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일반검색

검색안내

검색결과 : 345
  • 출처분류  개인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 형태분류  문서류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 등록번호 : 500007380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 500007380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 공주교대부속 초등학교 엽서
        공주교대부속 초등학교 엽서
        공주교대부속 국민학교 시절을 배경으로 제작된 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7378
        • 생산일자 : 197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공주교대부속 초등학교 엽서
        공주교대부속 초등학교 엽서
        공주교대부속 국민학교 시절을 배경으로 제작된 엽서이다.
    • 공주교대부속 초등학교 엽서
      • 500007378
        공주교대부속 초등학교 엽서
      •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 등록번호 : 500007377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 500007377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과 배다리의 모습이다. 멀리 쌍신동의 정안천 제방과 연미산 능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주교가 가설된 1920년부터 금강교가 가설되기 전인 1933년 이전의 모습으로 보인다.
        • 등록번호 : 500007376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과 배다리의 모습이다. 멀리 쌍신동의 정안천 제방과 연미산 능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주교가 가설된 1920년부터 금강교가 가설되기 전인 1933년 이전의 모습으로 보인다.
    •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 500007376
        일제강점기 초여름 금강 일원 엽서
      •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유사한 자료로 보인다.
        • 등록번호 : 500007375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유사한 자료로 보인다.
    •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 500007375
        일제강점기 진남문 엽서
      •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 등록번호 : 500007374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1920년대 초반 제민천 하류에 있던 버드나무 군락지의 모습이다. 멀리 유교(柳橋)가 보이는데, 현 중동 큰 사거리와 연결된 교촌교로 추정된다.
    •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 500007374
        일제강점기 제민천 하류 버드나무 군락 엽서
      • 소화 3년 차용금증서
        소화 3년 차용금증서
        공주군 탄천면에 거주하는 인물이 발행한 차용증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7373
        • 생산일자 : 1928.11.10
        • 형태 : 문서류>일반문서
        • 주제 : 경제,산업>경제>총론(혼합)
      • 소화 3년 차용금증서
        소화 3년 차용금증서
        공주군 탄천면에 거주하는 인물이 발행한 차용증서이다.
    • 소화 3년 차용금증서
      • 500007373
        소화 3년 차용금증서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현재 3.1중앙공원의 4.19학생혁명기념탑 위치에 세워져 있던 충혼비이다. 이 충혼비는 일제 육군대장 가나야 한조(金谷範三)이 건립한 것으로 이곳에서 공주군 의용소방대 발대식 등 굴직한 일제의 행사가 자주 이뤄졌다.
        • 등록번호 : 500007485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현재 3.1중앙공원의 4.19학생혁명기념탑 위치에 세워져 있던 충혼비이다. 이 충혼비는 일제 육군대장 가나야 한조(金谷範三)이 건립한 것으로 이곳에서 공주군 의용소방대 발대식 등 굴직한 일제의 행사가 자주 이뤄졌다.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 500007485
        일제강점기 앵산공원 내 충혼비 엽서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이후 폐지되었다. 500007447 엽서와 복본으로 추정되나 구체적인 발행처를 알 수 없는 차이가 존재한다.
        • 등록번호 : 500007484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이후 폐지되었다. 500007447 엽서와 복본으로 추정되나 구체적인 발행처를 알 수 없는 차이가 존재한다.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 500007484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 일제강점기 풍속 엽서 - 소 발굽 교체 모습
        일제강점기 풍속 엽서 - 소 발굽 교체 모습
        1910년대 초반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의 풍속을 정비하던 과정에서 발행하게된 조선의 풍속 엽서시리즈 중 하나이다. 본 자료는 소의 발굽 정비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7483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풍속 엽서 - 소 발굽 교체 모습
        일제강점기 풍속 엽서 - 소 발굽 교체 모습
        1910년대 초반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의 풍속을 정비하던 과정에서 발행하게된 조선의 풍속 엽서시리즈 중 하나이다. 본 자료는 소의 발굽 정비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 일제강점기 풍속 엽서 - 소 발굽 교체 모습
      • 500007483
        일제강점기 풍속 엽서 - 소 발굽 교체 모습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산성공원 진남루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산성공원 진남루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진남루 배경사진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7482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산성공원 진남루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산성공원 진남루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진남루 배경사진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산성공원 진남루
      • 500007482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산성공원 진남루
      •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일제강점기 공주 계룡산 단풍나무 숲길 모습이다. 단풍놀이를 즐기기 위해 계룡산을 찾은 지역유지와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우측의 조선인과 대비를 이루는 점이 인상적이다.
        • 등록번호 : 500007467
        • 생산일자 : 1923.03.25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산>계룡산
      •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일제강점기 공주 계룡산 단풍나무 숲길 모습이다. 단풍놀이를 즐기기 위해 계룡산을 찾은 지역유지와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우측의 조선인과 대비를 이루는 점이 인상적이다.
    •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 500007467
        일제강점기 계룡산 가을 단풍놀이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주사대부고 자리에 위치해있던 충청남도 도청 정문을 배경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문루의 명칭이 '포정사'에서 '금남루(錦南樓)'로 개칭되었다. 이후 1928년 낙후되었다는 이유로 철거되었다. 금남루 옆 2층의 콘크리트 골조로 건축된 충남경찰본부(충남경무부)가 있다.
        • 등록번호 : 500007461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주사대부고 자리에 위치해있던 충청남도 도청 정문을 배경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문루의 명칭이 '포정사'에서 '금남루(錦南樓)'로 개칭되었다. 이후 1928년 낙후되었다는 이유로 철거되었다. 금남루 옆 2층의 콘크리트 골조로 건축된 충남경찰본부(충남경무부)가 있다.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 500007461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쌍수정은 1911년 공주를 방문한 독일인 신부 베버가 기록을 남겼을 정도로 공산성에서 유명한 장소이다. 그는 "우묵땅에는 울타리를 두른 비각이 있었고, 그 안에는 큰 거북 등에 비석이 서 있었다"라는 기록을 통해 쌍수정 사적비도 언급했다. 본 자료에서는 쌍수정 누각에 서있는 인물이 인상적이다.
        • 등록번호 : 500007460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쌍수정은 1911년 공주를 방문한 독일인 신부 베버가 기록을 남겼을 정도로 공산성에서 유명한 장소이다. 그는 "우묵땅에는 울타리를 두른 비각이 있었고, 그 안에는 큰 거북 등에 비석이 서 있었다"라는 기록을 통해 쌍수정 사적비도 언급했다. 본 자료에서는 쌍수정 누각에 서있는 인물이 인상적이다.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500007460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선산계약 송사자료
        선산계약 송사자료
        1911년 공주 반포면에서 발생한 선산에 대한 송사를 다룬 자료이다. 해당 자료에는 당시 계약을 맺은 주체의 이름과 계약을 어길 시 벌금 1,000원을 부과한다는 내용이 증빙되어 있다.
        • 등록번호 : 500007459
        • 생산일자 : 1911.04.10
        • 형태 : 문서류>문서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선산계약 송사자료
        선산계약 송사자료
        1911년 공주 반포면에서 발생한 선산에 대한 송사를 다룬 자료이다. 해당 자료에는 당시 계약을 맺은 주체의 이름과 계약을 어길 시 벌금 1,000원을 부과한다는 내용이 증빙되어 있다.
    • 선산계약 송사자료
      • 500007459
        선산계약 송사자료
      •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코니시(小西行長)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일제의 시각에서 사진엽서의 제목을…
        • 등록번호 : 500007448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코니시(小西行長)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일제의 시각에서 사진엽서의 제목을…
    •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 500007448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이후 폐지되었다.
        • 등록번호 : 500007447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이후 폐지되었다.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 500007447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집 2채가 있었다.
        • 등록번호 : 500007397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으로서 금강 연안 쪽으로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을 살펴보면 작은 전답과 함께 집 2채가 있었다.
    •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 500007397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 공주여자사범학교부설 국민학교 제6회 졸업기념사진첩
        공주여자사범학교부설 국민학교 제6회 졸업기념사진첩
        1944년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설 초등학교에서 제6회 졸업을 기념하여 발행한 졸업사전첩이다.
        • 등록번호 : 500007477
        • 생산일자 : 1944.03.20
        • 형태 : 문서류>문서 기타
        • 주제 : 교육>초등교육>국립>공주교대부설초등학교
      • 공주여자사범학교부설 국민학교 제6회 졸업기념사진첩
        공주여자사범학교부설 국민학교 제6회 졸업기념사진첩
        1944년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설 초등학교에서 제6회 졸업을 기념하여 발행한 졸업사전첩이다.
    • 공주여자사범학교부설 국민학교 제6회 졸업기념사진첩
      • 500007477
        공주여자사범학교부설 국민학교 제6회 졸업기념사진첩
      • 1910년대 금강 나루와 공산성 공북루
        1910년대 금강 나루와 공산성 공북루
        1910년대 금강의 나루터와 공산성 북문인 공북루 전경이다. 금강은 예로부터 각종 물산을 실어나르는 수운로로서 그 이용이 매우 활발해 주요 교통로 역할을 수행했다. 한편 엽서 중앙에는 1915년 11월 4일 교토에서 열린 다이쇼(大正) 일왕의 즉위를 축하하기 위해 발행된 기념우표와 만세 소인이 찍혀있다. 소인 하단에는 '공주'라고 쓰여 있어 공주에서 발송된…
        • 등록번호 : 500007393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1910년대 금강 나루와 공산성 공북루
        1910년대 금강 나루와 공산성 공북루
        1910년대 금강의 나루터와 공산성 북문인 공북루 전경이다. 금강은 예로부터 각종 물산을 실어나르는 수운로로서 그 이용이 매우 활발해 주요 교통로 역할을 수행했다. 한편 엽서 중앙에는 1915년 11월 4일 교토에서 열린 다이쇼(大正) 일왕의 즉위를 축하하기 위해 발행된 기념우표와 만세 소인이 찍혀있다. 소인 하단에는 '공주'라고 쓰여 있어 공주에서 발송된…
    • 1910년대 금강 나루와 공산성 공북루
      • 500007393
        1910년대 금강 나루와 공산성 공북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