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 박물관어 일본어판

    목차
    1. 박물관소개
    2. 백제의 역사
    3. 무령왕릉
    4. 공주일원의 유적과 유물

  • 제2회 박물관 역사문화 특강 : 백제인과 백제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목차
    1. 한반도 청동기문화의 기원(권오영)
    2. 백제왕족은 누구인가?(박순발)
    3. 한민족의 기원과 형성(한영희)
    4. 백제고분의 원류(이남상)
    5. 고대의 목칠공예(이건무)
    6. 한국의 회화(이원복)
    7. 한국 도자의 원류(김영원)
    8. 한국 고대사원과…

  • 비류백제와 일본의 국가기원(沸流百濟와 日本의 國家起源)

    머리말
    I. 서론/한일고대사 연구에 관하여
    II. 백제 초기기록의 이중성
    III. 비류백제의 실재성 검증
    IV. 사마대와 천황국가의 기원
    V. 비류백제의 사백년사와 「임나일본부」의 실체
    부록

  • 백제·백제인·백제문화(百濟·百濟人·百濟文化)

    머리말
    서론
    제1편 백제의 정치
    제2편 백제의 사상·종교
    제3편 백제인의 생활
    제4편 백제의 문화
    결론
    참고문헌

  • 백제역사재현단지조성 조사연구 보고서: 최종보고(요약)(百濟歷史再現團地造成 調査硏究 報告書: 最終報告(要約))

    총평
    I. 조사연구 용역개요
    II. 백제역사촌 조성 기본 구상
    III. 고증·조사연구내용
    IV. 역사재현단지 조성방향설정
    V. 시설조성구성

  • 백제역사재현단지조성 조사연구 보고서: 백제 역사와 문화(百濟歷史再現團地造成 調査硏究 報告書: 百濟 歷史와 文化)

    백제역사와 문화
    I. 백제사의 특성
    II. 백제 왕국의 흥망
    III. 백제문화의 전개
    IV. 부록

  • "백제사의 재조명" 국제학술대회("百濟史의 再照明" 國際學術大會)

    백제 부흥운동과 내포 지역 - 이도학
    일본고대사와 곤지 - 笠井敏光
    한반도의 남방문화와 중국장강하류 백월문화적 관계 - 苑利
    백제와 고대의 일본열도 - 高道忠平
    장승과 일본황성의 진호신 - 임동권
    홍주석성산 발굴조사 보고서 - 최규성, 신형식, 최근영

  • 97 문화유산의 해 百濟문화 國際학술 세미나 熊津시대 百濟文化의 재조명

    천도 이전의 웅진지역문화- 서오선
    웅진시대의 백제와 중국 - 강맹산
    웅진지역 백제유적의 존재의미 - 이남석
    일본의 연화문귀와 - 戶田有二
    웅진시대의 지방통치와 지방세력 - 유원재

  • 무령왕 1500년만에 아버지(곤지)와 만나다 가카라시마에서( 武寧王 1500年ぶり 父(昆支)と巡り合う in 加唐島)

    목차
    제1부 기조강연
    고대 동아시아사의 무령왕(사카모토 요시타네)
    제2부 강연
    무령왕릉 발견 무렵(모리 준이치로)
    곤지와 가와치 아스카(카사이 토시미츠)
    무령왕과 백제문화(윤여헌)
    한국에서의 무령왕 탄생 문제에 대한 근시 논의(윤용연)
    제3부 좌담식 공개…

  • 백제미술(百濟美術)

    1. 서언
    2. 백제의 역사 요약
    3. 건축
    4. 능묘
    5. 조각
    6. 공예
    7. 와전
    8. 회화
    9. 결론

  • 한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

    목차
    제1대 온조왕실록
    제2대 다루왕실록
    제3대 기루왕실록
    제4대 개루왕실록
    제5대 초고왕실록
    제6대 구수왕실록
    제7대 사반왕실록
    제8대 고이왕실록
    제9대 책계왕실록
    제10대 분서왕실록
    제11대 비류왕실록
    제12대 계왕실록
    제13대 근초고왕실록
    제14대…

  • 백제문화개발연구원 역사문고 04 : 백제 멸망의 진실

    목차
    백제 멸망에 대한 평가 문제
    의자왕 즉위 이전 백제의 국내외 정치상황
    의자왕의 통치와 백제의 대내외적인 발전
    부여륭의 백강구전투 참여와 웅진도독부체제의 성격
    산유화가와 의자왕의 후예들
    백제멸망의 역사적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