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 석장리 선사유적 제10차 발굴조사(1): 1지구 전경

    제10차 발굴조사 현장의 1지구 전경이다. 발굴하고 있는 단원들의 모습과 석장리 마을 주민들의 모내기를 마친 논과 준비중인 논의 모습이 함께 담겨 있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 석장리 선사유적 제10차 발굴조사(2): 발굴조사 종료 후 기념사진

    제10차 발굴조사를 마친 후 서울로 떠나기 전 버스이정표 앞에서 촬영한 기념사진이다. 사진의 등장인물로는 좌측 윗줄부터 당시 발굴에 참여했던 연세대학교의 박충래, 박영철, 정옥연, 최복규, 전용진, 김영봉, 박선주, 손보기 교수, 김정환, 김주환, 김희환, 김준석,…

  • 석장리 선사유적 제11차 발굴조사(1): 1지구 전경

    제11차 발굴조사 현장의 1지구 전경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하였다. 석장리 선사유적은…

  • 석장리 선사유적 제12차 발굴조사(1): 1992년 석장리 마을 전경

    제12차 발굴조사가 있었던 1992년에 강 건너에서 바라본 석장리 마을의 전경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 석장리 선사유적 제12차 발굴조사(2): 1지구 81구덩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진행하였다. 석장리 선사유적은 우리나라에서 구석기 시대부터 이 땅에 사람이 살았다는…

  • 공주 석장리 구석기유적지 (1)

    석장리 구석기 유적의 시굴현장 모습이다.

  • 공주 석장리 구석기유적지 (2)

    석장리 구석기 유적전시관 조감도의 모습이다.

  • 공주 석장리 구석기유적지 (3)

    공주 석장리 구석기 유적의 유적 게시판이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1)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석장리 구석기유적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석장리동 136-1에 있다. 석장리 유적지는 남한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지이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2)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석장리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현장 모습이다. 석장리 유적지는 남한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지이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주거지 복원도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석장리 구적기유적 주거지 복원도이다. 책 속의 사진을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석장리 유적지는 남한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지이다.

  • 공주의 숨결 제9부 아주 오래된 사람의 이야기 석장리 유적

    공주 석장리유적으로 인해 우리 역사를 전기 구석기까지 올리는 계기가 되었다. 아주 완전한 형태의 집터가 발견.가장 대표적인 것이 물고기라는 물건으로 돌에 무늬가 새겨져 있고 막 파인 흔적이 남아있다. 또한 주먹도끼 또한 발견되어 한국에서의 구석기 연구가 석장리 유적에서…