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 석장리 선사유적 제2차 발굴조사(5): 1,2지구 중간지역

    석장리 선사유적 제2차 발굴조사에서 1, 2지구 중간 지역의 발굴 구덩을 구획한 모습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 윤용현의 <공주 석장리 구석기 유적> 강의자료

    공주 석장리의 구석기 유적에 관한 글이다. 공주 석장리 유적의 학사적 위치와 석장리 유적 사진이 실려있다.

  • 석장리 선사유적 제1차 발굴조사(5): 발굴을 마친 단원들

    1차 발굴을 마친 후, 석기와 발굴 장비를 강 건너에 있던 주막에 옮긴 후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단원들의 모습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주거지 복원도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석장리 구적기유적 주거지 복원도이다. 책 속의 사진을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석장리 유적지는 남한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지이다.

  • 한국고대사의 조명 학술 발표회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 있음

  • 석장리 선사유적 제3차 발굴조사(6): 현장사무실을 구경하는 석장리 마을주민들

    현장사무실을 구경하러 나온 마을주민들의 모습이다. 발굴단은 현장사무실 상량식을 지내고 벽돌을 지게로 옮겨와 공사를 시작하였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 석장리 선사유적 제10차 발굴조사(2): 발굴조사 종료 후 기념사진

    제10차 발굴조사를 마친 후 서울로 떠나기 전 버스이정표 앞에서 촬영한 기념사진이다. 사진의 등장인물로는 좌측 윗줄부터 당시 발굴에 참여했던 연세대학교의 박충래, 박영철, 정옥연, 최복규, 전용진, 김영봉, 박선주, 손보기 교수, 김정환, 김주환, 김희환, 김준석,…

  • 석장리 선사유적 제3차 발굴조사(7): 1, 2지구 발굴 현장

    1, 2지구 중간지역의 겉흙을 걷어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지게로 흙짐을 나르고 , 단면도를 작성하고, 사다리에 올라가 사진 촬영을 진행하였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 구석기와 함께 한 50년 : 석장리에서 만수리까지의 궤적

  • 2021 석장리박물관 특별전시 : 선사인의 취향 - 현대에 도착하다

    2021년 5월 5일부터 2022년 2월 28일까지 석장리박물관에서 진행하는 특별 전시 안내 포스터이다. 전시 날짜, 장소, 석장리박물관 홈페이지 주소가 적혀있다.

  • 석장리 선사유적 제3차 발굴조사(1): 2지구 6, 7구덩 측량

    석장리 선사유적 제3차 발굴 현장에서 2지구 6, 7구덩을 측량하고 있는 모습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 석장리 선사유적 제5차 발굴조사(1): 강 건너 백사장

    발굴 현장 강 건너 편 백사장에 서 있는 발굴 단원의 모습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하였다. 석장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