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 일본 아리타의 이삼평 묘역 (4)

    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 일본 아리타의 이삼평 묘역 (3)

    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 일본 아리타의 이삼평 묘역 (2)

    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 일본 아리타의 이삼평 묘역 (1)

    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9)

    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대한 안내판이다.

  •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8)

    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대한 안내판이다.

  •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7)

    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대한 안내판이다.

  •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6)

    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대한 안내판이다.

  •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5)

    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위치한 '도공지비(陶工之碑)'의 안내판이다.

  •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4)

    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산 채석장에 세운 '도공지비(陶工之碑)이다. 여기서 자기를 만들었던 도공들의 얼을 기리기 위하여 1981년 만들어졌다.

  •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3)

    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마산 채석장유적이다. 임진왜란 때 끌려간 조선의 도공들이 이곳의 돌을 채석하여 자기를 만들었다. 이 채석장은 에도시대에 '쓰치바(土場)'라고 불렸으며, 사라야마다이칸쇼(관공서)가 엄격하게 관리하였다. 1897년 경에는 1년간 약…

  • 일본 아리타 이즈미야마 채석장 (2)

    일본 사가현 아리타의 이즈미야마산 채석장유적이다. 임진왜란 때 끌려간 조선의 도공들이 이곳의 돌을 채석하여 자기를 만들었다. 이 채석장은 에도시대에 '쓰치바(土場)'라고 불렸으며, 사라야마다이칸쇼(관공서)가 엄격하게 관리하였다. 1897년 경에는 1년간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