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주거지 복원도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석장리 구적기유적 주거지 복원도이다. 책 속의 사진을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석장리 유적지는 남한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지이다.

  • 석장리 선사유적 제7차 발굴조사(2): 청벽

    석장리 선사유적지 1지구에서 청벽 쪽을 바라 본 강가 모습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하였다. 석장리…

  • 석장리 선사유적 제3차 발굴조사(3): 1, 2지구 중간 강가

    석장리 선사유적 1, 2지구 중간 지역의 강가 모습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하였다. 석장리…

  • 석장리 선사유적 제1차 발굴조사(5): 발굴을 마친 단원들

    1차 발굴을 마친 후, 석기와 발굴 장비를 강 건너에 있던 주막에 옮긴 후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단원들의 모습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 석장리 선사유적 제2차 발굴조사(1): 1지구 51구덩 발굴 전 단면 모습

    석장리 선사유적 제2차 발굴조사에 1지구 51구덩을 발굴하기 전 단면 모습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 석장리 선사유적 제3차 발굴조사(8): 1, 2지구 발굴 현장

    1, 2지구 중간지역의 겉흙을 걷어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지게로 흙짐을 나르고 , 단면도를 작성하고, 사다리에 올라가 사진 촬영을 진행하였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 석장리 선사유적 제5차 발굴조사(1): 강 건너 백사장

    발굴 현장 강 건너 편 백사장에 서 있는 발굴 단원의 모습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하였다. 석장리…

  • 석장리 선사유적 제2차 발굴조사(5): 1,2지구 중간지역

    석장리 선사유적 제2차 발굴조사에서 1, 2지구 중간 지역의 발굴 구덩을 구획한 모습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 석장리 선사유적 제1차 발굴조사(3): 2지구 1구덩

    석장리 선사유적 2지구 상류쪽에서 지표조사하고 있는 모습으로 1구덩이 발굴되었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 석장리 선사유적 제2차 발굴조사(8): 나룻배를 타고 있는 연세대학교 박대선 총장 일행

    석장리 선사유적 제2차 발굴 현장으로 가기 위해 나룻배에 탑승한 연세대학교 박대선 총장 일행의 모습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 석장리 선사유적 제3차 발굴조사(2): 석장리 나루터

    강 건너에서 바라본 석장리 나루터의 전경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하였다. 석장리 선사유적은…

  • 석장리 선사유적 제3차 발굴조사(1): 2지구 6, 7구덩 측량

    석장리 선사유적 제3차 발굴 현장에서 2지구 6, 7구덩을 측량하고 있는 모습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