐다. 한편 1920년대 조선노동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범사회적인 노동운동이 발생했을 때, 공주우편국에서도 동맹파업이 전개되었다. 1928년 2월 일본인 우편국원이 조선인 우편국원에게…
    •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엽서
      • 500008115
        일제강점기 공주우편국 엽서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3
        1910년대 말,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 등록번호 : 500008111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3
        1910년대 말,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3
      • 500008111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3
      • 일제강점기 웅심각 엽서
        일제강점기 웅심각 엽서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 등록번호 : 500008109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웅심각 엽서
        일제강점기 웅심각 엽서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 일제강점기 웅심각 엽서
      • 500008109
        일제강점기 웅심각 엽서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2
        1910년대 말,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 등록번호 : 500008112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2
        1910년대 말,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형태의 민가가…
    •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2
      • 500008112
        일제강점기 충남 공주 전경 2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과 거목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과 거목 엽서
        공산성의 쌍수정은 조선 16대 국왕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공주로 피난 햇을 때, 나무에 기대어 난의 평정소식을 들었다는 유지를 기념하기 위해 1734년(영조 10) 충청도관찰사 이수항이 건립한 누정이다. 엽서 속 모습은 오늘날과 다르게 쌍수정 아래 사적비각 쪽에서 누정으로 올라갔으며, 쌍수정 우측의 느티나무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거목이다.
        • 등록번호 : 500008108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과 거목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과 거목 엽서
        공산성의 쌍수정은 조선 16대 국왕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공주로 피난 햇을 때, 나무에 기대어 난의 평정소식을 들었다는 유지를 기념하기 위해 1734년(영조 10) 충청도관찰사 이수항이 건립한 누정이다. 엽서 속 모습은 오늘날과 다르게 쌍수정 아래 사적비각 쪽에서 누정으로 올라갔으며, 쌍수정 우측의 느티나무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거목이다.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과 거목 엽서
      • 500008108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과 거목 엽서
      •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정문 앞에 만개한 벚꽃의 풍경을 기반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방법원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본 자료는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당시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 등록번호 : 500008114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정문 앞에 만개한 벚꽃의 풍경을 기반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방법원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본 자료는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당시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
      • 500008114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
      •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의 여름철 산록이 우거진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당시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 등록번호 : 500008107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의 여름철 산록이 우거진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당시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 500008107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영은사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당시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 등록번호 : 500008110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영은사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당시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자료이다.
    •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엽서
      • 500008110
        일제강점기 공산성 영은사 엽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