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의당면 수촌리에 있는 수촌리 토성 발굴조사지 전경이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등록번호 : 200059692
생산일자 : 2001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주제 : 총류>시,군지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수촌리토성 발굴조사지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의당면 수촌리에 있는 수촌리 토성 발굴조사지 전경이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200059692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수촌리토성 발굴조사지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영명여학당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영명여학당 전경으로, 영명여학당은 미국인 선교사 사애리시가 설립하였다.
등록번호 : 200059691
생산일자 : 2001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주제 : 총류>시,군지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영명여학당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영명여학당 전경으로, 영명여학당은 미국인 선교사 사애리시가 설립하였다.
200059691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영명여학당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1930년대 공주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1930년대 공주 시가지 전경이다.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흰색 동그라미 부분은 충남 도청 본관 건물이다.
등록번호 : 200059690
생산일자 : 2001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주제 : 총류>시,군지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1930년대 공주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1930년대 공주 시가지 전경이다.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흰색 동그라미 부분은 충남 도청 본관 건물이다.
200059690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1930년대 공주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솟대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도심에 위치한 솟대 모습이다. 솟대는 민간신앙 목적으로 또는 경사가 있을 때 축하의 뜻으로 세우는 긴 대이다. 사진 속 솟대에 세워진 지역이나 위치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등록번호 : 200059689
생산일자 : 2001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주제 : 총류>시,군지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솟대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도심에 위치한 솟대 모습이다. 솟대는 민간신앙 목적으로 또는 경사가 있을 때 축하의 뜻으로 세우는 긴 대이다. 사진 속 솟대에 세워진 지역이나 위치는 정확히 알 수 없다.
200059689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솟대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신관주공4단지아파트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곰나루아파트 102동에서 신관주공4단지아파트 방향으로 찍은 전경이다. 사진 좌측에는 곰나루아파트 101동, 102동이보이고 우측에는 신관주공4단지아파트가 보인다.
등록번호 : 200059688
생산일자 : 2001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주제 : 총류>시,군지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신관주공4단지아파트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곰나루아파트 102동에서 신관주공4단지아파트 방향으로 찍은 전경이다. 사진 좌측에는 곰나루아파트 101동, 102동이보이고 우측에는 신관주공4단지아파트가 보인다.
200059688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신관주공4단지아파트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백제문화제 (10)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2001년 10월에 개최한 제47회 백제문화제 축제 전 중동사거리 모습이다.
등록번호 : 200059687
생산일자 : 2001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주제 : 총류>시,군지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백제문화제 (10)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2001년 10월에 개최한 제47회 백제문화제 축제 전 중동사거리 모습이다.
200059687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백제문화제 (10)
화마루공소 청년들의 단체사진
화마루공소 앞에서 마을의 청년들이 모여 찍은 흑백사진이다. 촬영날짜는 미상이나 소장자는 20대 미만 시절로 기억하고 있었다. 왼쪽에서 세번째와 네번째의 인물이 화마루 구술조사 2차 사례자인 김수철과 이봉성이다. 총 8명의 인물이 등장하는데 소장자는 이 중 4명은 공소의 신자 청년들로 나머지는 마을 청년들로 기억하고 있었다.
등록번호 : 200059356
생산일자 : 미상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주제 : 종교,언어>종교>가톨릭
화마루공소 청년들의 단체사진
화마루공소 앞에서 마을의 청년들이 모여 찍은 흑백사진이다. 촬영날짜는 미상이나 소장자는 20대 미만 시절로 기억하고 있었다. 왼쪽에서 세번째와 네번째의 인물이 화마루 구술조사 2차 사례자인 김수철과 이봉성이다. 총 8명의 인물이 등장하는데 소장자는 이 중 4명은 공소의 신자 청년들로 나머지는 마을 청년들로 기억하고 있었다.
200059356
화마루공소 청년들의 단체사진
화마루공소에서 열린 이봉성 결혼기념사진 (결혼식 행진)
화마루공소 2차 구술조사 사례자인 이봉성의 결혼식 사진이다. 혼배미사는 14대 주임신부인 윤영균(미카엘)신부의 주관으로 화마루공소에서 치러졌다. 당시 경천사진사에서 사진사를 불러 촬영하였다고 한다. 부부의 모습만 담겨져있는 흑백사진이며 배우자는 문경순이다.
등록번호 : 200059355
생산일자 : 미상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주제 : 종교,언어>종교>가톨릭
화마루공소에서 열린 이봉성 결혼기념사진 (결혼식 행진)
화마루공소 2차 구술조사 사례자인 이봉성의 결혼식 사진이다. 혼배미사는 14대 주임신부인 윤영균(미카엘)신부의 주관으로 화마루공소에서 치러졌다. 당시 경천사진사에서 사진사를 불러 촬영하였다고 한다. 부부의 모습만 담겨져있는 흑백사진이며 배우자는 문경순이다.
200059355
화마루공소에서 열린 이봉성 결혼기념사진 (결혼식 행진)
화마루공소에서 열린 이봉성 결혼기념사진 (액자사진)
화마루공소 2차 구술조사 사례자인 이봉성의 결혼식 사진이다. 혼배미사는 14대 주임신부인 윤영균(미카엘)신부의 주관으로 화마루공소에서 치러졌다. 신랑의 어깨에 색색의 끈이 얹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결혼식의 가장 마지막 순서인 행진 후 부부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으로 보인다. 경천사진사에서 사진사를 불러 촬영하였다고 한다. 본 자료는 부부의 모습만 담겨져있는…
등록번호 : 200059354
생산일자 : 미상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주제 : 종교,언어>종교>가톨릭
화마루공소에서 열린 이봉성 결혼기념사진 (액자사진)
화마루공소 2차 구술조사 사례자인 이봉성의 결혼식 사진이다. 혼배미사는 14대 주임신부인 윤영균(미카엘)신부의 주관으로 화마루공소에서 치러졌다. 신랑의 어깨에 색색의 끈이 얹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결혼식의 가장 마지막 순서인 행진 후 부부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으로 보인다. 경천사진사에서 사진사를 불러 촬영하였다고 한다. 본 자료는 부부의 모습만 담겨져있는…
200059354
화마루공소에서 열린 이봉성 결혼기념사진 (액자사진)
첫영성체 기념사진
화마루공소의 첫영성체 사진이다. 날짜는 미상이나 가운데 앉아있는 남성이 유인성 신부이므로 유신부가 주임신부로 재직한 1965년 4월부터 1972년 12월 사이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른쪽 맨 첫번째 남성은 당시 공소 회장이었던 이기봉(안드레아)이며, 두 번째 남성은 유인성 신부의 복사(사제를 도와 예식을 보조하는 봉사자)이다. 맨 마지막열의 가운데…
등록번호 : 200059353
생산일자 : 미상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주제 : 종교,언어>종교>가톨릭
첫영성체 기념사진
화마루공소의 첫영성체 사진이다. 날짜는 미상이나 가운데 앉아있는 남성이 유인성 신부이므로 유신부가 주임신부로 재직한 1965년 4월부터 1972년 12월 사이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른쪽 맨 첫번째 남성은 당시 공소 회장이었던 이기봉(안드레아)이며, 두 번째 남성은 유인성 신부의 복사(사제를 도와 예식을 보조하는 봉사자)이다. 맨 마지막열의 가운데…
200059353
첫영성체 기념사진
화마루공소 첫 영성체 기념사진 (1965)
1965년 3월 25일 화마루공소에서 열린 첫영성체 기념 흑백사진이다. 정중앙에 앉은 사람이 중동성당 12대 주임신부인 이인하 신부이다. 이인하 신부 뒤쪽의 왼쪽 첫 번째 인물은 화마루공소의 초대회장(이신문, 시몬)이며, 왼쪽 두 번째 인물은 이인하 신부의 복사(사제를 도와 예식을 보조하는 봉사자)이다. 화마루공소는 1955년에 건립을 시작하여 1957년에…
등록번호 : 200059352
생산일자 : 1965.03.25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주제 : 종교,언어>종교>가톨릭
화마루공소 첫 영성체 기념사진 (1965)
1965년 3월 25일 화마루공소에서 열린 첫영성체 기념 흑백사진이다. 정중앙에 앉은 사람이 중동성당 12대 주임신부인 이인하 신부이다. 이인하 신부 뒤쪽의 왼쪽 첫 번째 인물은 화마루공소의 초대회장(이신문, 시몬)이며, 왼쪽 두 번째 인물은 이인하 신부의 복사(사제를 도와 예식을 보조하는 봉사자)이다. 화마루공소는 1955년에 건립을 시작하여 1957년에…
200059352
화마루공소 첫 영성체 기념사진 (1965)
1989년 11월 27일 신관동사무소 준공 피로연
1989년 11월 27일 신관동사무소 준공을 축하하기 위한 피로연 모습이다. 준공식이 끝난 후 내빈들이 다과와 축배를 들고 있다.
등록번호 : 200059351
생산일자 : 1989.11.27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주제 : 정치,행정>행정>공공기관
1989년 11월 27일 신관동사무소 준공 피로연
1989년 11월 27일 신관동사무소 준공을 축하하기 위한 피로연 모습이다. 준공식이 끝난 후 내빈들이 다과와 축배를 들고 있다.
200059351
1989년 11월 27일 신관동사무소 준공 피로연
1910년대 영명학교 출신인물 단체사진
1909년에 졸업한 영명학교 제2회 졸업생들과 교직원들의 단체사진이다. 가운데 우리암과 우애리시 부부를 중심으로 3열로 앉아있다. 우리암 부부의 바로 왼쪽에 있는 인물이 독립운동가이자 해방이후 민주당 대선후보로 출마했던 조병옥 박사이고, 바로 오른쪽은 논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신현구이다.
등록번호 : 200059350
생산일자 : 1910년대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주제 : 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1910년대 영명학교 출신인물 단체사진
1909년에 졸업한 영명학교 제2회 졸업생들과 교직원들의 단체사진이다. 가운데 우리암과 우애리시 부부를 중심으로 3열로 앉아있다. 우리암 부부의 바로 왼쪽에 있는 인물이 독립운동가이자 해방이후 민주당 대선후보로 출마했던 조병옥 박사이고, 바로 오른쪽은 논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신현구이다.
200059350
1910년대 영명학교 출신인물 단체사진
영명학교 본관 전경
영명학교 남학교 건물의 모습이다. 1921년 미국 북감리회 해외선교 100주년 기념으로 지어져 1921년에 완공되었고, 지하 1층, 지상 2층의 규모였다. 2002년 붕괴 우려로 철거되었다.
등록번호 : 200059349
생산일자 : 미상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주제 : 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영명학교 본관 전경
영명학교 남학교 건물의 모습이다. 1921년 미국 북감리회 해외선교 100주년 기념으로 지어져 1921년에 완공되었고, 지하 1층, 지상 2층의 규모였다. 2002년 붕괴 우려로 철거되었다.
200059349
영명학교 본관 전경
1940년 우리암 교장이 학교를 떠나는 모습
1940년 11월 우리암 교장이 영명실수학교를 떠나는 모습이다. 일제는 1930년 중반 이후 기독교계 학교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였고, 1940년에 이르러 전쟁이 가시화되자 일제는 국내에서 사역하던 선교사들을 강제출국시키는 조치를 시행하였다. 우리암 교장은 귀국을 거부하고 공주에 남아있기를 원했으나 결국 1940년 11월 24일 강제 출국되었다. 당시…
등록번호 : 200059348
생산일자 : 1940.11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주제 : 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1940년 우리암 교장이 학교를 떠나는 모습
1940년 11월 우리암 교장이 영명실수학교를 떠나는 모습이다. 일제는 1930년 중반 이후 기독교계 학교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였고, 1940년에 이르러 전쟁이 가시화되자 일제는 국내에서 사역하던 선교사들을 강제출국시키는 조치를 시행하였다. 우리암 교장은 귀국을 거부하고 공주에 남아있기를 원했으나 결국 1940년 11월 24일 강제 출국되었다. 당시…
200059348
1940년 우리암 교장이 학교를 떠나는 모습
1913년 영명여학교 제1회 졸업생
1913년 영명여학교 제1회 졸업생의 모습니다. 에 거행된 영명여학교의 첫 졸업식 모습이다. 졸업생들의 뒤편 칠판에도 '영명여학교(永明女學校), 제1회졸업생(第一回卒業生)'이라고 쓰여있다. 이때 졸업생은 진영신, 김일나, 박루이사(박화숙), 서유돌나, 강면네, 노마리아 등 6명이었다. 영명여학교의 첫 졸업식은 지역 사회에서 적지 않은 관심을 불러 모았다.…
등록번호 : 200059347
생산일자 : 1913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주제 : 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1913년 영명여학교 제1회 졸업생
1913년 영명여학교 제1회 졸업생의 모습니다. 에 거행된 영명여학교의 첫 졸업식 모습이다. 졸업생들의 뒤편 칠판에도 '영명여학교(永明女學校), 제1회졸업생(第一回卒業生)'이라고 쓰여있다. 이때 졸업생은 진영신, 김일나, 박루이사(박화숙), 서유돌나, 강면네, 노마리아 등 6명이었다. 영명여학교의 첫 졸업식은 지역 사회에서 적지 않은 관심을 불러 모았다.…
200059347
1913년 영명여학교 제1회 졸업생
1940년 우리암 교장 송별 사진
1940년 11월 우리암교장이 강제출국 되기 전 교사, 학생들과 찍은 송별사진이다. 일제는 1930년 중반 이후 기독교계 학교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였고, 1940년에 이르러 전쟁이 가시화되자 일제는 국내에서 사역하던 선교사들을 강제출국시키는 조치를 시행하였다. 우리암 교장은 귀국을 거부하고 공주에 남아있기를 원했으나 결국 1940년 11월 24일 강제…
등록번호 : 200059346
생산일자 : 1940.11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주제 : 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1940년 우리암 교장 송별 사진
1940년 11월 우리암교장이 강제출국 되기 전 교사, 학생들과 찍은 송별사진이다. 일제는 1930년 중반 이후 기독교계 학교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였고, 1940년에 이르러 전쟁이 가시화되자 일제는 국내에서 사역하던 선교사들을 강제출국시키는 조치를 시행하였다. 우리암 교장은 귀국을 거부하고 공주에 남아있기를 원했으나 결국 1940년 11월 24일 강제…
200059346
1940년 우리암 교장 송별 사진
1910년 제3회 영명학교 졸업생 일동
1910년 3월 촬영한 영명학교 제3회 졸업생들의 단체사진이다. 1910년 3월 거행된 제3회 졸업식에서는 보통과 6명, 2년제 특별 중학 수업생 1명이 졸업하였다. 사진 속 인물은 왼쪽부터 안성호, 김성만, 박준익, 송원돈, 안무성, 이일달, 박원규이다.
등록번호 : 200059345
생산일자 : 1910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주제 : 교육>중고등교육>사립>공주영명중학교
1910년 제3회 영명학교 졸업생 일동
1910년 3월 촬영한 영명학교 제3회 졸업생들의 단체사진이다. 1910년 3월 거행된 제3회 졸업식에서는 보통과 6명, 2년제 특별 중학 수업생 1명이 졸업하였다. 사진 속 인물은 왼쪽부터 안성호, 김성만, 박준익, 송원돈, 안무성, 이일달, 박원규이다.
200059345
1910년 제3회 영명학교 졸업생 일동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공산성에서 금강을 배경으로 촬영한 3학년 4반 단체사진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공산성에서 금강을 배경으로 촬영한 3학년 4반 학생들과 김창주(金昌柱) 담임교사의 단체사진이다.
등록번호 : 200059344
생산일자 : 1961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주제 : 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공산성에서 금강을 배경으로 촬영한 3학년 4반 단체사진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공산성에서 금강을 배경으로 촬영한 3학년 4반 학생들과 김창주(金昌柱) 담임교사의 단체사진이다.
200059344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공산성에서 금강을 배경으로 촬영한 3학년 4반 단체사진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공산성 광복루를 배경으로 촬영된 3학년 3반 단체사진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공산성 광복루를 배경으로 촬영한 3학년 3반 학생들과 김인배(金寅培) 담임교사의 단체사진이다.
등록번호 : 200059343
생산일자 : 1961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주제 : 교육>중고등교육>공립>공주고등학교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공산성 광복루를 배경으로 촬영된 3학년 3반 단체사진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공산성 광복루를 배경으로 촬영한 3학년 3반 학생들과 김인배(金寅培) 담임교사의 단체사진이다.
200059343
1962년 제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공산성 광복루를 배경으로 촬영된 3학년 3반 단체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